鄒丹 ?~194 [목차] [clearfix] == 개요 == [[후한]] 말의 인물로 [[공손찬]] 휘하의 무장. == 생애 == 어양태수를 지냈고 추단은 공손찬이 계교에서 [[원소(삼국지)|원소]]에게 깨지기 전 위세가 대단했을 때 [[엄강]]이 [[기주#s-1]]자사, [[전해]]가 [[청주(중국)|청주]]자사였는데, 이때 추단은 잠시 [[타이위안|병주]][[자사(관직)|자사]]로 임명되기도 했다. 193년에 공손찬이 이민족들에게 인기도 좋고 인망도 높은 [[유우(삼국지)|유우]]를 거용에서 격파해 유우를 붙잡아 황제를 칭하려고 했다고 무고하면서 단훈을 협박해 유우를 죽였다. 유우를 죽였기 때문에 공손찬은 주위의 모든 군주와 이민족들을 적으로 돌리게 되자 유우 휘하에 있던 [[선우보]], [[선우은]] 등이 군대를 일으키면서 [[염유]]를 오환사마로 추대했다. 염유는 [[오환족]], [[선비족]] 등을 끌어들여 수만의 규모가 되었고, 추단은 이들에 맞서 싸우다가 결국 노북 북쪽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패배하고 전사했다. 결국 이 승리를 계기로 염유, 선우보는 [[유화(삼국지)|유화]], [[국의]]와 연합해서 한때 공손찬을 역경으로 몰아넣는 것에 성공했다. == 미디어 믹스 == ===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 === ||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434.jpg|width=400]] || || 삼국지 12, 13, 14 || [[삼국지 9]]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은근히 꾸준히는 나오지만 임팩트는 없다. [[공손찬]]군에 무장이 없어서 어떻게든 만들어 넣어야하기 때문. 쪽수 채우기 위해서 등장한 인물이다보니 당연히 능력치도 별로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8/무력 71/지력 36/정치력 45. 돌파와 주사를 가지고 있다. 삼국지 9 시스템 덕에 쓰이는 장수.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3/무력 71/지력 36/정치력 38/매력 40에 특기는 징병, 돌격, 회복 3개 뿐. 징병 특기가 있긴 하지만 매력이 40이라 별 도움은 안 된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61/64/34/37/39. 거의 D급 무장이지만 공손찬군 버프로 기병적성이 A다. 이 때의 능력치를 최신작까지 그대로 유지한다. 사망년도는 특이하게 195년으로 1년 늦게 설정되어 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투구를 쓴 채 두 손을 짚은 상태에서 찡그린 얼굴을 하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1/64/34/37. 특기는 훈련 1, 연전 1. 전수특기는 훈련이고 전법은 기속강화.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1, 무력 64, 지력 34, 정치 37, 매력 39이며 개성은 교련, 주의는 패도, 정책은 봉시강화 Lv 2, 진형은 봉시, 전법은 돌격, 매성,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 소설 삼국지 [[서영(삼국지)|서영]]전 === 공손찬 휘하에서 탐관오리 노릇을 했고 유우와 유비의 연합이 어양을 공격하면서 사로잡혔다가 참수되었다. [각주] [[분류:후한의 인물]][[분류:한나라 주자사]][[분류:194년 사망]][[분류:전쟁 사망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