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한민국의 남성 디자이너]][[분류:폰트 디자이너]][[분류:1916년 출생]][[분류:1988년 사망]][[분류:영동군 출신 인물]][[분류:경기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교동초등학교 출신]] ||<-2> {{{+1 '''최정호'''}}}[br]崔正浩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0210315_113657.jpg|width=100%]]}}} || ||<|2> '''출생''' ||[[1916년]] [[11월 30일]]|| ||[[충청북도]] [[영동군]] 추풍령면|| || '''사망''' ||[[1988년]] [[6월 5일]] (향년 71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학력''' ||[[교동공립보통학교]] {{{-2 (졸업)}}}[br][[경기고등학교|경성제일공립고등보통학교]] {{{-2 (졸업)}}}|| || '''직업''' ||[[글꼴|폰트]] [[디자이너]]||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1세대 [[한글]] [[글꼴|폰트]] [[디자이너]]로 사실상 이 분야의 길을 처음 개척한 사람이다. == 생애 == [[충청북도]] [[영동군]]에서 태어났으며 [[서울교동초등학교|교동공립보통학교]]와 [[경기고등학교|경성제일공립고등보통학교]](현 경기고)를 다녔다. 고등학생 때부터 붓글씨를 잘 쓰기로 학교에서 유명했고 그의 가족들 역시 명필가였다고 한다. 졸업 후에는 일본으로 건너가 인쇄 미술을 공부하였으며 다시 한국으로 돌아와 최정호활자서체연구소를 설립한다. 오늘날에도 널리 쓰이는 [[명조체]], [[고딕체]], [[굴림체]]를 제작했으며 갈수록 발전하는 인쇄기술에 맞추어 더 작은 크기에서도 한글의 멋을 살리기 위한 디자인을 강구했다. 고딕과 굴림 같은 경우는 다른 언어의 서체를 참고할 수 있었겠지만 한글 바탕체 같은 경우는 붓글씨체를 기반으로 최정호가 처음 세부적인 부분을 다듬어 고안한 것이며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한자 명조체의 디자인을 참고한 한글 명조체는 '순명조'라고 불리며 북한에서 주로 사용되는 디자인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h_2.jpg|width=100%]]}}} || || 세종대왕기념관에 전시된 최정호의 원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최정호활자서체연구소.jpg|width=100%]]}}} || || 최정호활자서체연구소[* 당시 그의 연구소 건물 사진. 간판의 글꼴이 눈에 확 띈다. 저 시대에 저런 글꼴이면 정말 시대를 앞서간 것. ~~근대 시대극에서 옥의 티를 보는 느낌.~~] ([[서울시]] [[종로구]] [[내수동]]) || == 기타 == * [[2016년]] 탄생 100주년을 맞아 [[10월 5일]]부터 [[11월 17일]]까지 [[국립한글박물관]]에서 [[https://www.hangeul.go.kr/specialExh/specialExhView.do?curr_menu_cd=0103020100&no=42|원도, 두 글씨장이 이야기]]라는 기념전이 열려 [[최정순]]과 함께 다뤄졌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itle=최정호, version=20, paragraph=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