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독립운동가 프로젝트]][[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강릉 최씨]][[분류:합천군 출신 인물]][[분류:1893년 출생]][[분류:1970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국장]][[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분류:경희대학교 출신/전신 학교]]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운동가|{{{#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br] {{{#ffffff '''{{{+1 최석호}}}'''[br]'''崔碩鎬'''}}}}}} || ||<-2> [[파일:최석호1.jpg|width=300]] || ||<|2> '''출생''' ||[[1893년]] [[4월 2일]] || ||[[경상도]] 초계현 덕곡면 포두리[br](현 [[경상남도]] [[합천군]] [[덕곡면(합천)|덕곡면]] 포두리)[* [[강릉 최씨]] 집성촌이다.] || ||<|2> '''사망''' ||[[1970년]] [[11월 30일]] || ||[[경상남도]] [[고령군]] 고령면 장기동[br](현 경상남도 고령군 [[대가야읍]] 장기리) || || '''본관''' ||[[강릉 최씨]]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 || ||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 || [목차] == 개요 == 한국의 독립운동가.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최석호는 1893년 4월 2일 경상도 초계현 덕곡면(현 경상남도 합천군 덕곡면) 포두리에서 태어났다. 그는 18세 때인 1911년 8월 우물가에서 알몸으로 몸을 씻으며 거드름을 피우던 일본인을 '게다' 짝으로 폭행한 뒤 그 길로 만주로 망명했다고 한다. 이후 [[신흥무관학교]]에 입학하여 중국어와 군사학을 익힌 뒤 1919년 동빈현(東賓縣) 마가점(馬家店)[* 현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 [[하얼빈시]] 상즈(尙志)시 헤이룽궁(黑龍宮)진 셴싱(鮮興)촌. 동빈현은 이후 옌서우(延壽)현으로 개칭되어 마찬가지로 하얼빈시 관할이 되었다.] 남산 밑에 신촌이라는 한인농장을 세워 동포들을 정착시켰다. 그는 6개의 자치농장을 세웠는데, 때로는 마적과 일본헌병에 쫓겨 농장을 네 번이나 옮기는 곤경에 처했다. 하지만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가는 곳마다 한인농민학교를 세워 청년들을 계몽하고 우수한 열혈 청년들을 뽑아 낙양무관학교에 보내기도 했으며, 농장의 각 부락마다 60명씩 산림유격대를 조직, 낮에는 농사일, 밤에는 독립군으로 싸우게 했고 공동정미소를 차려 쌀을 유학생과 군의 군량미로 보탰다. 1923년 신민부가 수립되어 집행부위원장에 김혁, 군사위원장에 [[김좌진]]이 임명되었을 때, 그는 재무부장을 맡아 군량미와 군자금을 댔다. 또한 같은 해 조직된 청년회 회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그리고 신민부에 참의원(參議院)이 구성되자 안용수(安龍洙)·이백향(李白香)·[[이장녕]]·[[남극(독립운동가)|남극]] 등과 함께 참의원(參議員)에 선출되어 일하였다. 1929년에는 하동(河東)자치농장을 운영하면서 유격대를 편성하여 일본군을 기습 공격하고 철도를 파괴하는 등 지하활동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1930년 7월 일본 헌병대에 체포되었고 31개월간 옥살이를 했다고 한다. 이후 만주에서 농사를 지으며 조용히 지내던 그는 [[8.15 광복]] 후 귀국하여 사회민주당에 가입하였으며, 남조선과도입법의원에 지명을 받았으나 사양하고 고령에 내려가 하천부지를 개간하며 [[땅콩]]을 재배했다. 주위에서 독립유공자 신청을 하라는 권유를 받았으나, 그는 "내가 내 나라를 위해 싸운 것이 무슨 공이 되느냐"며 사양했다고 한다.[[https://news.joins.com/article/1251425|#]] 말년에는 고령군 고령면 장기동 향리에서 중풍과 가난에 시달리다 1970년 11월 30일에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77년 최석호에게 건국포장을 추서헀고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했다. 그리고 1990년 그의 유해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에 안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