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기능별 국가행정조직]] [include(틀:다른 뜻1, other1=고려의 통치 기구, rd1=중추원, other2=전근대 중국의 통치 기구, rd2=추밀원(중국사))]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와일드 암즈 더 포스 데토네이터의 조직, rd1=추밀원(와일드 암즈 더 포스 데토네이터))] [목차] [clearfix] == 개요 == 추밀원([[樞]][[密]][[院]], Privy Council)은 일반적으로 [[군주제]] 국가에서 [[군주]]의 자문기관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입헌군주제]] 국가들은 [[국가원수]]인 군주의 (형식상) 권한을 행사할 때 자문을 받기 위해 추밀원 같은 기구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영국]]의 경우([[영국 추밀원|국왕 폐하의 가장 고결한 추밀원, His Majesty's Most Honourable Privy Council]]), 실질적으로 [[영국 총리|총리]]와 [[영국 정부|내각]], [[영국 의회|의회]]가 결정하는 의회의 소집 및 [[의회 해산|해산]] 같은 권한을 [[영국 국왕|국왕]]이 선포할 때 관례적으로 추밀원 회의를 열어 결정하게 된다. 사실상 군주와 [[의회]] 사이의 징검다리 역할을 한다 볼수 있다. == 번역 == 추밀원이라는 한자 번역어는 [[당나라]]부터 [[원나라]]까지 있었던 [[군사]] 기관인 [[추밀원(중국사)]]에서 유래했다. 서양의 'Privy Council'을 [[동아시아]]에 서양의 개념이 수입 및 번역되던 당시 일본에서 추밀원이라는 용어로 번역함에 따라 현대에는 [[입헌군주제]] 국가에 여전히 존재하는 [[군주]]의 자문기관을 대부분 추밀원으로 번역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추밀원이라는 용어가 비교적 낯설다. 한국사에서는 [[고려]]의 [[중추원]]이라는 기관이 추밀원이라는 이름으로 오래 존속하기는 했으나 대개 추밀원이라는 용어로는 가르치지 않는다. 익숙하다면 [[중국사]]나 [[한국사]]에 관심이 많은 경우가 대부분일 듯. 조선시대에는 중추원이 중추부로 이름이 바뀌어 존속하였다. == 현대 추밀원 == 각국마다 이름이 조금씩 다르다. * [[영국]] - [[영국 추밀원|His Majesty's Most Honourable Privy Council]] * [[캐나다]] - King's Privy Council for Canada * [[스페인]] - Consejo de Estado [[영어]]로 번역하면 주로 Privy Council / Crown Council / Council of State 이렇게 쓴다. 구성은 일반적으로 추밀원장과 추밀원 구성원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은데, 구성원이 20여 명 정도인 경우도 있지만 수백여 명으로 운영하는 경우도 있다. 구성원은 [[왕실]] 관계자, [[정부]] 관계자, [[정치인]], [[성직자]], [[학자]] 등의 유능한 인물 중에서 선출된다.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형식적인 기구라 보면 된다. 실질적인 권력은 선거로 선출된 [[의회]]와 [[내각]]이 가지고 있고, 군주는 형식상의 권력만 있으니. === 현재 추밀원을 둔 국가 === * [[영국]] - [[영국 추밀원]] [[맨 섬]] 및 [[포클랜드 제도]]에도 별도의 추밀원 조직이 존재한다. * [[호주]] 호주는 호주 내 각 주에도 추밀원을 두고 있다. 이는 호주가 과거 영국의 호주 대륙 내 식민지들이 연합한 연방국가인 데서 유래한다. * [[벨기에]] * [[부탄]] * [[브루나이]] * [[캐나다]] 호주와 같은 이유로 캐나다 내 각 주에도 추밀원이 존재한다. * [[캄보디아]] * [[루마니아]] 2010년에 전 국왕 [[미하이 1세]]의 보좌 기관으로서 창설되었다. 미하이 1세 사후 그의 장녀 마르가레타가 추밀원 의장직에 있다. * [[모나코]] * [[뉴질랜드]] * [[노르웨이]] * [[네덜란드]] * [[파푸아뉴기니]] * [[스페인]] * [[태국]] * [[통가]] == 폐지 == * [[일본 제국]] - [[일본 제국 추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