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춘향전 시리즈)] ||<-2> {{{+2 '''춘향'''}}} (1968)[br]春香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춘향 포스터.jpg|width=100%]]}}} || || '''감독''' || [[김수용(영화감독)|김수용]] || || '''각본''' || 임희재 || || '''제작''' || 우기동 || || '''제작사''' || 세기상사주식회사 || || '''기획''' || 조규진 || || '''촬영''' || 홍동혁 || || '''조명''' || 손영철 || || '''편집''' || 유재원 || || '''음악''' || 정윤주 || || '''창''' || 박초월 || || '''미술''' || 송백규 || || '''출연''' || [[홍세미]], [[신성일]], [[박노식(1930)|박노식]], 윤인자, [[허장강]], [[태현실]] || || '''개봉일''' || [[1968년]] [[1월 30일]] || || '''개봉관''' || [[대한극장]] || || '''관람인원''' || 116,000명 || [목차] [clearfix] == 개요 == [[춘향전]]을 영화화한 [[김수용(영화감독)|김수용]] 감독의 1968년 개봉 영화. [[경희대학교]] 재학 중이던 [[홍세미]]는 세기상사의 춘향전 공모에서 1,800대 1의 경쟁을 뚫고 선발되어 이 영화로 데뷔했다. '세미'라는 예명은 ''''세'''기상사가 뽑은 '''미'''녀'라는 뜻이라고. [[신상옥]] 감독의 《[[성춘향]]》에서도 방자 역을 연기해 "방자 역을 위해 태어난 사나이"라는 호평을 받았던 [[허장강]]은 이 영화에서 다시 방자 역을 맡았다. == 등장인물 == [include(틀:춘향전 시리즈 등장인물)] * [[홍세미]] - 성춘향 역 * [[신성일]] - 이몽룡 역 * [[박노식(1930)|박노식]] - 변학도 역 * [[허장강]] - 방자 역 * [[태현실]] - 향단 역 * 윤인자 - 월매 역 * [[최남현]] - 이준상(이몽룡의 부) 역 == 줄거리 == 남원 현감([[최남현]])의 아들 이몽룡([[신성일]])은 단오날 그네 타던 춘향([[홍세미]])에게 반한다. 몽룡은 부모 몰래 퇴기(윤인자)의 딸 춘향과 혼례를 올린다. 그러나 몽룡 아버지가 동부승지로 승진해 서울로 올라가는 바람에 두 사람은 헤어진다. 신임 현감으로 부임한 변학도([[박노식(1930)|박노식]])은 춘향을 보고 반해 수청을 요구하지만 춘향이 이를 거부하자 옥에 가둔다. 변학도의 생일 잔치날, 과거에 장원급제해 전라어사로 임명된 몽룡이 나타나 변학도를 벌주고, 풀려난 춘향과 재회의 기쁨을 나눈다. [[분류:한국 영화]][[분류:1968년 영화]][[분류:죽기 전에 꼭 봐야 할 한국영화 1001]][[분류:김수용(영화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