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코미디언, rd1=최영수(코미디언), other2=양궁선수, rd2=최영수(양궁), other3=소방공무원, rd3=최영수(소방공무원))] [include(틀:역대 천주교 대구대교구장)] ---- ||<-3> '''9대 [[천주교 대구대교구|{{{#000000 천주교 대구대교구}}}]]장'''[br] '''{{{+1 최영수 [[사도 요한|{{{#000000 사도 요한}}}]]}}}'''[br] '''崔榮壽''' | '''John Choi Young-su''' || ||<-3> [[파일:external/www.cbck.or.kr/choijhon1.jpg|width=100%]] || ||<|2> '''출생''' ||<-2>[[1942년]] || ||<-2>[[경상북도]] [[경산시|경산군]] [[하양읍|하양면]][br](現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 ||<|2> '''사망''' ||<-2>[[2009년]] [[8월 31일]] 06시 20분 (향년 67세) || ||<-2>[[대구광역시]] [[남구(대구)|남구]] [[대명동(대구)|대명동]]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 || '''국적''' ||<-2>[[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 ||<|2> '''주교 임명일''' ||<-2>[[2001년]] [[2월]] 보좌주교 임명 || ||<-2>[[2006년]] 부교구장 임명, 대주교 승품 || ||<|3> '''재임기간''' ||[[천주교 대구대교구|대구대교구]] 보좌주교 ||[[2001년]] [[2월 27일]] ~ [[2006년]] [[2월 2일]]|| ||[[천주교 대구대교구|대구대교구]] 부교구장 ||[[2006년]] [[2월 3일]] ~ [[2007년]] [[4월 29일]]|| ||대구대교구장 ||[[2007년]] [[4월 30일]] ~ [[2009년]] [[8월 17일]] || ||<-3> [[파일:최영수_문장.jpg|width=100%]] || ||<-3> '''{{{#000000 그리스도와 함께}}}'''[* (1코린 1,5)라는 표어는 그리스도와 함께 살고, 그리스도의 뜻에 따라 살며, 그리스도의 정신대로 생각하고 실천할 때 비로소 그리스도와 일치를 이룰 수 있다는 의미이다. 외부윤곽은 [[대구대교구]] 주보 [[루르드의 성모]]를 푸른 망토를 입은 모습으로 형상화 하였다. 머리 위의 별은 12개의 별이 달린 월계관([[요한묵시록]] 12,1)을 상징한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 가톨릭]]교회의 제9대 [[대구대교구]]장. 세례명은 '[[사도 요한]]'이다. == 생애 == 1942년 [[경상북도]] [[경산군]] [[하양읍|하양면]]에서 태어나 [[경북고등학교]], [[가톨릭대학교/성신교정|서울 가톨릭대학교]]를 거쳐 1970년 [[성품성사|사제서품]]을 받았다.[* 반공 인사로 유명한 [[예수회]] [[박홍(종교인)|박홍 루카]] 신부가 최영수 대주교와 같은 날 사제서품을 받았다.] 포콜라레 운동[* 1943년에 시작되어 교황청 인준을 받은 신심단체로, 한국에선 대전 [[성심당]] 빵집이 이 운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유명하다.]을 우리나라에 도입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가톨릭신문]]사 사장, [[대구평화방송]] 사장 등을 지냈다. 2001년 2월에 대구대교구 보좌주교(시티피스 명의주교)로 서품되었고, 2007년 4월 대구대교구장에 착좌했다. [[파일:external/web.pbc.co.kr/217613_1.0_titleImage_1.jpg]] 최영수 대주교는 대구대교구 사제ㆍ부제 서품식을 주례하느라 같은 날인 6월 29일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대축일에 거행된 교황의 팔리움[* (트라피스트회 수도원에서 키운) 양의 흰털로 만든 띠로, [[관구]]장 대주교의 상징이다.] 수여식에 참석하지 못하고, 다음달 교황을 대신한 주한교황대사 에밀 폴 체릭[* Emil Paul Tscherrig, 1947년생 스위스인 대주교로,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주한교황대사를 역임하였으며, 2021년 현재는 이탈리아 교황대사로 일하고 있다.] 대주교에게서 팔리움을 받았다. 2009년 6월 27일 건강이 악화되어 [[중환자실]]에 입원했고, [[베네딕토 16세]] 교황이 8월 17일 건강상의 이유로 청원한 교구장직 사임서를 수락했다. 그 후 2주 만인 2009년 8월 31일(월) 06시 20분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에서 지병으로 사망했다. 향년 67세. 후에 [[조환길]] 대주교가 [[이문희]] 대주교 추모 강론에서 이를 언급하며, 최 대주교가 너무 이른 나이에 돌아가셨다고 안타까워했다. [[분류:천주교 대구대교구장]] [[분류:경북고등학교 출신]] [[분류:가톨릭대학교 출신]] [[분류:대한민국의 가톨릭 대주교]] [[분류:1942년 출생]] [[분류:2009년 은퇴]] [[분류:2009년 사망]] [[분류:경산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