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e5d85c ''' 역대 [[베를린 국제 영화제|{{{#e5d85c 베를린 영화제}}}]] ''' }}} || ||<-5> [[파일:베를린 국제 영화제 로고.svg|width=200]] || ||<-5> [[베를린 국제 영화제/황금곰상|{{{#e5d85c '''황금곰상'''}}}]] || || ''' 제16회 [br] ([[1966년]]) ''' || {{{+1 → }}} || ''' 제17회 [br] ([[1967년]]) ''' || {{{+1 → }}} || ''' 제18회 [br] ([[1968년]]) ''' || || [[막다른 골목]] || {{{+1 → }}} || '''출발''' || {{{+1 → }}} || 누가 그의 죽음을 보았는가 || ||<-5> || ---- ||<-2>
{{{#C4131B '''{{{+1 출발}}}''' (1967)[br]Le départ}}}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67 출발 포스터.jpg|width=100%]]}}} || || '''장르''' ||[[드라마]], [[로맨스]], [[코미디]] || || '''감독''' ||[[예지 스콜리모프스키]] || || '''각본''' ||[[예지 스콜리모프스키]], 안제이 코스텐코 || || '''제작''' ||브론카 릭퀴에르 || || '''주연''' ||[[장피에르 레오]], 캐서린-이사벨 듀포트 || || '''촬영''' ||윌리 커란트 || || '''편집''' ||밥 웨이드 || || '''음악''' ||크쥐시토프 코메다 || || '''제작사'''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0]] 엘리자베스 필름스 || || '''배급사'''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0]][[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엘리자베스 필름스 || || '''개봉일''' ||[[파일:베를린 국제 영화제 로고.svg|width=20]] 1967년 6일[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1967년 12월 6일 || || '''화면비''' ||1.66 : 1 || || '''상영 시간''' ||1시간 33분 || || '''제작비''' ||'''400만 벨기에 프랑''' || || '''월드 박스오피스''' ||'''○○''' || || '''상영 등급''' ||'''[[15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15세 이상 관람가[* 한국에 공식 수입되지 않은 작품이기에, 영화제나 시네마테크 상영 시 등급을 기재했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예지 스콜리모프스키]] 감독, [[장피에르 레오]] 주연의 1967년작 프랑스 영화. 스콜리모프스키가 처음으로 고국 폴란드를 떠나 서유럽권의 자본으로 만든 영화로, 제17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베를린 국제 영화제/황금곰상|황금곰상]]을 수상했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XHzpp_3TWg)]}}}|| || {{{#C4131B '''▲ 예고편'''}}} || == 시놉시스 == > 브뤼셀의 어느 미장원에서 일하는 청년 마르크는 자동차 경주대회에 출전할 꿈을 갖고 산다. 주인의 차를 몰래 끌고 나와 거리를 방황하곤 하는 그는 젊은 여인과 사랑에 빠지지만 동시에 부유한 여인으로부터 유혹을 받는다. == 등장인물 == * [[장피에르 레오]] - 마르크 역 * 캐서린-이사벨 듀포트 - 미셸 역 * 자클린 비르 - 부유한 여인 역 * 폴 롤랜드 - 미장원 사장 역 == 설정 == == 줄거리 == == 사운드트랙 == == 평가 ==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 메타크리틱=, 메타크리틱_critic=, 메타크리틱_user=, 로튼토마토=le-depart, 로튼토마토_tomato=, 로튼토마토_popcorn=61, IMDb=tt0061605, IMDb_user=6.5, 레터박스=the-departure, 레터박스_user=3.6, 알로시네=4852, 알로시네_presse=4.5, 알로시네_spectateurs=3.0, MYmoviesit=ilvergine, MYmoviesit_MYMOVIES=3.00, MYmoviesit_CRITICA=, MYmoviesit_PUBBLICO=3.00, ## 키노포이스크=, 키노포이스크_user=, ## 야후재팬영화=, 야후재팬영화_user=, Filmarks=122, Filmarks_user=3.8, ## 엠타임=, 엠타임_user=, ## 도우반=, 도우반_user=, ## 야후키모=, 야후키모_user=, 왓챠=md6nmZd, 왓챠_user=3.6, ## 키노라이츠=65114, 키노라이츠_light=, 키노라이츠_star=, ## 네이버영화=, 네이버영화_audience=, ## 다음영화=42880, 다음영화_user=, ## CGV=, CGV_egg=, ## 롯데시네마=, 롯데시네마_user=, ## 메가박스=, 메가박스_user=, ## MRQE=, MRQE_user=, ## 시네마스코어=, TMDB=137726-le-depart, TMDB_user=66, 무비파일럿=der-start, 무비파일럿_user=6.9, ## RogeEbetcom=, RogeEbetcom_user=, ## MyDramaList=, MyDramaList_user=, ## 라프텔=, 라프텔_user=, ## MyAnimeList=, MyAnimeList_분야=, MyAnimeList_user=, ## GooglePlay무비=, GooglePlay무비_user=, ## 네이버시리즈온=, 네이버시리즈온_user=, 네이버시리즈온_heart=, )] == 기타 == * 제작 비화가 특이하기로 유명하다. 전작 장벽이 성공을 거두자 해외에서 제작 러브콜이 와서 스콜리모프스키는 네덜란드로 간다. 그러던 중 네덜란드 제작자하고 통역하던 유대계 폴란드 통역가 브론카 릭퀴에르가 '저놈들 일 제대로 안 한다. 차라리 내가 만들고 만다'한 뒤 본인이 직접 제작자로 나섰다고 한다. 릭퀴에르는 5만 달러 거금을 스콜리모프스키에게 주고 시나리오 작성을 하라고 했는데, 처음 구상한 영화는 '쓰레기장'이라는 제목의 영화였다고 한다. 하지만 정작 시나리오를 2페이지 밖에 못 써서 고민하다가 공동 각본가 안제이 코스텐코를 불러 고치고 고친 끝에 나온게 본작이다. 영화가 레이싱과 차량 소재가 주로 나오는 것도 릭퀴에르 남편이 자동차 잡지 편집장인지라 지원받기 수월해서라는 썰이 있다. * 출연진, 제작진은 대다수 [[장 뤽 고다르]]의 [[남성, 여성]]에서 넘어왔다. 심지어 히로인인 카트린 이자벨 뒤포르는 남성, 여성과 함께 얼마 안 되는 출연작이기도 하다. * [[마르그리트 뒤라스]]는 생전 이 작품을 본 후 상당히 좋아해 감독에게 극찬을 하며 열변을 토할 정도였다고 한다. * 촬영당시 스콜리모프스키 감독이 [[프랑스어]]를 전혀 할 줄 몰랐기 때문에, 음악을 맡은 크쥐시토프 코메다 작곡가가 현장에서 통역을 해주면서 촬영을 진행했다. [[분류:벨기에의 드라마 영화]][[분류:벨기에의 로맨스 영화]][[분류:벨기에의 코미디 영화]][[분류:1967년 영화]][[분류:베를린 국제 영화제 황금곰상 수상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