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width=30px]]]] {{{#cfa547 '''[[대한민국|{{{#cfa547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국회의원}}}]] ([[부산광역시|{{{#cfa547 부산}}}]] [[사하구 갑|{{{#cfa547 사하구 갑}}}]])'''}}} || || 제19대[br][[문대성]] || → || '''제20-21대[br]최인호''' || → || 현직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EA2 0%, #004EA2 20%, #004EA2 80%, #004EA2)" '''{{{#ffffff 대한민국 제20-21대 국회의원}}}[br]{{{#ffffff {{{+1 최인호}}}[br] 崔仁昊 | Choi In-h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민주최인호.jpg|width=100%]]}}} || ||<|2> {{{#ffffff '''출생'''}}} ||[[1966년]] [[10월 15일]] ([age(1966-10-15)]세) ||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군/행정|영산면]][* [[http://www.gnnl.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843|출처.]]] || || {{{#ffffff '''거주지'''}}}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 가락타운2단지아파트 || || {{{#ffffff '''본관'''}}} ||[[경주 최씨]] || || {{{#ffffff '''현직'''}}} ||[[제21대 국회의원]][br][[더불어민주당]] [[사하구 갑]] 지역위원장[br][[더불어민주당]] 제5정책조정위원장 || || {{{#ffffff '''SNS'''}}} ||[[https://blog.naver.com/cih1966|[[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https://youtube.com/channel/UCH2WkArkCgAkarKpeh9vh5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inho__official, 크기=20)] | [[https://facebook.com/LoveSaha|[[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ffffff '''가족'''}}} ||[[배우자]] 조지희(趙智姬), [[딸]] 최은솔 || || {{{#ffffff '''학력'''}}} ||{{{-1 [[영산초등학교|영산국민학교]]}}} {{{-2 ([[졸업]])}}}[br]{{{-1 금사중학교}}} {{{-2 (졸업)}}}[br]{{{-1 [[동인고등학교]]}}} {{{-2 (졸업)}}}[br]{{{-1 [[부산대학교/학부|부산대학교 사회과학대학]]}}} {{{-2 ([[정치외교학]] / [[학사]])}}}[br]{{{-1 [[부산대학교/학부|부산대학교 대학원]]}}} {{{-2 (정치외교학 / [[석사]]·[[박사]]과정 수료)}}} || || {{{#ffffff '''병역'''}}} ||[[보충역]] 및 소집면제 {{{-2 (수형)}}} || || {{{#ffffff '''종교'''}}} ||[[가톨릭|천주교]] {{{-2 ([[세례명]]: 루치오)}}} || || {{{#ffffff '''소속 정당'''}}}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 {{{#ffffff '''지역구'''}}} ||[[부산광역시|부산]] [[사하구 갑]] || || {{{#ffffff '''의원 선수'''}}} ||'''2''' || || {{{#ffffff '''의원 대수'''}}} ||'''[[제20대 국회의원|20]], [[제21대 국회의원|21]]''' || || {{{#ffffff '''소속 위원회'''}}} ||[[국토교통위원회]] (간사) || || {{{#ffffff '''경력'''}}} ||부산대학교 총학생회장[br][[제16대 대통령 선거]] [[새천년민주당]] [[노무현]] 후보 보좌역[br]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자문위원 {{{-2 ([[참여정부]])}}}[br][[대통령비서실]] 부대변인 {{{-2 (참여정부)}}}[br]대통령비서실 국내언론비서관 {{{-2 (참여정부)}}}[br][[열린우리당]] 전국청년위원장[br][[민주당(2008년)|민주당]] 부산광역시당 위원장[* [[조경태|지역 내 유일한 현역 국회의원]]을 제치고 시당 위원장이 된 것이다.][br][[민주통합당]] 부산광역시당 위원장[br][[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회 위원[br][[제20대 국회의원]] {{{-2 ([[사하구 갑|부산 사하구 갑]] / [[더불어민주당]])}}}[br][[더불어민주당]] 원내부대표[br]더불어민주당 을지로위원회 위원[br]더불어민주당 부산광역시당 위원장[br]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br]더불어민주당 원자력안전대책특별위원회 위원장[br]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br][[제21대 국회의원]] {{{-2 (부산 사하구 갑 / [[더불어민주당]])}}}[br]더불어민주당 제5정책조정위원장[br][[제21대 국회]] 후반기 [[국토교통위원회]] 간사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인]], [[국회의원]]이다. 소속 정당은 [[더불어민주당]]이며, 지역구는 부산광역시 사하구 갑이다. 제20·21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생애 == [[1966년]] [[10월 15일]],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에서 태어났다. 이후 부산 [[동인고등학교]](9회), [[부산대학교]]를 졸업하였다. 1988년 [[부산대학교]] 총학생회장을 거쳐 [[노무현]]의 비서로 처음 정계에 입문했다. 그리고 [[노무현]]과 함께 정치적 고락을 같이 하면서 2002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비서관으로 자리 잡았고, [[참여정부]] 출범 이후에는 청와대 부대변인과 국내언론비서관으로 근무하기도 했다. === 선거 출마 === 선거는 모두 부산에서만 출마했다. 제일 먼저 출마한 것은 [[2002년 재보궐선거|2002년 8.8 재보궐선거]]였는데, 당시 [[해운대구·기장군 갑]]에서 출마했지만, [[서병수]] 후보에게 패배했다. 그리고 2004년 탄핵 역풍 속에 치러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출구조사 결과는 당선으로 나왔지만, 실제 선거에서는 44.44% 득표로 만족하면서 패배하고 말았다.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는 불출마하면서 한동안 정치권과 거리를 두다가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를 계기로 [[민주당(2008년)|민주당]]에 복당, 2010년 부산시당 위원장으로 '''그것도 무려 [[조경태|부산 유일의 현역 국회의원]]을 꺾고 당선되어 활동하게 된다.'''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사하구 갑]]으로 지역구를 옮겨 출마했는데, 상대인 [[문대성]] 후보가 낙하산 공천으로 인한 조직 분규+논문 표절 의혹 콤보로 곤경에 빠지면서 어느 때보다 당선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졌고, 실제로도 출구조사에서도 승리하는 것으로 나왔지만 결과는 또 다시 2,000표 차이의 패배였다. 17대, 19대 모두 출구조사에서 이기고 실제 선거에서 졌다고 붙여진 별명이 바로 출구조사 재선의원. 이후 [[조경태]]의 문재인에 대한 비판을 문제삼았고, 새정치민주연합의 분당 과정에서 구축된 혁신위원회의 위원을 맡아 [[이해찬]]의 용퇴를 주장하였다. === 제20대 국회의원 === [[더불어민주당]]으로 당명 변경 후에는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부산 [[사하구 갑]]에 단수공천 되었다. 마침내 출구조사와 본선에서 [[새누리당]] [[김척수]] 후보를 상대로 모두 이기면서 처음으로 금배지를 다는데 성공했다. 부산 지역 더불어민주당의 돌풍의 근원 중의 한 명으로 자리매김하며, 부산권 선거에 출마한지 14년 만에 국회 입성에 성공했다. [[낙동강 벨트]]의 하나로 분류되었다. 2016년 8월 27일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에서 영남권 몫의 최고위원으로 당선되어 2기 지도부 최고위원으로 2017년 2월까지 역임하였다. 영남권 최고위원직의 후임은 [[임대윤]] 대구시당위원장이다. 2018년 2월 5일 대정부질문에서 당시 국민의당이었던 이언주 의원과 자유한국당 안상수 의원이 통일부 장관에게 극언에 가까운 질문을 한 것과 국무총리를 향해 북한의 대변인 같다고 말한 것에 대해 "도대체 대한민국의 국회에서 어떻게 이렇게 무식한 색깔공세를 할 수 있습니까? 제발 좀 자중해 주세요!" 라고 받아쳤다. 2019년 12월 24일 [[2019년 국회 필리버스터/진행 상황|국회 필리버스터]]에서 여당 측 발언자로 참석해 발언하기도 하였다. 초선 임기 동안 대표발의해 가결시킨 법안들은 다음과 같다. * '''도시가스사업법''' 일부개정: 법이 규정하는 "도시가스충전사업자"에 선박용 천연가스 사업자를 추가 * '''노후거점산업단지의 활력증진 및 경쟁력강화를 위한 특별법''' 제5조 1항: 노후거점산업단지 경쟁력강화 추진위원회를 국무총리 소속에서 [[산업통상자원부]]/국토교통부 공동소속으로 변경 *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 사업법''' 제12조 4항: 주유소의 휴업 및 폐업을 신고받은 지자체가 안전 및 환경오염 문제를 검토할 수 있도록 신고 내용을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소방청으로 전달 * '''지능형 로봇 개발 및 보급 촉진법''' 제41조의2: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이 산업통상자원부로 업무 및 재산에 관한 보고를 전달할 법적 근거 마련 === 제21대 국회의원 === 21대 총선에서도 단수공천을 받아 재선에 도전한다. 그리고 치열한 접전 끝에 재선을 확정지었다. [[https://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82&aid=0000996429|#]] 본선거일 투표함에서는 줄곧 상대 [[김척수]] 후보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다가 새벽 1시경부터 갑자기 역전당해 격차가 삽시간에 벌어졌는데[* 이 당시 네이버, 다음 등의 포털에서는 김척수 후보 '당선유력'을 걸어두고 있던 상태였다.], 새벽 4시경 열린 사전투표함에서 거의 최인호 후보의 몰표가 나와 한순간에 다시 결과가 뒤집어졌다. 최종 결과 50.00% : 49.13%로 '''득표오차 0.87%p(697표차)''' 차이로 간신히 김척수를 꺾고 재선을 확정했다.[* 인천 [[동구·미추홀구 을]]의 [[윤상현(정치인)|윤상현]](171표차), 충남 [[아산시 갑]]의 [[이명수]](564표차) 다음으로 3번째로 적은표차로 당선되었다.] [[사하구]]에서 [[민주당계 정당]] 국회의원이 재선에 성공한 것은 [[사하구 을]]의 [[조경태]] 이후 두 번째이며 [[사하구 갑]] 지역구에서 재선에 성공한 민주당계 정당 국회의원으로는 최초이다. 한때 출구조사 재선의원이란 별명으로 불렸던 그는 이제 진짜 재선의원이 되었다. == 사건사고 == * 1989년 10월 19일 [[부산지방검찰청]]은 최인호를 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위반 혐의로 수배했다. 당시 부산·울산지역총학생협의회 의장이었던 최인호는 다른 부산·울산지역총학생협의회 간부들과 함께 부산·울산지역총학생협의회 선전국장인 김모씨(당시 부산외국어대학 휴학생)를 감금, 구타하며 프락치임을 자백하라고 강요한 혐의를 받았다.[[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9102000289111009&editNo=4&printCount=1&publishDate=1989-10-20&officeId=00028&pageNo=11&printNo=443&publishType=00010|#]] 그해 10월 26일 [[부산광역시경찰청|부산시 경찰국]]은 최인호에게 개별출석요구서를 발부했다.[[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910260020921500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9-10-26&officeId=00020&pageNo=15&printNo=20944&publishType=00020|#]] 11월 18일 새벽 3시 30분 경 부산 [[금정경찰서]]는 경찰 170여명을 [[부산대학교]]에 투입,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사전구속영장이 발부되어 있던 최인호를 구속했다.[[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9111900289111012&editNo=4&printCount=1&publishDate=1989-11-19&officeId=00028&pageNo=11&printNo=469&publishType=00010|#]] 1990년 9월 12일 특수공무집행방해치상, 중감금치상, 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위반, 집회및시위에관한법률위반, 화염병사용등의처벌에관한법률위반, 노동쟁의조정법위반, 중감금미수, 국가보안법위반(기타) 혐의로 징역 2년, 자격정지 2년을 선고받았으며 1993년 3월 6일 특별사면복권되었다. * 2000년 4월 12일 [[음주운전]]으로 벌금 150만원을 선고받은 적이 있다. == 여담 == * 같은 당 동료 의원인 [[김종민(1964)|김종민]] 의원과 함께 손 꼽히는 [[출구조사]] 브레이커였다. 다만 김종민 의원과는 반대로 2번이나 출구조사에서 이기고 본 개표에서 뒤집혀 낙선한 케이스다. [[17대 총선]] 때엔 부산 [[해운대구·기장군 갑]] 선거구에 출마해 출구조사에선 [[한나라당]] [[서병수]] 후보를 이겼지만 본 개표에서 역전패를 당했다. [[19대 총선]] 때엔 부산 [[사하구 갑]]으로 지역구를 옮겨 출마했는데 출구조사에선 [[새누리당]] [[문대성]] 후보를 이겼지만 또 본 개표에선 역전패를 당했다. 그래서 그에게 붙은 별명이 '출구조사 재선의원'이었다. 그러나 이젠 그것도 옛말이고 [[20대 총선]]과 [[21대 총선]]에선 [[김척수]] 후보를 상대로 출구조사, 본 개표 모두 승리해 진짜 재선의원이 되었다. * 2021년 [[4.7 재보궐선거]]의 사전투표율이 역대 재보선 투표율 중 최고치를 기록한 것과 관련해 "[[사전투표]]에서 민주당이 크게 이긴 것"이라고 진단하며 피 말리는 1% 싸움으로 갈 것이라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2&aid=0003568060|주장했으나]] [[박영선]], [[김영춘]] 후보 둘 다 [[2021년 재보궐선거/개표 결과|엄청난 격차로 대패]]하고 말았고 특히 김영춘 후보는 거의 더블스코어 수치로 낙선했다. 민주당 후보가 서울과 부산의 모든 자치구에서 패배한 것은 덤. * [[대구경북신공항]] 특별법을 공개적으로 반대하고 있다. "앞으로 2월 달에 교통법안 심사를 할 때 TK통합신공항 건도 같이 논의하되, 문제로 지적된 TK신공항 특별법 내용 중에서 삭제하거나 대폭 수정이 없으면 절대 통과시키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 때문에 [[대구광역시]]와 [[부산광역시]]가 싸울 수도 있으며 이로 인한 [[국민의힘]] 분열을 통해 최인호의 소속 정당인 [[더불어민주당]]이 거대한 이득을 볼 수 있게 만들었으며, [[가덕도신공항]]과 [[대구경북신공항]]이 각 지역의 반대로 인해 위상이 격하되거나 아예 지어지지 못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들었다. [[https://www.busan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297013|#]] 결국 대구경북신공항 특별법을 누더기법으로 수정하였는데 위상을 중추공항에서 거점공항으로 격하시키고 최대 중량 항공기 이착륙이 빠졌으며, 예타 면제 범위를 축소하였고 주변 개발 예정 범위 또한 20km에서 10km로 반토막이 났다. 반면 부울경 지역에서는 [[가덕도신공항]]을 중추공항으로 격상시키라고 국토교통부에 요구하는 중이다. [[https://m.ohmynews.com/NWS_Web/Mobile/at_pg.aspx?CNTN_CD=A0002912088#cb|#]] [[https://mnews.imaeil.com/page/view/2023032116341736320|#]] * 지역구를 줄이고 비례대표를 확대하는 법안을 발의하였다.[* 이에 대해 지역이기주의를 줄이고 사표를 방지하여 정치적 다양성을 포용한다는 장점도 있으나 정당민주주의가 담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비례대표제는 의원을 국민이 아닌 정당에 충성하게 만든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https://youtu.be/Xev9tFJIQ04|#]]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2002 || [[2002년 재보궐선거#s-2|상반기 재보궐선거]][br]([[제16대 국회의원|국회의원]]) ||<|2> 부산 [[해운대구·기장군 갑|해운대·기장 갑]]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8,065 (20.00%) ||<|3> 낙선 (2위) || [* 전임자 [[손태인]] 전 의원 사망.]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열린우리당)] || 57,539 (44.44%) ||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3> 부산 [[사하구 갑|사하 갑]] || [include(틀:민주통합당)] || 28,075 (41.61%) ||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2>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34,080 (49.36%)''' ||<|2> '''당선 (1위)''' || '''초선'''[* 4번의 선거 중 첫 당선.] || || 2020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39,875 (50.00%)''' || '''재선''' || ---- || {{{#ffffff '''역대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최인호 17총.jpg|width=100%]]}}} || || [[2002년 재보궐선거#s-2|{{{#000,#fff 2002년 상반기 재보궐}}}]] [[해운대구·기장군 갑|{{{#000,#fff (부산 해운대구·기장군 갑)}}}]]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000,#fff 17대 총선}}}]] [[해운대구·기장군 갑|{{{#000,#fff (부산 해운대구·기장군 갑)}}}]]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최인호 19총.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최인호 20총.jpg|width=100%]]}}} ||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000,#fff 19대 총선}}}]] [[사하구 갑|{{{#000,#fff (부산 사하구 갑)}}}]]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000,#fff 20대 총선}}}]] [[사하구 갑|{{{#000,#fff (부산 사하구 갑)}}}]]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최인호 21총.jpg|width=100%]]}}} || ||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000,#fff 21대 총선}}}]] [[사하구 갑|{{{#000,#fff (부산 사하구 갑)}}}]] || ||}}}}}}}}}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부산광역시)]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부산광역시)]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지역위원장/부산광역시)]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중앙당)]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창녕군 출신 인물]][[분류:경주 최씨]][[분류:1966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가톨릭 신자]][[분류:참여정부/인사]][[분류:제20대 국회의원]][[분류:제21대 국회의원]][[분류:부산대학교 출신]][[분류:부산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동인고등학교 출신]][[분류: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분류:더불어민주당 소속]][[분류:학생운동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