|| '''{{{#ffffff 인접한 폐역}}}''' || '''츠루미''' - --[[이리에역|[ruby(이리에(入江), ruby=1929~1985)]]]-- - --[[신코역|[ruby(신코(新興), ruby=1934~2010)]]]-- - [[히가시타카시마역|히가시타카시마]] || {{{+1 '''[ruby(鶴, ruby=つる)][ruby(見, ruby=み)]駅[br]Tsurumi Station'''}}} ||<-3> {{{#!wiki style="margin: -0px -5px" [[JR 동일본|[[파일:JRE_Wlogo.svg|height=50&align=left]]]]}}}[[JR 동일본|{{{#fff JR 동일본}}}]] [[대도시근교구간#s-4.1|[[파일:JR-kin.svg|width=20]]]] [[특정도구시내#s-4.4|[[파일:JR_area_HAMA.svg|width=20]]]][br]'''{{{#fff {{{+2 츠루미역}}}}}}'''|| ||<|2> [[오미야역(사이타마)|{{{#000000,#ffffff {{{-2 오미야 방면}}}}}}]][br][[카와사키역|카와사키]][br]← 3.5 km ||<|2> [[케이힌토호쿠선|[[파일:JRE-JK.svg|height=20]]{{{#ffffff {{{#!html
케이힌토호쿠선
}}}}}}]]{{{#ffffff {{{#!html
(JK 15)
}}}}}} || [[요코하마역|{{{#000000,#ffffff {{{-2 요코하마 방면}}}}}}]][br][[신코야스역|신코야스]][br]3.1 km → || || [[요코하마역|{{{#ffffff {{{#!html
네기시선 직통 ▶
}}}}}}]] || || {{{#gray 시종착}}} || [[츠루미선|[[파일:JRE-JI.svg|height=20]]{{{#000000 {{{#!html
츠루미선
}}}}}}]]{{{#000000 {{{#!html
(JI 01)
}}}}}} ||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bottom: -4px;" [[오기마치역(가나가와)|{{{#000000,#ffffff {{{-2 오기마치 방면}}}}}}]]}}}{{{#!wiki style="margin: -0px -10px; letter-spacing: -0.5px;" [[우미시바우라역|{{{#000000,#ffffff {{{-3 우미시바우라}}}}}}]]{{{#000000,#ffffff {{{-3 ·}}}}}}[[오카와역|{{{#000000,#ffffff {{{-3 오카와}}}}}}]] {{{#000000,#ffffff {{{-3 방면}}}}}}}}}[[코쿠도역|코쿠도]][br]0.9 km → || ||<-3> [[케이큐츠루미역|[[파일:Keikyu-KK.svg|width=17]] 케이큐 본선으로 갈아타기]] || ||<-3> [include(틀:지도, 장소=鶴見駅, 너비=100%, 높이=300px)] || ||<-3> '''주소''' || ||<-3>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츠루미구(요코하마)|츠루미구]] 츠루미츄오1초메 1-1[br]神奈川県横浜市鶴見区鶴見中央一丁目1-1 || ||<-3> '''역 운영기관''' || || [[케이힌토호쿠선|{{{#ffffff 케이힌토호쿠선}}}]] ||<|2><-2> [[JR 동일본|[[파일:JR 동일본 로고.svg|width=180]]]] || || [[츠루미선|{{{#000000 츠루미선}}}]] || ||<-3> '''개업일''' || ||<-3> [[1872년]] [[10월 14일]] || ||<-3> '''노선거리표''' || || [[도쿄역|{{{#000000,#ffffff {{{-2 도쿄 방면}}}}}}]][br][[카와사키역|카와사키]][br]← 3.5 km || '''[[도카이도 본선]]'''[br]츠루미 || [[고베역|{{{#000000,#ffffff {{{-2 고베 방면}}}}}}]][br][[신코야스역|신코야스]][br]3.1 km → || || [[하마마츠쵸역|{{{#000000,#ffffff {{{-2 하마마츠쵸 방면}}}}}}]][br][[핫쵸나와테역|핫쵸나와테]][br]← 2.3 km || '''[[도카이도 화물선|{{{-2 도카이도 본선}}}[br]화물지선]]'''[br]츠루미 || [[히가시토츠카역|{{{#000000,#ffffff {{{-2 히가시토츠카 방면}}}}}}]][br][[요코하마하자와역|요코하마하자와]][br]8.8 km → || ||<|3> {{{#gray 기점}}} || '''[[타카시마선|{{{-2 도카이도 본선}}}[br]타카시마선]]'''[br]츠루미 || [[사쿠라기쵸역|{{{#000000,#ffffff {{{-2 사쿠라기쵸 방면}}}}}}]][br][[히가시타카시마역|히가시타카시마]][br]5.6 km → || || '''[[무사시노선]]'''[br]츠루미 || [[니시후나바시역|{{{#000000,#ffffff {{{-2 니시후나바시 방면}}}}}}]][br][[카지가야 화물터미널역|카지가야[br]화물터미널]][br]12.7 km → || || '''[[츠루미선]]'''[br]츠루미 || [[오기마치역(가나가와)|{{{#000000,#ffffff {{{-2 오기마치 방면}}}}}}]][br][[코쿠도역|코쿠도]][br]0.9 km → || || [[시나가와역|{{{#000000,#ffffff {{{-2 시나가와 방면}}}}}}]][br][[신카와사키역|신카와사키]][br]← 5.1 km || '''[[힌카쿠선|{{{-2 도카이도 본선}}}[br]힌카쿠선]]'''[br]츠루미 ||<|2> {{{#gray 종점}}} || || [[싯테역|{{{#000000,#ffffff {{{-2 싯테 방면}}}}}}]][br][[싯테역|싯 테]][br]← 5.4 km || '''[[난부선#s-2.1|{{{-2 난부선 지선}}}[br]싯테 연락선]]'''[br]츠루미 || || [[파일:Tsurumi_stn.jpg|width=100%]][br]역사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32px-JRE-TsurumiStn-TsurumiLine.jpg|width=100%]][br]츠루미선 승강장--쌍둥이--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츠루미구(요코하마)|츠루미구]]에 위치한 [[JR 동일본]]의 역이다. [[케이힌토호쿠선]]과 [[츠루미선]] 계통 열차가 정차하며 그외의 노선은 모두 통과한다. 역 앞 교통센터를 사이에 두고 [[케이큐 전철]] [[케이큐츠루미역]]과 마주보고 있으며 [[케이큐 본선]] 열차로 환승 가능하다. 2017년 기준 일평균 승차량은 80,904명으로 JR 동일본 관내 역들 중 56위이다. 역 구내에 매점이 입주해 있으며, 주변에는 츠루미구청, 츠루미신사, 츠루미대학, 소지지[* [[후쿠이현]] 에이헤이지와 함께 일본 조동종 불교의 양대 메카이다. 또한 [[이시하라 유지로]]의 묘가 있는 곳으로도 유명하다.], 세이유, 북오프[* 일본의 중고 책 업계 1위 업체.] 등이 있다. == 화물역으로서의 중요성 == [[파일:Directions_from_Tsurumi_Station.svg.png|width=300]] [[도카이도 본선/JR 동일본|도카이도선]] 열차도, [[쇼난신주쿠라인]] 열차도, [[요코스카선]] 열차도 안 서고 통과하는 역이라 여객 취급은 많지 않다. 다만 사실 [[무사시노선]], 타카시마선, 도카이도 화물선, [[힌카쿠선]] 등 '''[[JR 동일본]] 관할의 [[도카이도 본선/화물 시설#s-3.2.1|도카이도 화물선(지선)]]들은 모조리 이 곳을 기종점 삼고있어''' 화물 운용에서의 중요성은 엄청나다. --당장 우측표 노선거리표 길이가(...)-- * [[도카이도 화물선]] : 츠루미역 - [[핫쵸나와테역]]을 잇는 노선. [[도쿄 화물터미널역]] 방면으로 가는 주 경로이다. * 도카이도 화물선 : 츠루미역 - [[히가시토츠카역]]을 [[요코하마하자와역]]을 경유하여 잇는 노선. 도카이도 본선의 화물 열차 선로는 [[오다와라역]]까지 이어지지만 [[요코하마역]] 인근의 토지 매수가 어려워 이 구간의 화물선은 살짝 북쪽으로 우회하는 형태로 지어져있다. * [[힌카쿠선]] : 츠루미역 - [[시나가와역]]까지를 [[무사시코스기역]]을 경유하여 잇는 노선. 신츠루미 신호장까지는 복복선이며, 각각 여객 열차와 화물 열차가 나눠쓰고 있다. 신츠루미신호장에서 [[난부선]]의 지선인 싯테 연락선을 통해 [[무사시노선]]에 진입한다. 이 구간으로 [[요코스카선]]과 [[쇼난신주쿠라인]]이 여객 영업을 하고 있다. * 타카시마선 : 츠루미역 - [[사쿠라기쵸역]]까지를 [[히가시타카시마역]]을 경유하여 잇는 노선. [[네기시선]]과의 직통 운행이 가능하다. * [[무사시노선]] : 츠루미역 - [[니시후나바시역]]을 [[무사시우라와역]]을 경유하여 잇는 노선. 여객열차는 [[후츄혼마치역]]까지만 운행하며, 후츄혼마치 이남은 화물열차 전용이다. * [[난부선]] 지선 (싯테 연락선) : 츠루미역과 [[싯테역]]을 이어주는 노선. [[무사시노선]]과 [[도카이도 화물선]]의 직결 통로이다. * [[츠루미선]] : 츠루미선도 화물 노선이지만 츠루미역에서는 연결 선로가 없어 여객 열차만 운행한다. 화물 열차는 [[하마카와사키역]]으로 진입. 이 역은 역사적으로도 중요한 역인데, 1872년 [[도카이도 본선]] 첫 개통 당시 개업한 역, 다시 말해 '''일본 최초의 철도역 중 하나'''이다.[* 나머지는 [[신바시역]], [[시나가와역]], [[카와사키역]], [[가나가와역(가나가와)|카나가와역]], [[요코하마역]]이다. 참고로 당시 기점역이었던 신바시역은 지금의 JR신바시역과는 다르다. 자세한 사항은 [[신바시역]] 문서 참조.] [[사가미 철도]]와의 직통 운행이 이루어지며 [[하자와요코하마코쿠다이역]] 방면에서 오는 열차가 [[도카이도 화물선]]을 타고 이 역에서 [[도카이도 본선]]에 합류하는데, 노선 연계를 위해 현재 통과 중인 [[쇼난신주쿠라인]], [[우에노도쿄라인]] 등의 장거리 열차를 정차시켜달라는 청원이 나오고 있다. 츠루미역 미정차 문제 때문에 하자와요코하마코쿠다이역에서 츠루미역을 가려면 정말 엄청난 대 장정이 기다리고 있는데, [[무사시코스기역]]에서 내려서 다시 [[요코하마역]]으로 온 뒤 [[케이힌토호쿠선]]을 타고 역행하거나, [[무사시코스기역]]에서 [[난부선]]을 타고 [[카와사키역]]을 경유하거나, 아니면 아예 [[소테츠 본선]]을 타고 [[요코하마역]]에서 [[케이힌토호쿠선]]을 타고 오는 방법 등이 있다. 어떤 방법을 선택하더라도 엄청나게 끔찍한 경로가 되는데, 특히 무사시코스기, 요코하마를 경유하는 첫번째 방법을 쓰는 경우 츠루미역을 두 번이나 지난 뒤 세 번째에서야 겨우 츠루미역에 내릴 수 있다. 이렇게 접근이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운임 계산은 츠루미역 경유 기준이기 때문에 아이러니하게도 하자와요코하마코쿠다이역에서 가장 운임이 저렴한 역은 츠루미역이 된다. == 역 및 승강장 구조 == [[https://www.jreast.co.jp/estation/stations/1025.html|승강장 구조]] [[케이힌토호쿠선]]은 섬식 승강장의 지상역, [[츠루미선]]은 2면 2선의 두단식 승강장이다. 선상역사로, 2층의 개찰구를 통해 진입한 뒤 다시 1층으로 내려가는 구조다. 같은 운영사가 운영하는 두 노선의 환승역으로는 보기 드물게 국내의 [[환승 게이트]]와 비슷한 것이 설치되어 있었다. 2층 문단에서 후술. 케이힌토호쿠선과 츠루미선을 제외한 곳에는 모두 플랫폼이 설치되어있지 않은데, [[힌카쿠선]]을 경유하는 홀리데이 쾌속 카마쿠라(ホリデー快速鎌倉)는 이 역에서 승무 교대를 해야해서 플랫폼이 없는 선로 한복판에 열차를 정차 시킨 후 승무원이 교대한다. === 1층 === 케이힌토호쿠선 승강장의 서쪽으로 지나가는 복선 선로가 [[요코스카선]] · [[쇼난신주쿠라인]]이 이용하는 [[힌카쿠선]]이며, 오른쪽으로 지나가는 선로는 각각 [[도카이도 본선]]의 상하행선, [[도카이도 화물선]]의 상행선, 착발선 3선, 도카이도 화물선 하행선이다. 역 북쪽에 있는 츠루미가와(鶴見川)를 건널 때까지 5복선으로 함께 올라간다. [[케이큐 본선]]의 선로도 바로 옆을 지나, 총 6복선의 선로가 이 구간을 병주한다. 강을 건너고 나면 서쪽으로 2복선[* [[무사시노선]]과 [[힌카쿠선]]], 동쪽으로 1개 복선([[도카이도 화물선]])이 빠져나가고 최종적으로 2복선만 남아 [[카와사키역]] 방향으로 올라간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2> ↑ [[신카와사키역|신카와사키]] ||<-6> ↑ [[카와사키역|카와사키]] ||<-5> ↖ [[카지가야 화물터미널역|카지가야 화물터미널]]·[[핫쵸나와테역|핫쵸나와테]] ↑ || || [[요코스카선|{{{#1069b4,#4ba4ef ㅣ}}}]] || [[요코스카선|{{{#1069b4,#4ba4ef ㅣ}}}]] || [[케이힌토호쿠선|{{{#00a7e3 ㅣ}}}]] || {{{#ffffff 2}}} || {{{#ffffff 1}}} || [[케이힌토호쿠선|{{{#00a7e3 ㅣ}}}]] || [[도카이도 본선/JR 동일본|{{{#f0862b ㅣ}}}]] || [[도카이도 본선/JR 동일본|{{{#f0862b ㅣ}}}]] || ㅣ || ㅣ || ㅣ || ㅣ || ㅣ || ||<-2> [[요코하마역|요코하마]] ↓ ||<-4> [[신코야스역|신코야스]] ↓ ||<-2> [[요코하마역|요코하마]] ↓ ||<-5> ↙ [[요코하마하자와역|요코하마하자와]]·[[요코하마역|요코하마]] ↓·[[히가시타카시마역|히가시타카시마]] ↓ || || {{{#ffffff 1}}} ||<|2>[[파일:JRE-JK.svg|width=17]] [[케이힌토호쿠선]]|| 남행 ||[[신코야스역|신코야스]] · [[히가시카나가와역|히가시카나가와]] · [[요코하마역|요코하마]] 방면[br]{{{-2 (직통 [[사쿠라기초역|사쿠라기초]] · [[이소고역|이소고]] · [[신스기타역|신스기타]] · [[오후나역|오후나]] 방면)}}}|| || {{{#ffffff 2}}} || 북행 ||[[도쿄역|도쿄]] · [[우에노역|우에노]] · [[아카바네역|아카바네]] · [[오미야역(사이타마)|오미야]] 방면|| === 2층 === 츠루미선이 순수 JR 노선이 아닌 '츠루미 임항철도'에서 인수된 노선이라, 여타 노선과 플랫폼 위치가 상이하다. 또한 이 때의 흔적이 남아있어, 운임 구역 역시 [[츠루미선]] 승강장과 그 외 노선의 승강장이 분리되어 있다. 1943년 국유화 이후에도 어째서인지 개찰구가 유지되고 있었는데, 이후 70년대 츠루미선의 다른 역이 무인화되면서 본의아니게 제 역할을 하고 있다. 공장 통근용 노선인 츠루미선 특성상 자체 승하차 이용객은 극히 적기에, 무임승차도 막을 겸 츠루미선의 유일한 유인역인 츠루미역의 개찰구에서 일찌감치 운임을 정산한 것. 이후 교통카드가 도입되면서 국내의 [[환승 게이트]]와 비슷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물론 국내와는 다르게 이 역의 경우는 요금 중간정산을 한다는 차이가 있다. [[https://jtinside.tistory.com/7539|개찰구 이미지]] 오마와리를 하는 경우에는 유인 개찰구를 경유하면 된다. 유인 개찰구에 표를 제시한 다음 오마와리를 증명하면 아무 말 없이 통과시켜 준다. --그리고 고생하신다는 소리를 들을거다.--[* 테츠코의 여행에서 언급.] 이러한 구조탓에 츠루미선만을 이용하는 이용객은 개찰 통과를 두번씩 해야하는 불편을 겪었으나, 2022년 2월 28일을 끝으로 환승 게이트를 [[https://rail.hobidas.com/news/373472/|철거]]하여 여타 JR 노선간 환승처럼 별도 정산절차 없이 환승할 수 있게 된다. ||<-4> 종착역 || ||<-4> || || {{{#000000 4}}} || ㅣ || ㅣ || {{{#000000 3}}} || ||<-4> [[코쿠도역|코쿠도]] ↓ || || {{{#000000 3·4}}} ||[[파일:JRE-JI.svg|width=17]] [[츠루미선]]|| 하행 ||[[벤텐바시역|벤텐바시]] · [[무사시시라이시역|무사시시라이시]] · [[하마카와사키역|하마카와사키]] · [[오기마치역|오기마치]] 방면[br]{{{-2 (직통 [[신시바우라역|신시바우라]] · [[우미시바우라역|우미시바우라]] · [[오카와역|오카와]] 방면)}}}|| == 인접 정차역 == ||<-4><:>[[파일:JRE-JK.svg|width=17]] [[케이힌토호쿠선]]|| ||<|2><:>[[오미야역(도쿄)|{{{#000000,#ffffff {{{-2 오미야 방면}}}}}}]][br][[카와사키역|카와사키]][br]← 3.5 km||<:>{{{#ffffff {{{-2 쾌속[br]快速}}}}}}||<:><|2>[[오후나역|{{{#000000,#ffffff {{{-2 오후나 방면}}}}}}]][br][[신코야스역|신코야스]][br]3.1 km →|| ||<:>{{{#ffffff {{{-2 각역정차[br]各駅停車}}}}}}|| ||<-4><:>{{{-2 [[하마마츠쵸역]]까지 통과역이 없다.}}}|| == 일평균 승차량 == ||<-10> [[JR 동일본|{{{#ffffff JR 동일본}}}]] || ||1991년||1992년||1993년||1994년||1995년||1996년||1997년||1998년||1999년||2000년|| ||74,630명||76,695명||77,591명||77,593명||77,653명||77,629명||76,958명||76,178명||75,431명||75,234명|| ||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 ||75,838명||76,007명||76,360명||76,212명||76,197명||77,290명||78,108명||77,851명||76,850명||76,665명|| ||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 ||76,445명||76,583명||78,272명||77,755명||79,672명||80,182명||80,904명||'''81,056명'''||80,794명|| [[분류:일본의 철도역]][[분류:1872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도카이도 본선]][[분류:무사시노선]][[분류:힌카쿠선]][[분류:츠루미선]][[분류:케이힌토호쿠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