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seoyoonchoi.jpg|width=500]] || || '''이름''' ||최서윤 || || '''출생''' ||1986년|| || '''SNS''' ||[[https://www.facebook.com/monthlyingyeo|[[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https://www.instagram.com/monthlyin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영화감독]], [[작가]], [[페미니스트]]. 불평등 사회를 풍자한 ‘수저게임’의 개발자이자 <월간 잉여> 편집장. 경향신문에 글을 연재했으며 <불만의 품격>의 저자이다. == 생애 == 2013년 <한겨레> 기자와 인터뷰한 내용에 따르면, 서울의 모 대학에서 경영학을 전공하였으며, 졸업 후 언론사 기자가 되기 위해 2년간 여러 언론사에 지원하였으나 낙방했다고 한다. 이후 ‘아무도 날 뽑아주지 않으면 내가 직접 차려보겠다’는 생각으로, 아르바이트를 통해 번 돈을 탈탈 털어 만든 것이 잡지 <잉여>라고 한다. [[https://m.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614318.html]] == 작가 활동 == [[메갈리아]]를 적극 옹호했고 '역지사지 페미니즘'이라고 소개했다. 열성적인 페미니스트로 활동해왔다. == 방송 == * [[차이나는 클라스 - 질문 있습니다]] 고정출연 (2017~ ) * [[말하는대로]] 게스트 (2016) == 기타 == == 작품목록 == === 영화 === * '''망치''' (2018) * '''영화학개론''' (2016) === 도서 === * '''미운 청년 새끼 (망가진 나라의 청년 생존썰)''' (2017) * '''불만의 품격''' (2017) * '''흙흙청춘 (대한민국에서 청년으로 살아남기)''' (2016) * '''가는 길이 내 길이다 (걷고 있는 청년들을 위한 아홉 가지 이야기)''' (2015) == 수상내역 == * 2019 제1회 1인가구영화제 우수상 == 여담 == * 2013년 <한겨레>와의 인터뷰에서 자신의 생애와 가치관 등에 대해 상세히 이야기한 내용을 찾아볼 수 있다. [[https://m.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614318.html]] [[분류:한국 영화 감독]][[분류:한국 여성 작가]][[분류:1986년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