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두산 베어스 소속 야구선수, rd1=최세창(야구선수))] [include(틀:대한민국 역대 국방부장관)] || {{{#fff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한국광물자원공사|{{{#ffffff 대한광업진흥공사}}}]] 사장'''}}} || ||<-5> [[한국광물자원공사|[[파일:대한광업진흥공사 CI.svg|width=130]]]] || || 6대[br][[윤승식]] || → || '''7대[br]최세창''' || → || 8대[br][[정만길]] || ---- [include(틀:대한태권도협회의 역대 회장)] ---- [include(틀: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 ---- [include(틀:제3야전군사령관)] ---- [include(틀:대한민국 역대 육군참모차장)] ---- [include(틀:제1군단장)] ---- [include(틀:역대 수도방위사령관)]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1e31, #ec1e31 20%, #ec1e31 80%, #ec1e31)" '''[[대한민국 국방부장관|{{{#fff 대한민국 제29대 국방부 장관}}}]][br]{{{#fff {{{+1 최세창}}}[br]崔世昌 | Choi Se-chan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289290980.jpg|width=100%]]}}} || ||<|2> '''출생''' ||[[1934년]] [[4월 17일]] ([age(1934-04-17)]세) ||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부]] 명치정2정목[br](現 [[대구광역시]] [[중구(대구)|중구]] [[계산동(대구)|계산동2가]]) || || '''본관''' ||[[경주 최씨]]|| || '''호''' ||유광(維光)|| ||<|6> '''재임기간''' ||제9대 [[제3야전군사령부|제3야전군사령관]] || ||[[1985년]] [[12월]] ~ [[1987년]] [[12월]]|| ||제22대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합동참모의장]] || ||[[1987년]] [[12월 30일]] ~ [[1989년]] [[4월 14일]]|| ||제29대 [[대한민국 국방부장관|국방부 장관]] || ||[[1991년]] [[12월 20일]] ~ [[1993년]] [[2월 26일]]||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모''' ||아버지 [[최윤동]], [[어머니]] 김창성 || || '''형제자매''' ||5남 2녀 중 4남 || || '''학력''' ||[[경북고등학교|경북중학교]] {{{-2 (전학)}}} → [[경동고등학교|경동중학교]] {{{-2 (졸업 / 9회)}}} || || '''경력''' ||[[대한광업진흥공사]] 사장[br]제29대 국방부 장관 || ||<-2> '''군사 경력''' || || '''임관''' ||[[육군사관학교]] {{{-2 (13기)}}} || ||<|2> '''복무''' ||대한민국 육군 || ||1957년 ~ 1989년 || || '''최종 계급''' ||대장 {{{-2 (대한민국 육군)}}}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 [[군인]], [[관료]]. '''[[하나회]]의 일원으로 [[12.12 군사반란]]에 직접적으로 가담'''하였으며 직속 상관인 [[정병주]] 육군특수전사령관을 체포하는 [[하극상]]을 벌이고 이 공로로 승승장구하여 [[신군부]] 정권에서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합동참모의장]], [[대한민국 국방부장관|국방부 장관]]을 역임했다. 이후 5.18 특별법 제정에 따라 그를 포함한 신군부에 대한 사법적 심판이 내려지면서 반란, 정권 찬탈, 민간인 학살 등의 범죄에 주도적으로 가담한 사실이 인정되어 5년 형을 선고 받았으나 2년도 되지 않아 사면을 받아 대가를 치르지 않은 정치 군인. == 생애 == 1934년 4월 17일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부]] 명치정2정목(현 [[대구광역시]] [[중구(대구)|중구]] 계산동2가)[[https://bestagora.tistory.com/2541#SS2|#]]에서 [[독립운동가]] 출신[* [[의열단]], [[신간회]]에서 활동했다.]인 아버지 [[최윤동]]과 어머니 김창성 사이의 5남 2녀 중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http://news.kmib.co.kr/article/viewDetail.asp?newsClusterNo=01100201.19921003000000901|#]] 1945년 [[광복]] 후 [[경북고등학교|경북중학교]]에 입학했다가[* 경북고 34회 졸업생으로 대우하고 있다. 경북고-육사 2년 직계 선배가 노태우다.] 1948년 아버지 최윤동이 [[제헌 국회의원]]에 당선되자 상경하여 [[경동고등학교|경동중학교]](9회)에 전학해 졸업하고 [[육군사관학교]](13기)에 입학하여 군에 임관하였다. 생도 시절에는 중간 정도의 성적으로 그다지 눈에 띄지 않았으나 임관 후에는 철저한 명령 복종과 임무 수행 자세로 높이 평가받아 진압 작전 등 특수 작전에 동원되고는 했다. 1950년대 말 [[전두환]], [[장기오]], [[차지철]] 등과 함께 [[미국]]에서 특수전 훈련을 받기도 했다. 1977년 [[육군특수전사령부]] [[제3공수특전여단]]장([[준장]])에 임명되었고 1979년 10월 [[부마민주항쟁]] 때도 진압군의 지휘관으로 투입되었다.[* 훗날 5.18 민주화운동 때에도 진압군의 지휘관 중 1명이었다.] 1979년 12.12 군사반란 당시 [[제1공수특전여단]]장 [[박희도]]와 더불어 휘하 병력인 제3공수특전여단을 동원하여 반란에 직접적으로 가담하면서 신군부의 일원이 된다. 최세창은 전두환으로부터 직속 상관인 정병주 육군특수전사령관을 체포하라는 지시를 받았고[* 드라마 제5공화국에서는 전두환한테 정병주 체포에 관해서는 다시 생각해달라고 간청하는 모습도 나오기는 했다.] 정병주 [[장군]]에게 [[쿠데타]] 가담을 설득하였으나 정병주의 거부로 실패하자 휘하 장교 [[박종규(1944)|박종규]] [[중령]]에게 체포를 지시한다.[* 여담으로 [[코리아게이트(드라마)]], [[제4공화국(드라마)]], [[제5공화국(드라마)]]에서 정병주 육군특수전사령관이 만류하는데도 반란에 가담하겠다고 하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대한민국 육군본부]]와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를 점령한 박희도, 최전방 9사단 병력을 중앙청 앞으로 출동시킨 [[노태우]]와 더불어 [[불법]]적인 병력 동원을한 반란 가담자로 특히 자기 직속 상관에게 총부리를 들이댄 가장 악질적 범죄자. 1980년 [[5.18 민주화운동]]을 진압하기 위해 파견된 제3공수특전여단에 실탄 배부와 실탄 사용을 지시하는 등 신군부 정권 탄생을 위한 유혈 진압에도 일조했다.[* 시위대에 대한 발포 지시의 책임자는 아직까지도 밝혀지지 않았다.] 12.12 군사반란에서 공을 세운 것과 더불어 전두환의 직계 하나회 멤버[* 최세창의 하나회 가입 시기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으나 만년에 가입한 멤버로 초기 하나회 멤버는 아닌 것으로 알려진다.]로서 제5공화국에서 육군사관학교 13기 선두주자로 승승장구했다. 20사단장[*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인근의 충정 부대이기 때문에 군사 정권에서 20사단장은 요직 중 하나였다.], [[수도방위사령부|수도방위사령관]], 1군단장, [[대한민국 육군참모차장|육군참모차장]] 등 요직을 역임했으며 대장 1차 보직 중 최고 요직인 [[제3야전군사령관]]으로 진급해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육군참모총장]] 영전을 눈 앞에 두었다. 그런데 전두환이 퇴임을 앞두고 충복인 하나회 12기 박희도 육군참모총장의 임기를 1년 연장함으로써 최세창은 어쩔 수 없이 합동참모의장[* 당시만 해도 합동참모의장은 작전권을 보유하지 않아서 참모총장에 비해 권한이 약했다. 선두주자였던 최세창이 합동참모의장에 그치면서 13기는 육군참모총장을 배출하지 못했다.]으로 가게 되었다. 이후 [[노태우 정부]]에서 전두환의 직계 군맥이었기 때문에 임기를 다 채우지 못하고 [[대장(계급)|대장]]으로 예편하였으며 [[대한광업진흥공사]] 사장을 역임하다가 예편 후 2년 반이 지나 노태우에게 다시 등용되어 국방부 장관 등을 역임하였다. 1997년 4월 [[대법원]]에서 열린 [[12.12 군사반란]] 및 [[5.18 민주화운동]] 관련 [[재판(법률)|재판]]에서 반란 가담, 상관 살해 미수 등의 혐의로 [[징역]] 5년형을 선고받았으나 1998년 8월 15일 [[사면]]되었다. == 기타 == * [[대한태권도협회]]의 15~16대 회장직을 맡았다. * 2017년 8월 24일 5.18 민주화운동 당시 발포 명령이 내려진 부대의 책임자로 밝혀졌다. [[https://www.youtube.com/watch?v=ZHDctgZ-_SU|관련 뉴스 링크]] 부대원들의 증언에 따르면 최세창 당시 여단장이 현장에 나와 휘하 대대장과 중대장을 직접 지휘했고 하늘에 권총을 쏘며 조준사격을 지시했다고 한다. * 2019년 12월 12일에는 '12.12 군사반란 40주년'이었는데 자신의 [[절친]]인 전두환 전 [[대통령]], [[정호용]] 전 국방장관, [[박희도]]전 육군참모총장 등과 같이 호화만찬을 즐기면서 사회적 지탄을 받았다.[[https://youtu.be/95bRpw6OTh0?si=ywCrf09Nti6t6ptw&t=89|관련 링크]][* 이외에도 전두환, 정호용과 친분이 있는 [[김장환]] 목사 부부 또한 동석했다고 한다.] * 2021년 10월 26일에 [[노태우]] 전 대통령이 사망한 이후 [[국가장]]으로 치르게 되었을때 <노태우 전 대통령 장례위원회 위원> 유족 측 장례위원 중 이름을 올렸다.[[https://mobile.newsis.com/view.html?ar_id=NISX20211028_0001631512|#]][* 최세창이 노태우 정부 당시 국무위원이였기에 이름을 올린 듯 하다.] == 대중매체에서 == * 1995년 [[SBS]] 드라마 <[[코리아게이트(드라마)|코리아게이트]]>에서는 배우 [[박남현(배우)|박남현]]이 연기했다.[* 박남현은 최세창을 연기할 때 부정확하고 새는 발음 그리고 [[서남 방언]] 말투가 묻어나와 해당 영상에서 이를 지적하는 댓글을 볼 수 있다.] * 1996년 [[MBC]] 드라마 <[[제4공화국(드라마)|제4공화국]]>에서는 배우 [[김영일]][* <[[걸어서 하늘까지]]>에서는 깡패 두목 제트기 역, <[[여자의 남자]]>에서는 [[청와대]] 경호원 역. 1996년 '석정'이라는 [[법명]]으로 [[불교]]계에 귀의하였다.]이 연기했다. * 2005년 [[MBC]] 드라마 <[[제5공화국(드라마)|제5공화국]]>에서는 배우 [[이기영(배우)|이기영]]이 연기했다. ||
[[파일:제5공 최세창.png|width=100%]]|| || 제5공화국의 최세창 || * 2023년 영화 [[서울의 봄(영화)|서울의 봄]]에서는 김창세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배우는 [[김성오]].[* 배역명부터가 최세창의 '세창'을 뒤집은 이름이다. 참고로 김창세를 연기한 김성오 배우는 특전사 출신은 아니지만 특공대에서 근무했던 이력이 있다.] 제5공화국과는 다르게 여기서는 피도 눈물도 없는 냉혈한으로 등장하는데 드라마에서는 마지막까지 사령관을 설득 및 회유하려 했고, 설득에 실패하자 무릎을 꿇으며 차라리 지금 이 자리에서 자신을 쏘라며 니름대로 직속상관에 대한 의리를 지키려 했으나[* 정병주 사령관 역시 최세창이 하나회긴 하지만 전두환의 압박에 의해 마지못해 참석한것으로 생각하고 지금이라도 마음을 바꾼다면 자신이 책임지고 최세창을 비호해주겠다 약속한다.] 전두환의 압박에 못이겨 마지못해 사령관 체포명령을 내렸지만[* 진행상황을 알아보고자 전화한 전두환에게 꼭 이 방법 밖에 없냐며 다른 방법을 찾이보겠다 했으나 한시가 급한 전두환은 직속상관이라 부담스러우면 부하들을 시키라며 정병주 사령관 체포를 종용했다.] 여기선 본인 스스로가 부하들에게 사령관 체포를 닥달하며 사령관실 진압 및 체포를 명령하며, 총상을 입어 피철갑이 된 사령관을 아래로 내려보며 냉소를 짓는다. 특히 옆에 죽어있는 오진호는 아예 거들떠보지도 않고 진압 성공 후 위생병 부르라는 한 마디만 남기고 퇴장하는게 압권. 등장 장면은 짧지만 악역 임팩트 하나 만큼은 정말 강하게 남겼다.[* 특히 오진호의 시체 옆에서 공수혁 특전사령관에게 ",친한 동생이라며? 니가죽인거야...!"라고 일갈을 듣고 망연자실하여 넋이 나가있는 박 중령 옆에서 "사령관님께 개인적인 원한은 없습니다"라고 말하며 사령관의 권총을 발로 차서 밀어버린다. 배우의 연기력 덕분인지 찌질한 모습을 보였던 2여단장 [[박희도|도희철]]과는 다르게 정말로 악마에 가까운 모습을 보여줬다. 영화 평에 배우가 전에 맡았던 아저씨의 종석이 생각난다는 평이 있을 정도.] == 둘러보기 == [include(틀:12.12 군사반란 가담자)] [include(틀:5.18 민주화운동)] [include(틀:노태우 정부의 국무위원)] [[분류:1934년 출생]][[분류:중구(대구) 출신 인물]][[분류:경주 최씨]][[분류: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분류:12.12 군사반란/관련 인물 및 단체]][[분류:5.18 민주화운동/관련 인물 및 단체]][[분류:경동고등학교 출신]][[분류:육군사관학교 출신]][[분류:노태우 정부/인사]][[분류:전두환 정부/인사]][[분류:위기관리정부/인사]][[분류:박정희 정부/인사]][[분류:국방부 장관]][[분류:하나회]][[분류:독립유공자 후손]][[분류:한국광물자원공사 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