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CD313A 30%, #CD313A 70%, #B71D27)" {{{#ffffff '''최덕주의 역임 직책'''}}}}}}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대표팀'''}}} || || || || || || ||<-4> {{{#333333,#cccccc '''클럽'''}}} || || [[틀:대구 FC 감독|[[파일:대구 FC 엠블럼.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8fcff1; font-size: 0.9em" [[틀:대구 FC 감독|{{{#fff '''대구 FC'''}}}]]}}}[br]{{{-2 7대}}} || || ||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CD313A 30%, #CD313A 70%, #B71D27)"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svg|height=80]]]][br]{{{-1 [[대한민국 여자 U-17 축구 국가대표팀|{{{#ffffff '''대한민국 여자 U-17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 김용호 [br] (2007~2008) || {{{+1 ▶ }}} || {{{#ffffff '''{{{+1 최덕주}}} [br] (2009~2010)'''}}} || {{{+1 ▶ }}} || 정연삼 [br] (2011)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CD313A 30%, #CD313A 70%, #B71D27)"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svg|height=80]]]][br]{{{-1 [[대한민국 여자 U-20 축구 국가대표팀|{{{#ffffff '''대한민국 여자 U-20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 [[최인철]] [br] (2008~2010) || {{{+1 ▶ }}} || {{{#ffffff '''{{{+1 최덕주}}} [br] (2011)'''}}} || {{{+1 ▶ }}} || [[정성천]] [br] (2012~2017)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ISI20141118_0010362950_web_99_20141118211213.jpg|width=100%]]}}} || ||<-2> {{{#ffffff ''' 이름 ''' }}} || '''{{{+1 최덕주}}}[br]崔德柱 | Choi Duck-Joo''' || ||<|2><-2> {{{#ffffff ''' 출생 ''' }}} ||[[1960년]] [[1월 3일]] ([age(1960-01-03)]세) || ||[[경상남도]] [[통영시]] || ||<-2> {{{#ffffff '''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ffffff ''' 직업 ''' }}} ||[[축구 선수]] ([[미드필더]] / ^^은퇴^^)[br][[축구 감독]] || ||<|3> {{{#ffffff ''' 소속 ''' }}} || {{{#ffffff ''' 선수 ''' }}} ||[[한일은행 축구단]] (1984) [br] [[포항제철 아톰즈]] (1985) [br] [[감바 오사카|마쓰시타 전기]] (1987~1990) || || {{{#ffffff ''' 코치 ''' }}} ||모모야마 대학교 (1990~1991)[br][[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대표팀]] (2012~2013 / ^^수석 코치^^) || || {{{#ffffff ''' 감독 ''' }}} ||호고쿠공업 (1992~1998)[br]오사카 조선고등학교 (1998~2001)[br]'''[[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여자 U-17 대표팀]] (2009~2010)'''[* [[2010 FIFA U-17 여자 월드컵 트리니다드 토바고]] 우승][br][[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여자 U-20 대표팀]] (2011)[br][[대구 FC]] (2014)[br]'''[[중앙대학교 축구부|중앙대학교]] (2015~2021)''' || ||<-2> {{{#ffffff ''' 국가대표 ''' }}} ||없음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출신 [[축구 감독|감독]]. [[2015년]]부터 [[중앙대학교 축구부]] 감독을 맡고 있다. 2010년 대한민국 여자 U-17 대표팀을 이끌고 U-17 월드컵 우승을 거두며 '''대한민국 축구 역사상 FIFA 주관 대회 첫 우승을 이끈 감독'''이 됐다. 현재까지도 해당 기록을 가진 유일한 지도자다. == 선수 경력 == 충렬초등학교 축구부를 시작으로 동래중-동래고를 거쳐 중앙대와 [[한일은행 축구단|한일은행]], [[포항 스틸러스|포항제철]]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1986년 [[독일]] [[프라이부르크]]에서 1년간의 유학 생활을 한 후, 1987년 [[일본]]으로 건너가 마쓰시타 전기(現 [[감바 오사카]])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갔으나 1990년 30세의 이른 나이에 은퇴를 선언했다. == 지도자 경력 == 이후 지도자로 전직하여 2004년까지 일본 고등학교, 대학, 성인 팀을 두루 거치며 지도자 경험을 쌓은 최덕주 감독은 2006년 12월부터 [[대한축구협회]] 유소년 전임지도자로 부임하였다.[* [[대한축구협회]] 전임 지도자로 부임하기 전까지, 대략 20년 가까이를 일본에서 생활한 셈이다. ] 또 2007년 1월부터 약 반년 간 [[브라질]] 명문 클럽 [[SE 파우메이라스]]에서 브라질 축구와 훈련 방법, 클럽 시스템 및 운영에 대해 공부를 했으며, 2009년 4월부터 17세 이하 여자대표팀을 맡아 지휘하기 시작했다. 최덕주 감독이 대중들에게 인지도를 높인 것은 여자축구계에 몸을 담기 시작하면서다. 2009년 U-17 여자 대표팀을 맡아 2009 [[AFC U-16 챔피언십]] 우승을 이끈 최덕주 감독은 [[2010 FIFA U-17 여자 월드컵 트리니다드 토바고|2010 FIFA U-17 여자 월드컵]]에서 [[여민지]], 이정은, [[신담영]], 김아름, 이소담 등을 지도하면서 깜짝 우승을 차지해 큰 파장을 일으켰다. 대한민국 축구 역사상 FIFA 주관 대회 첫 우승이었다. 최덕주 감독이 다시 한 번 주목을 받은 것은 2012년부터 남자 성인 국가대표팀 코칭스태프로 자리하면서다. 위기에 빠진 한국 축구를 구하기 위해 국가대표팀 사령탑으로 선임됐던 [[최강희(축구인)|최강희]] 감독은 수석코치로 최덕주 감독을 발탁했다. 부드러운 리더십으로 최강희 감독을 보좌했던 최덕주 수석코치를 향해 최강희 감독은 “월드컵 본선진출의 숨은 주역”이라는 말로 공을 높이 평가했다. 이 공로를 인정받은 최덕주 코치는 2013년 12월, [[백종철]] 감독의 후임으로 [[대구 FC]]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하지만 당시 [[대구 FC]]는 [[K리그 클래식]] 14개 팀 중 13위[* 2012년부터 2013년까지는 최하위 두 팀만 2부리그로 강등되는 시스템이었고 K리그에 승강제가 본격적으로 실시된 것은 2014년부터다. 참고로 2013시즌 14위로 강등된 팀은 다름아닌 [[대전 시티즌]].]에 그치는 바람에 [[K리그 챌린지]]로 강등되었던 터라 [[백종철]] 감독도 강등의 책임을 지고 물러난 최악의 상황이었다. 더욱이 2014 시즌 전 유력한 승격 후보로 거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기대에 못 미치는 성적을 내는 등 고전하면서 최덕주 감독이 부임할 당시의 대구의 평균 관중 수는 '''966명'''이라는 최악의 관중 동원력을 자랑하며 대구시민들에게 철저히 외면받고 있던 시즌이었다.[* 다만 이것도 학교 단체관람을 빼면 1경기 당 600여명의 수준이라는 추측도 있다.] 그 해 최종성적 13승 8무 15패 10개 팀 중 7위라는 기대 이하의 성적을 내자 2014시즌 종료 후 성적 부진의 책임을 물어 해임되었다. 2015년에 조정호 감독의 후임으로 모교인 [[중앙대학교]] 축구부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2018년 이장관 감독이 이끈 용인대에게 [[U리그]] 왕중왕전 결승전에서 패배해 준우승에 머물렀다. 2019년에는 중앙대의 제55회 전국 춘계대학축구연맹전 준우승과 제55회 전국 추계대학축구연맹전 우승을 차지하며 1985년 우승 이후 무려 34년 만에 추계 우승을 이끌었다. 또한 대학 [[U리그]] 왕중왕전에서도 상지대를 꺾고 우승을 차지하며 최고의 한해를 보냈다. 이러한 활약을 바탕으로 '''2018, 2019년 역대 최초의 2년 연속 대학축구연맹 최우수 감독상'''에 선정됐다. 2021년까지 7년 간 중앙대를 이끌다가 정년 퇴임했다. 후임으로는 오해종 중대부고 감독이 선임됐다. ===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여자 대표팀]] 감독 부임 가능성 === 2019년 9월 9일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인 [[최인철]] 감독이 선수 폭행 논란으로 감독직에서 사임하면서 후임 감독으로 거론되기도 하였다.미국과의 평가전이 한 달도 남지 않았고 게다가 국내에서 동아시안컵 2020 도쿄올림픽 최종예선등 큰 대회가 연달아 열리기 때문에 외국인 지도자를 데려오기에는 역부족이기 때문이다. 최덕주 감독은 국가대표팀 수석 코치, 프로팀 감독을 하는 등 지도자 경험도 풍부하다. 게다가 2010 U-17 월드컵을 우승시키며 한국 대표팀의 [[FIFA]] 주관 대회 최초 우승을 이끌고 대한민국 여자 대표팀의 세대 교체의 핵심 [[여민지]], [[장슬기]], [[이소담]], [[이금민]], [[신담영]], 이정은 등이 최덕주 감독의 손에서 성장한 만큼 여자 대표팀의 세대 교체를 원활히 이끌 수 있다는 장점과 여자 대표팀을 빨리 정비시킬 수 있다는 점 때문에 현재 여자 축구 팬들의 지지를 받기도 했다. 이후 [[레날 페드로스]] 감독이 거론되면서 어려워졌고 결국 최초의 외국인 감독인 [[콜린 벨]]이 선임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최강희호/코칭스태프)] [[분류:1960년 출생]][[분류:통영시 출신 인물]][[분류:중앙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축구 선수]][[분류:미드필더]][[분류:포항 스틸러스/은퇴, 이적]][[분류:감바 오사카/은퇴, 이적]][[분류:대한민국의 축구감독]][[분류:대구 FC/역대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