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최지민/선수 경력)] ||<-5>
'''[[최지민|{{{#ffffff 최지민}}}]]{{{#ffffff 의 연도별 시즌 일람}}}''' || || [[최지민/선수 경력/아마추어 시절|아마추어]] || → || {{{#ffffff '''2022년'''}}} || → || [[최지민/선수 경력/2023년|2023년]] || [목차] [clearfix] == 시즌 전 == 2월 1일 1군 스프링캠프에 참가한다. 현재 1군급 선수들과 같이 훈련을 하고있다. 스프링캠프에서 [[양현종]]으로부터 체인지업을 배웠으며 나와야 하는 릴리스 포인트에 비해 팔 높이가 낮아서 팔 각도를 올리는 연습을 하고 있다고 한다. 현재 1군에 좌완 불펜이 부족한 가운데 좌투수에 즉전에 가까운 최지민이 1군 개막 엔트리에 합류할 가능성이 생겼다. 2월 26일, [[한화 이글스]]와의 연습경기에서 7회초에 등판해 1이닝 1피안타 2K 무실점을 기록했다. 고교시절 보여준 커맨드는 여전하였으며 최고 구속은 138km/h였으나 1일 해설로 참여한 [[장정석]] 단장의 말에 따르면 추운 날씨와 아직 덜 올라온 실전 감각을 고려하였을때 시즌에는 3~4km정도 더 나올수 있다고 한다. 3월 3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연습경기에서 5회말에 등판해 1이닝 동안 4타자를 상대하며 '''무피안타''' 2K 무실점을 기록하였다. 3월 8일, [[한화 이글스]]와의 연습경기에서 [[유승철]]이 만든 1사 만루 위기를 탈삼진 2개로 깔끔하게 막아내고 2이닝 동안 무피안타 '''5K''' 무실점을 기록하면서 팬들의 기대감을 끌어올리고 있다. === [[KBO 시범경기|시범 경기]] === 3월 12일, [[NC 다이노스]]와의 원정 경기에 7회말에 등판해 2이닝 1피안타 2K 무실점을 기록했고 최고 구속은 142km/h를 기록했다. 3월 17일, [[kt wiz|KT 위즈]]와의 원정 경기에서 6회말에 등판해 1이닝 2피안타 1K 1실점을 기록했고 승리 투수가 되었다. 3월 22일, [[두산 베어스]]와의 홈 경기에서 9회초에 등판해 ⅓이닝 1피안타 2볼넷 2사구 3실점을 기록했다. 3월 25일, [[키움 히어로즈]]와의 홈 경기에서 6회초에 등판해 1이닝 무실점을 기록했다. 3월 27일, [[한화 이글스]]와의 원정 경기에서 9회말에 등판해 1이닝 1피안타 무실점으로 세이브를 기록했다. 3월 29일, [[SSG 랜더스]]와의 홈 경기에서 6회초에 등판해 1이닝 1피안타 2볼넷 1실점을 기록했다. 최종 성적은 5경기 6⅓이닝 6피안타 4볼넷 2사구 3K 5실점 1승 1세이브 ERA 7.11 WHIP 1.58 시범 경기에선 조금은 불안한 피칭을 보여줬지만 1군 엔트리에 합류했다. == 정규 시즌 == === 4월 === 4월 2일, 개막전인 [[LG 트윈스]]와의 홈 경기에서 4:0으로 뒤지고 있던 9회초에 등판해 1이닝 3피안타(1피홈런) 2볼넷 1사구 2K 5실점을 기록하며 데뷔전부터 쓴 맛을 봤다. 원래 제구력이 좋다는 평의 선수였으나 시범경기 후반부터 제구가 흔들리는 모습을 보이더니 역시 아직은 신인이다라는 모습을 보였다. 4월 8일, [[SSG 랜더스]]와의 원정 경기에서 3:0으로 뒤지고 있던 8회에 등판해 안타 2개로 위기를 맞았으나, 수비의 도움으로 1이닝 2피안타 1K 무실점을 기록했다. 4월 10일, 엔트리에서 말소되었다. 4월 12일, [[kt wiz|KT 위즈]]와의 퓨처스 리그 홈 경기에서 7회초에 등판해 1이닝 1볼넷 2K 무실점을 기록했다. 4월 13일, [[kt wiz|KT 위즈]]와의 퓨처스 리그 홈 경기에서 6회초에 등판해 1이닝 1피안타 1볼넷 1사구 1실점을 기록했고 패전 투수가 되었다. 4월 16일, [[롯데 자이언츠]]와의 퓨처스 리그 홈 경기에서 8회초에 등판해 1이닝 1사구 1K 무실점으로 홀드를 기록했다. 4월 20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퓨처스 리그 원정 경기에서 6회말에 등판해 1이닝 1피안타 1볼넷 1K 1실점을 기록했다. 4월 27일, [[고양 히어로즈]]와의 퓨러스 리그 홈 경기에서 4회초에 등판해 2이닝 1피안타(1피홈런) 3K 2실점(비자책)을 기록했고 패전 투수가 되었다. === 5월 === 5월 6일, [[한화 이글스]]와의 원정 경기에서 9회말에 등판해, 최고 구속이 146km/h까지 찍히는 등, 좋은 모습을 보이면서 삼진 2개를 솎아 삼자범퇴로 1이닝 2K 무실점을 기록하며 경기를 마무리 지었다. 5월 11일, [[kt wiz|KT 위즈]]와의 홈 경기에서 2이닝 3피안타 3볼넷 1K 2실점을 기록했다. 5월 12일, 엔트리에서 말소되었다. 5월 14일, [[LG 트윈스]]와의 퓨처스 리그 홈 경기에서 7회초에 등판해 1이닝 1피안타 1볼넷 1실점(비자책)을 기록했다. 5월 17일, [[NC 다이노스]]와의 퓨처스 리그 원정 경기에서 5회말에 등판해 1이닝 3피안타 1실점을 기록했다. 5월 20일, [[롯데 자이언츠]]와의 퓨처스 리그 홈 경기에서 6회초에 등판해 1이닝 2피안타 1볼넷 1K 1실점을 기록했다. 5월 22일, [[롯데 자이언츠]]와의 퓨처스 리그 홈 경기에서 8회초에 등판해 1이닝 1K 무실점을 기록했다. 5월 24일, [[kt wiz|KT 위즈]]와의 퓨처스 리그 원정 경기에서 5회말에 등판해 1이닝 4피안타 1K 3실점을 기록했다. 5월 25일, [[kt wiz|KT 위즈]]와의 퓨처스 리그 원정 경기에서 5회말 2사 2루 상황에 등판해 2⅓이닝 2피안타 1K 1실점으로 홀드를 기록했다. 5월 27일. [[두산 베어스]]와의 퓨처스 리그 원정 경기에서 5회말에 등판해 1이닝 4피안타 2실점(1자책)을 기록했고 패전 투수가 되었다. 5월 31일, [[상무 피닉스 야구단|상무 피닉스]]와의 퓨처스 리그 홈 경기에서 4회초에 등판해 2이닝 6피안타(1피홈런) 2볼넷 1사구 2K 4실점을 기록했다. === 6월 === 6월 8일, [[상무 피닉스 야구단|상무 피닉스]]와의 퓨처스 리그 홈 경기에서 2회초 무사 1루 상황에 등판해 2이닝 1피안타 3K 무실점을 기록했다. 6월 10일, 1군에 등록되었고, [[키움 히어로즈]]와의 홈 경기에서 아웃카운트를 하나도 잡지 못하며 0이닝 3피안타 2실점을 기록한 후 다음 날 말소되었다. 2023시즌 중반 들어 밝혀진 바에 의하면 구속이 잘 나오지 않자 실전 등판 대신 밸런스, 메커니즘을 수정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훈련을 진행했다고 한다. === 7월 === 7월 24일, [[kt wiz|KT 위즈]]와의 퓨처스 리그 홈 경기에서 6회초에 등판해 1이닝 무실점을 기록했다. 7월 27일, [[롯데 자이언츠]]와의 퓨처스 리그 원정 경기에서 6회말에 등판해 1이닝 2피안타 2K 1실점으로 홀드를 기록했다. 7월 30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퓨처스 리그 홈 경기에서 6회초에 등판해 1이닝 3피안타 2K 1실점을 기록했다. === 8월 === 8월 6일, [[NC 다이노스]]와의 퓨처스 리그 원정 경기에서 6회말에 등판해 1이닝 1피안타 1K 무실점을 기록했고 승리 투수가 되었다. 8월 10일, [[상무 피닉스 야구단|상무 피닉스]]와의 퓨처스 리그 홈 경기에서 6회초에 등판해 ⅔이닝 3피안타 1볼넷 1K 3실점을 기록했다. 8월 17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퓨처스 리그 원정 경기에서 6회말에 등판해 1이닝 2피안타 1볼넷 2K 2실점을 기록했고 패전 투수가 되었다. 8월 18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퓨처스 리그 원정 경기에서 6회말에 등판해 1이닝 무실점을 기록했다. 8월 20일, [[롯데 자이언츠]]와의 퓨처스 리그 홈 경기에서 7회초에 등판해 1이닝 2볼넷 1실점을 기록했다. 8월 25일, [[한화 이글스]]와의 퓨처스 리그 원정 경기에서 6회말에 등판해 1이닝 무실점을 기록했다. 8월 27일, [[상무 피닉스 야구단|상무 피닉스]]와의 퓨처스 리그 원정 경기에서 6회말 무사 1, 2루 상황에 등판해 1이닝 1피안타 1K 무실점을 기록했다. 8월 30일, [[NC 다이노스]]와의 퓨처스 리그 홈 경기에서 6회초에 등판해 1이닝 1볼넷 1K 무실점을 기록했다. === 9월 === 9월 1일, [[NC 다이노스]]와의 퓨처스 리그 홈 경기에서 6회초에 등판해 1이닝 1피안타 1볼넷 무실점을 기록했다. 9월 7일, [[SSG 랜더스]]와의 퓨처스 리그 홈 경기 DH 1차전에서 4회초에 등판해 1이닝 1피안타 무실점을 기록했다. 9월 13일, [[한화 이글스]]와의 퓨처스 리그 홈 경기에서 6회초에 등판해 ⅓이닝 4피안타 1볼넷 5실점을 기록했다. 9월 15일, [[한화 이글스]]와의 퓨처스 리그 홈 경기에서 7회초에 등판해 1이닝 2피안타 1실점을 기록했다. 9월 17일, [[NC 다이노스]]와의 퓨처스 리그 원정 경기에서 6회말에 등판해 1이닝 무실점을 기록했다. 9월 20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퓨처스 리그 홈 경기에서 7회초에 등판해 1이닝 1피안타 2볼넷 2K 무실점으로 홀드를 기록했다. 9월 23일, [[LG 트윈스]]와의 퓨처스 리그 원정 경기에서 6회말에 등판해 1이닝 1피안타 1볼넷 무실점을 기록했다. 9월 25일, [[LG 트윈스]]와의 퓨처스 리그 원정 경기에서 7회말에 등판해 1이닝 1피안타 1K 무실점으로 홀드를 기록했다. 9월 28일, [[상무 피닉스 야구단|상무 피닉스]]와의 퓨처스 리그 원정 경기에서 6회말에 등판해 1이닝 2피안타 2볼넷 1사구 3실점을 기록했고 패전 투수가 되었다. === 10월 === 10월 4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퓨처스 리그 홈 경기에서 7회초에 등판해 1이닝 1K 무실점으로 홀드를 기록했다. 10월 7일, 시즌 막바지에 1군 엔트리에 등록되었다. 10월 8일, 시즌 최종전인 [[kt wiz|KT 위즈]]와의 홈 경기에 등판했다. 최고 구속 145km/h, 평균 구속 144km/h 가까이의 공을 연거푸 뿌리며 1이닝 1피안타 1K 무실점으로 시즌 마지막 등판을 마쳤다. == 등판 기록 == ||<-20>
'''{{{#FFFFFF 2022년 정규시즌 최지민 등판 기록}}}''' || || '''날짜''' || '''상대''' || '''구장''' || '''승/패''' || '''이닝''' || '''투구수'''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자책)''' || '''누적 ERA''' || '''누적 WHIP''' || || 4/2 || [[LG 트윈스|LG]] ||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광주]] || '''ND''' || 1 || 33 || 3 || 1 || 3 || 2 || 5(5) || 45.00 || 5.00 || || 4/8 || [[SSG 랜더스|SSG]] || [[인천 SSG 랜더스필드|문학]] || '''ND''' || 1 || 18 || 2 || 0 || 0 || 1 || 0(0) || 22.50 || 3.50 || ||<-13> '''{{{#FFFFFF 4월 전체 2G 2이닝 0승 0패 ERA 22.50 3K WHIP 3.50}}}''' || || 5/6 || [[한화 이글스|한화]] ||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 파크|대전]] || '''ND''' || 1 || 15 || 0 || 0 || 0 || 2 || 0(0) || 15.00 || 2.33 || || 5/11 || [[kt wiz|KT]] ||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광주]] || '''ND''' || 2 || 47 || 3 || 0 || 3 || 1 || 2(2) || 12.60 || 2.60 || ||<-13> '''{{{#FFFFFF 5월 전체 2G 3이닝 0승 0패 ERA 6.00 3K WHIP 2.00}}}''' || || 6/10 || [[키움 히어로즈|키움]] ||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광주]] || '''ND''' || 0 || 12 || 3 || 0 || 0 || 0 || 2(2) || 16.20 || 3.20 || ||<-13> '''{{{#FFFFFF 6월 전체 1G 0이닝 0승 0패 ERA - 0K WHIP -}}}''' || || 10/8 || [[kt wiz|KT]] ||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광주]] || '''ND''' || 1 || 17 || 1 || 0 || 0 || 1 || 0(0) || 13.50 || 2.83 || ||<-13> '''{{{#FFFFFF 10월 전체 1G 1이닝 0승 0패 ERA 0.00 1K WHIP 1.00}}}''' || ||<-20> '''{{{#FFFFFF 시즌 전체 6G 6이닝 0승 0패 ERA 13.50 7K WHIP 2.83}}}''' || == 총평 == 연습 경기에서 호투를 보여주면서 기대감을 높였으나 실전의 벽은 컸는지 1군에서 난타를 당하고 2군에 있는 일이 많았다. 그래도 시즌 중후반부로 갈수록 포심의 구속이 상승한 것은 고무적이었다. '''그리고 이 구속 상승은 내년에 빛을 발하게 된다.''' [[분류:최지민]][[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경력]][[분류:KIA 타이거즈/202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