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일반 마법 카드.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3039_1.jpg]]||[[파일:external/images.wikia.com/TrialandTribulation-GAOV-EN-ScR-1E.png]]|| || 내수판 || 해외판 || || 한글판 명칭 ||||||||'''초래의 대가'''|| || 일어판 명칭 ||||||||'''招来の対価'''|| || 영어판 명칭 ||||||||'''Trial and Tribulation'''|| |||||||||| 일반 마법 || ||||||||||이 카드를 발동한 턴의 엔드 페이즈시, 이 턴에 자신이 패 / 필드 위에서 릴리스한 토큰 이외의 몬스터의 수에 따라서 이하의 효과를 적용한다. "초래의 대가"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1장 : 덱에서 카드를 1장 드로우한다. ●2장 : 자신의 묘지의 몬스터 2장을 고르고 패에 넣는다. ●3장 이상 :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카드를 3장까지 고르고 파괴한다.|| [[삼환신]], [[삼사신(유희왕)|삼사신]], [[환마황제 라비엘]], [[데스티니 히어로 블루-D]] 등 몬스터 3장을 릴리스하는 코스트의 카드를 사용하는 덱이 어드벤티지를 복구할 수단이 돠는 카드. 조건만 충족되면 1:3 교환이라는 궁극의 [[어드밴티지]]를 벌 수 있는데다, 이 카드의 효과는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처럼 '''효과 대상을 발동시가 아닌 해결시에 선택'''하기 때문에 '''대상 지정 효과'''가 아니다. 즉, [[새크리파이스 이스케이프]]조차 어렵다. 그리고 굳이 '''릴리스해서 몬스터를 소환'''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성각]], [[반란 용병 부대]], [[듀얼 스파크]], [[갓버드 어택]]처럼 몬스터를 릴리스해서 발동하는 효과도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패에서 릴리스하는 것도 세기 때문에 [[의식 소환]]으로 몬스터를 릴리스하는 것도 문제없다. 그리고 성각신룡-에네아드는 3장만 릴리스 해도 그 배의 효과를 낼수 있다. 참고로 몬스터의 릴리스가 발동 조건이기는 하지만, 1턴에 적어도 2번 이상은 릴리스를 해야 뭔가 제대로 된 이득이 있기 때문에 일반 소환으로 릴리스를 실행하는 [[제왕(유희왕)|제왕]] 덱 정도로는 그냥 패 교환 정도로 끝날 가능성이 높다. 몬스터의 효과로 릴리스하는 경우도 [[캐논 솔저]]나 현재는 금지먹은 [[다크 다이브 봄버]]처럼 '1턴에 1번 제약이 없는 몬스터 카드'가 아닌 다음에야 1:1 교환으로 끝난다.--근데 다크 다이브 봄버는 1턴에 1번으로 에라타되었다. 지못미-- 마지막으로, 착각하기 쉽지만 이 카드의 효과 발동은 조건이 [[무지개의 고대도시-레인보우 루인]]처럼 '~장 이상'인 경우가 마지막의 '3장 이상'밖에 없기 때문에 상위의 조건을 만족시키더라도 하위 효과는 발동하지 않는다. 일러스트에 있는 것은 [[인벨즈|인벨즈 그레즈]]와 [[리추어 노엘리아]], 그리고 [[리추어 나탈리아]]. 노엘리아와 나탈리아가 아직 [[빙결계#s-5.4.8|빙결계의 조마사]]랑 [[빙결계#s-5.4.9|빙결계의 정파리]]일때 일어난 일로,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를 깨우는 데 반대하고 대신 [[인벨즈]]를 소환해서 [[마굉신]]과 싸우려고 했던(…) 노엘리아였지만 이것이 실패하여 나탈리아가 목숨을 잃고 노엘리아 자신도 인벨즈의 사념에 침식되고 말았다. 사담이지만, 인벨즈는 어드밴스 소환 위주의 테마고 리추어는 의식 소환으로 몬스터를 릴리스하는 만큼 이 카드의 효과와 관련이 있다. TCG와 OCG의 일러스트의 음영이 탄압되었는데 OCG의 경우는 나탈리아의 얼굴에 진 음영이 더 짙어져 얼굴이 보이지 않게 되어있으며 노엘리아가 울음을 터뜨리고 있다. TCG판 일러스트는 나탈리아가 숨을 거두기 직전, 일본판 추가 일러스트는 그 후를 나타낸 것으로 보면 된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SWORD OF KNIGHTS- || EP13-JP008 || [[노멀]] || 일본 || 일본 최초수록[br] || || [[갤럭틱 오버로드|Galactic Overlord]] || GAOV-EN087 || [[시크릿 레어]] || 미국 || 세계 최초 수록 || [[분류:유희왕/OCG/일반 마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