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폐지된 행정구역)] ||<#ffffff,#1f2023> [[파일:충무시 시기.svg|width=100%]] || || {{{#fff '''경상남도 충무시기'''}}} || ||<-4> '''[[파일:경상남도 도기(1974-1999).svg|height=15]] [[경상남도|{{{#000000,#dddddd 경상남도}}}]]의 [[폐지된 시|{{{#000000,#dddddd 폐지된 시}}}]]'''[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충무시 시기.svg|height=65]]}}}||{{{#!wiki style="margin: -5px 0;" '''{{{+1 충무시}}}'''[br]忠武市[br]{{{-1 Ch'ungmu City[* 폐지 당시 표기법인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기준]}}}}}}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통영시, 너비=100%, 높이=100%)]}}} || ||<-2> '''시청 소재지''' ||<-2> 무천동 357 || ||<-2> '''상위 행정구역''' ||<-2> 경상남도 || ||<-2> '''하위 행정구역''' ||<-2> 20동 || ||<-2> '''면적''' ||<-2> 21.45km² || ||<-2> '''통합 당시 인구''' ||<-2> 98,291명[* 1994년 기준] || ||<-2> '''현재 인구''' ||<-2> 66,451명[* 2023년 7월 기준] || ||<-2> '''인구밀도''' ||<-2> 4,582.33/km² || ||<-2> '''마지막 시장''' || '''관선''' || 강태선 ,,(관선),, || ||<-2> '''마지막[br]국회의원''' || [include(틀:민주자유당)] || 정순덕 ,,(재선),, || ||<|3> '''상징''' || '''꽃''' ||<-2> [[동백꽃]] || || '''나무''' ||<-2> [[종려나무]] || || '''새''' ||<-2> [[갈매기]] || ||<-2> [[지역번호|{{{#ffffff '''지역번호'''}}}]] ||<-2> '''0557''' || ||<-2> '''행정표준코드''' ||<-2> 9331497 || ||<-2> '''존속 기간''' ||<-2> 1955년 9월 1일 ~ 1995년 1월 1일 || ||<-2> '''폐지 이후''' ||<-2> [[경상남도]] [[통영시]] || [목차] [clearfix] == 개요 == [[1955년]] [[9월 1일]]부터 [[1995년]] [[1월 1일]]까지 있었던 [[경상남도]]의 행정구역이다. 명칭의 유래는 [[충무공]] [[이순신]]이 이 지역에서 활동했던 것에서 유래한다. 현 [[통영시]]의 시내(동) 지역에 해당한다. == 역사 == * [[1955년]] [[9월 1일]] 통영읍 일원이 충무시로 승격하여 통영군과 분리되었다. * [[1973년]] [[7월 1일]] 용남면 무전리를 충무시에 편입하였다. * [[1985년]] [[12월 18일]] 북신동을 북신동과 무전동으로 분동하였고, 인평1동과 인평2동을 인평동으로 합동하였다. * [[1995년]] [[1월 1일]]을 기해 충무시와 통영군을 폐지하고 [[도농통합시]]인 [[통영시]]를 설치하였다. == 기타 == * [[충무김밥]]이 이곳 충무시에서 나왔다. 충무김밥 자체가 고유명사가 되어 도시 이름이 바뀐 뒤에도 이름은 유지되었다. * 가수 [[이소라(가수)|이소라]]와 개그맨 [[허경환]], 배우 [[고규필]]이 이 곳 출신이다. * '''해방 이후 신설된 시(市)''' 중 가장 면적이 작다. [* 이전 서술은 역사상 가장 작은 기초자치단체라고 되어있었는데, 이는 완전 틀린 서술이다. 일단 그 당시나 지금이나 '''2.8㎢인 [[부산광역시]] [[중구(부산광역시)|중구]]'''가 가장 작은 기초자치단체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 또한 구(區)가 아닌 시(市)로 한정하더라도, 애초에 '''해방 직후의 [[목포시]] 면적이 8.3㎢'''라서 비빌 수도 없다. 마지막으로, 지방자치제의 부활(95년 7월)은 통영시 통합 이후라서(95년 1월) '''충무시는 기초자치단체였던 적이 없다'''.] 그 면적은 현재 '''대한민국에서 면적이 가장 좁은 [[시(행정구역)/대한민국|시]]'''인 '''[[구리시]]'''의 겨우 '''3분의 2 수준이었다.''' == 관련 문서 == * [[통영시]] [[분류:경상남도의 폐지된 행정구역]][[분류:통영시]][[분류:향토사]][[분류:1955년 설치된 행정구역]][[분류:1995년 폐지된 행정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