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성주군의 읍면)] ||<-2> '''[[성주군|{{{#000000,#dddddd 성주군}}}]]의 [[면(행정구역)|{{{#000000,#dddddd 면}}}]]'''[br]'''{{{+1 초전면}}}'''[br]草田面 | Chojeon-mye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성주군 초전면,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상북도 || || '''기초자치단체''' || 성주군 || || '''행정표준코드''' || 5210035 || || '''관할 법정리''' || 12리 || || '''하위 행정구역''' || 24행정리 95반 || || '''면적''' || 66.73㎢ || || '''인구''' || 4,402명[* 2022년 12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65.97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1 고령군·성주군·칠곡군}}}'''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정희용]] ,,(초선),, || ||<-2> '''경상북도의원 | 성주군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강만수 ,,(초선),, || ||<-2> '''성주군의원 | 다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구교강 ,,(재선),, || || [include(틀:무소속/행정구역)] || 여노연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대장길 107 (대장리 618-6) || || [[https://sj.go.kr/S2009/main.do|초전면 행정복지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경상북도]] [[성주군]]에 있는 [[면(행정구역)|면]]. [[성주군]]의 면 중에서는 [[선남면]]과 함께 비교적 발달된 축에 속한다. [[대구광역시]], [[구미시]], [[김천시]], [[칠곡군]]과 가까우며 실제로 [[김천시]]와는 붙어 있을 뿐만 아니라 아예 [[김천공용버스터미널]]까지 가는 버스도 있다.[* 다만 모두 [[김천공용버스터미널]]까지만 가며, 직지사, 봉계, 시청, 종상행은 없다.] 관내 접경 지역으로는 [[성주읍]], [[벽진면]], [[월항면]]과 접하며, 관외 접경지역은 [[김천시]] [[남면(김천)|남면]], [[농소면]]이다. [[칠곡군]] [[북삼읍]]과도 접하고 있으나 영암산에 가로막혀 직접 이어지는 도로는 없다. 평지는 대장, 문덕, 용성, 동포, 어산, 봉정, 용봉 남부, 칠선에 조성되어있으며 용봉리 북부는 영암산으로 인해 전 지역이 산지이고, 소성리, 월곡리 역시 사실상 전 지역이 산지라고 봐도 무방하다. == 지리 == === 고도 === 제일 높은 곳은 해발고도 784m의 영암산. 초전과 김천의 경계 중 하나이며 등산은 가능하나 돌산인데다가 암릉이 곳곳에 산재하고 군립공원으로 지정된 적도 없어 항상 주의해서 등산해야 한다. 영암산에서 해발고도 742m의 선석산으로 가는 등산로가 존재한다. == 문화 == 농업, 공업지대이긴 하지만 상업지대도 못지 않게 발달되어 있다. 우선 편의점이 면소재지에 4개나 있으며 시골에서는 보기 힘든 규모다. 그 외 시골엔 얼마 없는 농협 본점도 있으며 [[공중전화]]까지 있다. 다만 공중전화는 국내전화가 안 된다. 목욕탕은 2개가 있으며 면내에 있는 목욕탕과 스파랜드에 있는 목욕탕이다. 스파랜드에는 온천마크가 있지만 온천물은 아니고 일반 목욕탕이다. 그래도 하다 보면 풀리는 느낌이 든다. == 교육 == 면 내에 초전초등학교가 있으며 중학교까지 있다. 학원은 많이 있는데 예체능 학원은 아예 없다.[* 사실 면 내에 태권도 학원이 있었으나 2020년부터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2020년 2월 말부터 5월까지 휴업했고 재개장한 후에도 학생 수가 계속 줄어들어 최후에는 9명만 다니게 되었고 결국 2021년 2월 26일을 끝으로 2021년 2월 27일에 폐쇄된다.(완전폐쇄는 2021년 3월 2일이다.)] 한편 공부학원은 3개가 있다. 소성리에는 봉소분교가 있다. 2016년에 분교로 격하된 곳이라고 한다. 그래서 분교에 투자가 많이 이루어져 본교에서는 6학년만 가는 스키캠프를 분교에서는 부상자를 제외하고는 모든 학년이 간다.[* 스키캠프를 가는 곳은 [[강원도]] [[평창군]] [[용평리조트]]다.] 그리고 봉소분교는 예전에는 2~3주 간격으로 한번씩 본교를 찾았으나 2020년에는 특수상황을 제외하고는 한 번도 안 찾았다. 그리고 본교 및 분교에서 영화제작도 한다. 학원의 경우 [[성주읍]]까지 나가는 학생도 많다. == 편의점 == [[이마트24]], [[CU]], [[GS25]]가 있다. 이마트24는 초전초등학교와 중학교가 매우 가까워 학생들이 많이 찾는다. == 소재 리 == === 대장리 === 초전면 문화, 상업, 여가, 공업의 중심지. 편의점이 4개나 있으며, 식당이 널려 있다. 심지어 시골에서 찾기 힘든 공중전화[* 다만 전술한 대로 국제전화만 가능하며 국내전화는 안 되는 것으로 확인.]도 있다. 식당은 도로와 갓길 주위로 분산되어 있다. 월항면과 백천을 경계로 맞대고 있다. 백천에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어 주민들이 많이 찾곤 한다. 초전초등학교와 초전중학교가 있다. === 동포리 === 대장리와 아주 가까운 곳이다. [[905번 지방도]]가 지나간다. 905번 지방도는 동포리에서 외곽으로 우회한다. === 칠선리 === 초전→성주로 가는 모든 버스가 지나다닌다. 심지어 제스코도 보일 정도로 월항에서 아주 가깝다. 다만 칠선리 내는 여가 시설이 [[식당]] 외에는 없다. === 봉정리 === 어산리로 가는 봉정삼거리가 분기된다. 초전농협참외도매판직하장이 있다. === 어산리 === [[905번 지방도]]가 지나지 않을 뿐더러, 교통도 굉장히 불편하다. 인촌리랑 맞대고 있으며 선석사, [[세종대왕자 태실]]과도 가깝다. 인근에는 마을회관이 있다. 교통부실은 봉정삼거리에서 커버한다. 여담으로, 옛날엔 월항면 소속이었다가 초전면으로 넘어간 것이다. === 고산리 === 흔히 '''고산정'''이라고 부르는 곳이다. 대고로로 대장리와 맞대고 있다. 다만 버스는 2회 밖에 없다.[* [[성주버스정류장]] 기준 8:10, 13:30.] 성주→고산리간 버스는 모두 자양이나 홈실까지 간다. [[905번 지방도]]는 지나지 않으나, [[913번 지방도]]가 지나다닌다. === 자양리 === 자양산[* 초전초등학교 교가에 나오는 산이다.]을 경계로 벽진가 맞대고 있다. 버스는 1일 1회 밖에 들어오지 않으며, 이 마저도 고산리, 대장리, 장산, 수죽, 인촌, 모방, 당새, 용각, 월항 등을 경유하여 성주로 간다. 초전면에서 가장 오지인 지역이다. 문덕리와 맞닿아 있긴 하나, 산을 넘어가고 농로다. 웬만하면 넘어가지 말자. === 월곡1리 === 성주→초전 막차의 종점인 곳이나, 보통 대장리에서 회차한다. 버스는 1일 1회는 고산리, 나머지 1회는 동포리를 거쳐서 간다.[* 13:30, 20:30 차가 있다.] [[913번 지방도]]가 지나간다. === 용봉리 === [[905번 지방도]]가 지나가며, [[성주휴게소]]와 스파랜드가 있다. 성주휴게소는 자전거로도 갈 수 있다. 스파랜드 가는 길은 험해 [[초보운전]]자들은 항상 주의해야 한다. 소성리 및 달밭리로 가는 길이 분기된다. === 소성리 === 초전면 외곽에서 그나마 교육 및 상업이 발달되었다. 소성보건소가 관내에 있으며, 봉소분교가 있다. 소성리로 가는 대부분 버스가 종점으로 삼는다. [[913번 지방도]]가 지난다. [[원불교 성주성지]]가 위치한 곳으로, [[THAAD]] 설치로 인해 시끄러웠던 곳이다. 결국은 [[성주 사드 기지]]가 설치되어 이 곳에 배치되어 있다. === 월곡2리 === [[913번 지방도]]가 지나간다. 버스는 1일 3회 간다. 벽진면 달창리와 맞대고 있으나, 길이 없다.[* 사실 달창성당 방면으로 길이 하나 있긴 한데, '''길이 매우 좁은 데다가 오프로드다.''' 즉, 이 길로 가지 말자(...).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 사람은 고산리 쪽으로 우회한다.] 그 외 [[913번 지방도]]가 김천시 농소면과 맞대고 있으나, 역시 이곳으로 가는 버스는 없다. === 문덕리 === 버스는 1일 2회 지나다니며, 초전을 지나 문덕으로 가는 버스는 없고, 전부 벽진과 용성을 거쳐 문덕으로 가는데, 돌아갈때는 벽진을 지나 성주로 가는 버스는 없고, 초전면을 경유하는 버스만 있다. 문덕 곽씨 집성촌이 있다. == 교통 == === 도로 === [[905번 지방도]]가 지나며 초전면의 '''대동맥'''이다. 이게 없으면 다른 곳으로 이동을 못 한다. 이걸로 성주읍이나 [[김천시]]에 갈 수 있다. [[913번 지방도]]도 김천으로 가지만 둘러가기 때문에 선호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주민들이 다른 곳으로 이동하기 위해 이용하는 정도. 국도는 [[용암면]]과 함께 [[성주군]]에 없는 지역 중 하나다. 고속도로는 [[중부내륙고속도로]]가 지나나 나들목은 없다.[* 용암면에는 [[남성주IC]]가 있다.] [[905번 지방도]]는 대장리 구간은 우회해서 월항면 구간을 지난다. 월항으로 가는 길은 장산-수죽-인촌-모방-당새-용각을 거쳐서 월항으로 가며, 끝 부분에서 [[33번 국도]]가 나온다. 벽진으로 가는 길은 2개다. 하나는 문덕, 용성을 거쳐 벽진으로 가는 노선, 다른 하나는 고산리를 거쳐 가는 노선이다. === 버스 === ==== 시외 ==== 대부분의 시외교통은 [[성주버스정류장]]을 이용해야 한다. 승용차로 약 10분 정도 소요. 기타 버스교통은 [[대구광역시|대구]]에서 이용해야 한다. 대구시계까지는 승용차로 35분 정도 소요. 이곳 주민들이 북쪽으로 이동하려면 그냥 [[김천시]] 가서 [[김천공용버스터미널]]을 이용하는 것이 더 나을 수도 있다. 다만 김천이 철도 초강세 지역이라 시외버스가 부실하다는 것은 감안해야 한다. 과거엔 [[약목정류장|약목]], [[왜관북부정류장|왜관북부]], [[왜관남부정류장|왜관남부]], [[대구북부정류장|대구북부]]행도 있었으나 모두 폐지되었다.[* 하루 2회 정도 있었다.] ==== 시내 ==== 장산, 수죽, 인촌으로 가는 모든 버스가 지나며 대장리까지는 하루 24회의 버스가 다닌다. 성주읍으로 가는 교통도 매우 편하다. 그 외 [[김천 버스 14, 14-0|14번]]도 지나가기 때문에 더욱 편하다. 단, 2021년 김천시 시간표 개정으로 3회 중에 2회는 성모의 집 안쪽으로 들어가는 14-0번이다. === 철도 === 일반철도는 [[왜관역]], [[김천역]]을 이용해야 되며, 양쪽 모두 소요시간은 비슷하다. 경부하행을 이용할 경우 [[왜관역]], 상행은 [[김천역]]에서 이용하는 것이 더 낫다. 고속철도 교통은 [[김천(구미)역]]에서 승차해야 한다. 승용차로 약 23분 정도 소요. 초전면 주민들이 [[대전광역시|대전]], [[서울특별시|서울]] 등으로 갈 때 자주 이용한다. == 출신 인물 == * [[경인선(배우)]] * [[김항곤]](용성리) * [[도승회]](월곡리) * [[문인수]](대장리) * [[송규]](소성리) * [[송도성]](소성리) * [[송문근]](고산리) * [[송수근(독립운동가)]](고산리) * [[송우선]](고산리) * [[송인집]](고산리) * [[송준필(독립운동가)]](고산리) * [[송천흠]](고산리) * [[송한철]] * [[송홍래]](문덕리) * [[송회근]](고산리) * [[송훈익]](고산리) * [[이석채]](월곡리) * [[이우정(1880)]](월곡리) * [[이인기(1907)]](월곡리) [[분류:성주군의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