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회원수정2)] [목차] == 개요 == >'''궁극체를 넘어선 디지몬. 레벨로는 궁극체이나 궁극체를 넘어선 힘을 지닌 존재. 초궁극체라고 부르는 것이 좋을 것이다.'''[* 디지털 몬스터 20주년 아트북에서의 초궁극체 설명.] [[디지몬 시리즈]]의 설정. 디지몬의 최상위 단계인 [[궁극체]] 중에서 특별히 강한 개체에게 주어지는 일종의 '''호칭'''. 즉 '''세대가 아니다'''. 대개 모드 체인지[* 듀크몬 크림슨 모드, 베르제브몬 블래스트 모드, 그리고 [[버스트 모드]] 등.]를 통한 고유 진화 기믹, 또는 제볼루션을 통한 초월 기믹을 가진 궁극체들이 해당 기믹을 통해 진화했을 때 초궁극체 취급을 해주는 경우가 많다. 대한민국 기준으로 [[궁극체]]를 절대완전체라고도 번역했던 관계로 한국 정발판에서의 또다른 이름은 '''초절대완전체'''. 영문판에서의 명칭은 '''Super Ultimate'''. 다만 지금은 초절대완전체 라는 표현보단 초궁극체로 표기하고 있다. 원래 [[디지몬 어드벤처 V테이머 01]]의 고유 설정이었지만 그 인지도나 인기에 힘입어 설정을 변경하여 공식 도감 설정에 편입시켰다.[* 디지몬 시리즈가 원래 특정 미디어믹스의 연출, 설정을 공식에 편입하는 오마쥬를 종종 보이기는 하지만, 메인이 되었던 오리지널 진화/강화는 고유의 설정으로 남겨두는 게 암묵의 룰이다. 팬 서비스 요소로서도 큰 메리트가 없고, 각 작품의 색채가 연해지기 때문.] == 설명 == 일반적으로 [[데몬(마왕몬)|마왕몬]]의 설정을 통해 초궁극체 설정이 공식적으로 완전히 정립되었다고 보는 편. 마왕몬이 부활시키려 하던 알카디몬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궁극체 중에서도 최강이던 초궁극체 디지몬'''이라 서술하며 초궁극체를 궁극체의 부분집합으로 못박은 것이다. 이후에 나온 [[아마게몬]]이 도감 세대 표기는 궁극체지만 설명에선 초궁극체라 쓰여 있거나, 진트릭스 카드에서는 세대 표기도 초궁극체로 쓰이는 등 매체마다 다르게 서술되던 이유 또한 이 때문. 그러다 보니 설정상 초궁극체라 불린다 해도 그것이 곧바로 미디어믹스에서 적용되는 사례는 드문 편인데, 초궁극체의 원전이 되는 [[알카디몬]]을 제외하면 각 매체마다 설정이 많이 오락가락해서 그렇다. 그나마 [[디지몬 스토리 사이버 슬루스 해커스 메모리]]와 [[디지몬 링크스]]를 통해 어느 정도 리스트가 정립되어 2018년 기준으로는 대략적인 리스트가 만들어질 수 있었다. 보통 애니메이션이나 육성기기 기준으로 "주인공"과 "최종보스" 계열이 초궁극체에 도달할 가능성이 큰 경향이 있다. == 초궁극체 디지몬들 == 초궁극체로 여겨지는 디지몬들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 공식 설정상 '초궁극체'라고 직접 짚어서 설명한 경우 * 초궁극체 급이 존재하는 공식 미디어믹스[* 게임: [[디지몬 스토리 사이버 슬루스]], [[디지몬 링크즈]], [[디지몬 리얼라이즈]], [[디지몬 카드게임]](이하 신디카; Lv.7이 초궁극체 전용 레벨) 등, 애니메이션, 코믹스 등]를 통해 정식으로 인정받은 경우.[* 단 [[디지몬 마스터즈]], [[디지몬 RPG]]같이 외국에서 라이선스를 얻어 만든 게임의 경우 [[쿠즈하몬]]이나 [[블랙세인트가르고몬]]처럼 공식적으로 하위호환이나 동급의 아종을 초궁극체로 넣는 등 제대로 설정을 고려해 초궁극체를 선정하는 것으로 보이지 않으므로 근거로 삼기에 부적절해 제외] === 도감 설정 === * [[오메가몬]]과 그 아종들 - 초기 탄생 컨셉부터가 궁극체를 초월한 궁극체[* 디아크 워그레이몬 인터뷰에서 [[와타나베 켄지]]가 언급. 물론, 초궁극체라는 단어의 시작은 v테이머 오리지날이였지만 궁극체를 초월했다는 점에선 최초의 디지몬.] 디지몬으로, 초궁극체 설정이 공식 설정으로 처음 편입되었을 때 최초의 초궁극체로 재분류되었다. 사이버 슬루스 오메가몬 도감 설명글이나, 어플몬과의 콜라보를 통해 나온 DCD카드 설정 등에서도 일관적으로 초궁극체로 분류하고 있다. 물론 [[오메가몬 ZWART|즈왈트]], [[오메가몬 Alter-S|얼터-S]], [[오메가몬 머시풀 모드|머시풀 모드]] 등 다른 오메가몬 시리즈들도 전원 초궁극체 취급. [[디지몬 카드게임|신디카]]에서도 어김 없이 전원 Lv.7로 빠르게 발매되었다. * [[듀크몬 크림슨 모드]] - 듀크몬의 파워업 형태로써, 첫 등장했을 때 초궁극체라고 언급되었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kb9408&logNo=220356775931&referrerCode=0&searchKeyword=%EC%B4%88%EA%B6%81%EA%B7%B9%EC%B2%B4&proxyReferer=http%3A%2F%2Fm.blog.naver.com%2FPostSearchList.nhn%3FblogId%3Dkb9408%26searchText%3D%25EC%25B4%2588%25EA%25B6%2581%25EA%25B7%25B9%25EC%25B2%25B4|번역 자료]]를 참고해볼 것.] * [[마왕몬X]] - 분노할 시 초궁극체를 능가하는 파워를 얻는다는데, 도감 세계관 기준으로 초궁극체의 판정 기준이 힘 그 자체인 만큼 초궁극체라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여담으로 이 때문에 여타 칠대마왕 X항체 버전들도 초궁극체 취급일 가능성이 높다.[* 특히 하술할 [[벨페몬]]의 경우 레이지 모드부터 초궁극체 취급이었으니 이 레이지 모드에서 제볼루션한 벨페몬 X항체는 거의 확실하게 초궁극체일 것이다.] * [[베르제브몬 블래스트 모드]] - 듀크몬 크림슨 모드와 함께 초궁극체라 언급되었다. 다만 게임상으로는 그냥 궁극체 취급일 때가 많다. * [[아마게몬]] - 처음 설정이 정립되었을 때 세대 표기는 궁극체지만 도감에서 초궁극체 디지몬이라 칭했고, 이후 게임에서는 대부분 초궁극체로 나온다. * [[알카디몬#s-2.6|알카디몬 초궁극체]] - V테이머에서 데뷔한 초궁극체의 원조이며, 해커스 메모리를 통해 도감 세계관으로 편입되었다.[* 마찬가지로 하술된 원조들인 알포스브이드라몬 퓨처 모드나 마왕몬 초궁극체는 V테이머 완결 20년이 가까운 21년 시점에도 '''본가 편입이 되지 못했다'''. 때문에 아직 본가에서 초궁극체 판정을 받지 못했다.] * [[알파몬 왕룡검]] - [[알파몬]]과 [[오류우몬]]의 [[조그레스]]체. 소재가 되는 두 디지몬부터가 이미 (당시 기준으로) 기존의 초궁극체에 준하는 스펙을 가진 디지몬들이었고, 이 형태 역시 등장 미디어믹스에서 일관되게 초궁극체로 분류된다. === 게임상의 표기 === 디지몬 시리즈의 일부 작품에선 궁극체에서 모드 체인지나 슬라이드 에볼루션 그리고 합체진화 등을 한 디지몬들을 초궁극체로 부르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중구난방 식으로 표기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한 공식 미디어믹스 중 최소 2개 이상에서 초궁극체로 취급된 디지몬들만 기재. * [[루체몬 사탄 모드]] (& 라르바) - 사이버 슬루스에서 초궁극체로 등장했고, 리얼라이즈까지 통일되었다. * [[밀레니엄몬]] → [[문밀레니엄몬]] + [[지드밀레니엄몬]] - 이름이 바뀌는 걸 보면 알 수 있듯이, 아르카디몬과 달리 '같은 인격을 지녔지만 종이 바뀌는 경우'이다. 모드 체인지도 아니고 진화체도 아닌, 일종의 [[옆그레이드]](+ 분리)를 통해 종이 바뀌는 경우라고 할 수 있다.[* TCG에서는 시스템 한계상 진화 단계로 표현하지만, 공식 설정에 의하면 문밀레니엄몬은 밀레니엄몬의 내면 세계에서 밀레니엄몬의 정신이 디지몬의 형태로 구현된 것이라고 명시해 진화가 아님을 분명히 하고 있다.] 2020년부터 발매된 신디카에선 특이하게 일반 밀레니엄몬부터 여타 초궁극체(게임상에선 공식 설정대로 그냥 궁극체로만 표기된다) 전용인 Lv.7로 표기되어 밀레니엄몬 계열 전체가 초궁극체 의혹이 생겼고, [[디지몬 리얼라이즈]]에서도 초궁극체 판정을 받아 확정. * [[벨페몬 레이지 모드]] - 카드 게임에서 데뷔 했을 땐 슬립모드와 함께 궁극체로 통일되었으나, 사이버 슬루스에서 초궁극체로 재분류되어 리얼라이즈까지 통일되었다. * [[스사노오몬]] - 해커즈 메모리에서 초궁극체로 등장했고, 이후 설정에서도 초궁극체로 일괄 표기. 최초의 궁극체로 분류되는 전설의 10투사를 초월한 두 하이브리드체인 [[카이젤그레이몬]]과 [[매그너가루몬]]이 조그레스하여 초궁극체가 되었다.[* 일단 디자인상으로는 오메가몬이나 [[카오스몬]]처럼 융합체를 상정한 디자인이긴 하나, 최초 등장 당시의 설정에는 딱히 융합 관련 설명이 없었다. 그냥 스사노오몬의 존재가 먼 옛날부터 전승되어 왔다고 할 뿐이고, 심지어 하이브리드체나 10투사 관련 언급도 없었다.] * [[아구몬 용기의 유대]]/[[파피몬 우정의 유대]] - TCG에선 궁극체로 표기하고 있지만 디지몬 리얼라이즈에선 초궁극체로 표기하고 있다. 신디카에서도 Lv.7로 발매되었다. * [[아포카리몬]] - 정확히는 세대불명이지만, 디지몬 리얼라이즈에서는 초궁극체로 데뷔. 피에몬에서 진화한다. 그 외에 해커즈 메모리에도 무료 업데이트로 초궁극체 대열에 합류했다. * [[엑자몬]] - 사이버 슬루스에서 초궁극체로 등장했고, 이후 설정에서도 초궁극체로 일괄 표기. * [[카오스몬]] - 사이버 슬루스에서 초궁극체로 등장했고, 이후 설정에서도 초궁극체로 일괄 표기. 참고로 발두르 암 같이 팔 조합이 달라져도 여전히 초궁극체로 인정된다. * [[얼티메이트카오스몬]] - 카오스몬의 강화형. 다만 크로스워즈 코믹스 외 미디어믹스에서는 단 한번도 등장한 적이 없으며, 해당 코믹스에서도 초궁극체라고 표기되진 않았다. * [[크로노몬]] - 세대 표기는 궁극체지만 게임 내의 설정에서 초궁극체 디지몬이라 언급했다.[* 다만 디지몬 스토리 한정 캐릭터라 본가에 편입될 지의 여부는 불투명하고, 심지어 최신 후속작인 해커스 메모리에서도 등장하지 않았다.] * [[황룡몬]] - 사성수의 상위에 있는 존재이자 아케이드 기기인 배틀 터미널의 중간 보스. 플레이어와의 대전 이후 다시 봉인당했는지 잘 살고 있는지도 불명이고, 심지어는 생성 원리나 진정한 정체조차 불명인 채로 배틀터미널 서비스를 접어서 그대로 설정이 떠버렸다. 이후 [[디지몬 리얼라이즈]]에서 [[초궁극체]]로 등장. * [[황제드라몬 팔라딘 모드]] - 설정상 오메가몬 + 황제드라몬 파이터 모드의 죠그레스 체이다. 그 때문인지 팔라딘 모드만 사이버 슬루스에서 초궁극체 취급을 받았고, 디지몬 리얼라이즈까지 이어졌다. == 후보 디지몬들 == 초궁극체 디지몬과의 직접적인 비교로 강력함을 보여주거나 강대한 궁극체들의 상위격으로 남다른 취급을 받는 디지몬들. 직접적인 초궁극체 언급은 없거나, 1회에 그친다. * [[궁극체]]+[[궁극체]]의 [[조그레스]] - 타 조그레스를 통한 초궁극체[* [[오메가몬]] 계열, [[카오스몬]], [[알파몬 왕룡검]], [[엑자몬]] 등.]와 비슷한 설정과 취급이면서도 궁극체까지밖에 없는 [[디지몬 펜들럼]] 시리즈 외에는 등장하지 못해 초궁극체임이 확언되지 않은 경우. 후일 게임 등에서 등장할 경우 초궁극체로 취급될 가능성이 높은 디지몬들이다. 현재 해당하는 (판정 안 된) 디지몬은 [[라그나로드몬]][* [[디지몬 카드게임|신디카]]에서 Lv.7로 나와 거진 확정되었다.], [[그레이스노바몬]][* [[바이탈 브레스 BE]]에서 도감 설정에 걸맞게 [[아폴로몬|궁극체]] [[디아나몬|2마리]]를 조그레스 시켜야만 육성할수 있는 초궁극체 레벨의 디지몬으로 등장. TCG에서도 역시 LV.7로 등장해서 초궁극체 확정.], [[오르디네몬]], [[라플레시몬]][* 라그나로드몬과는 달리 신디카에서 통상 궁극체에 해당하는 Lv.6으로 책정. 게임 시스템상 그런 것이라 해도 어느정도 고려해볼 필요는 있다.], [[틀랄록몬]][* [[샤벨레오몬]] + [[엘도라디몬]]의 조그레스 진화체.] 등이 있다. * [[프록시마몬]] - 애니메이션 [[고스트 게임: 디지몬]]의 주인공인 [[감마몬]]의 궁극체, [[시리우스몬]]과 암흑진화 루트 궁극체인 [[아크투루스몬]]의 조그레스체로 추정되는 디지몬. 하지만 애니 자체에 초궁극체가 표기되는 것인지 확실치 않은 상황[* 이미 애니메이션에서 [[지드밀레니엄몬]]이 등장했지만 이 경우도 초궁극체로 표기되지 않았다.]이었고, 결국 애니메이션에서 등장하지도 못해서 확인되지 못했다. * [[메르바몬]] - 궁극체인 미네르바몬이 '''성장'''했다고 명시되어 있지만, 크로스워즈 태생이었던 만큼 '세대 불명'이었다. 이후 크로스워즈 디지몬들에게 정식으로 세대/속성이 부여된 뒤에도 궁극체로 배정. * [[오그도몬]] - 배틀 터미널의 보스로 첫등장한 '''초마왕''' 디지몬. [[7대 마왕]]들의 상위격인 화신체 취급인데, 융합체인지 봉인이 풀린 것인지 소환체인지 어떠한 설정도 제대로 내 주지 않고 '''공식적으로 밝혀진 바 없음''' 상태로 역시나 설정이 떠버렸다.[* 배틀터미널 02 PV에서도 '7대 마왕이 드디어 집결'이라고만 했을 뿐, 그 밖의 다른 설정을 전혀 언급하지 않고 곧바로 오그도몬에 대해 설명했다.] 크로니클X에서는 7대 마왕의 힘을 흡수한 디아블로몬X가 7체로 분열되었다가 다시 합쳐져서 오그도몬X가 되었다. * [[제스몬GX]] - 상술한 오그도몬X를 일도양단한, [[제스몬X]]가 간쿠몬X의 X항체까지 받아 2차 제볼루션한 형태. 힘으로 보나 진화 과정으로 보나[* 제스몬X와 간쿠몬X의 조그레스체로 볼 수도 있는데다, 초필살기 격 기술인 나이츠 인트루더는 로얄 나이츠 전원의 힘을 합쳤다는 사기적인 설정을 보유한다.] 초궁극체 취급을 받을 자격이 충분한 디지몬이다. * 일부 궁극체/초궁극체의 [[X진화]]체 - 마왕몬X의 경우처럼 초월적인 힘을 얻어 궁극체에서 초궁극체급으로 진화하거나, 초궁극체 디지몬의 X항체 모드. [[로얄 나이츠]], [[7대 마왕]][* 다만 X진화를 안한 상태의 [[루체몬 폴다운 모드]]는 [[완전체(디지몬 시리즈)|완전체]]이다.], [[4대룡]][* 다만 아직 [[청룡몬]]은 X진화가 공개되지 않았다.], [[디아블로몬]] 등 기존에도 강력함을 어필했던 디지몬들의 X항체가 초궁극체 취급을 가능성이 높다.[* 다만 가능성일 뿐이지 확실한 것은 아니다. 실제 [[매그너몬]]처럼 디지몬 RPG에서는 초궁극체로 등장하지만, [[디지몬 리얼라이즈]]에서는 궁극체로 등장한 경우도 종종 있다.] * [[황제드라몬 파이터 모드]] - 등장 당시 공식 세계관 최강자였던 오메가몬을 뛰어넘는 최강의 디지몬이라고 언급되었다. 다만 게임에서는 시스템 상인지 설정 변경인지 그냥 궁극체 취급이며, 팔라딘 모드만이 초궁극체로 분류되었다. * [[버스트 모드]] - [[디지몬 세이버즈]] 설정상 궁극체의 버스트 모드는 궁극체를 초월하는 힘으로 로얄 나이츠와 일대일로 압승할 수 있기에 관점에 따라서는 초궁극체로 볼 수도 있다. 다만 [[디지몬 리얼라이즈]]에서는 실제로 초궁극체처럼 5단계 진화 과정을 거치지만, 구태여 "초궁극체가 아닌 궁극체"라고 표기된다. 일단 디지몬 신세기에서 초궁극체로 분류되기는 했지만 다른 매체에서는 초궁극체라는 언급이 아직 없다.[*[디지몬 카드게임]에서 모두 초궁극체 레벨인 Lv.7로 나와서 거진 확정되었다] * [[샤우트몬X7 슈페리올 모드]] - 상술했듯 일부 궁극체 + 궁극체 디지몬이 초궁극체가 되는데 샤우트몬X7 슈페리올 모드는 궁극체 두 체를 넘어 아예 디지털 월드에 존재하는 모든 디지몬이 융합한 존재이며 이 중에는 오메가몬을 비롯한 초궁극체급 디지몬도 다수 포함되어 있으니 충분히 초궁극체 취급을 받기에 부족함이 없는 강함을 지녔다. 그리고 [[디지몬 카드게임]]에서 사실상 초궁극체 전용 레벨인 Lv.7로 매겨졌다. == [[디지몬 어드벤처 V테이머 01]] == 작품 초장부터 언급되며 스토리를 아우르는 중요 소재로, 이 [[아르카디몬|초궁극체]]가 각성하는 것을 막는다는 것이 기본적인 스토리. 평범한 디지몬들은 성숙기에서 진화를 마치며, 소수의 강자만이 '선택받은 레벨'인 완전체로 도달한다. 그 톱 클래스의 디지몬 중에서도 극히 소수의 최강자들만이 마침내 이를 수 있는 단계가 궁극체이며, 본작의 초궁극체는 그 궁극체에서 한 단계 더 진화한 존재. 궁극체와는 '''세대 자체가 다르다.''' [[세라피몬]]이 숨만 쉬어도 주변의 공간에 영향이 가고 데스몬이 필살기를 쓰면 차원에 구멍이 뚫리는 등 V테이머의 궁극체는 정말 별격의 존재로 묘사되며, 거기서 한단계 더 진화한 초궁극체들은 [[먼치킨(클리셰)|먼치킨]] 중의 상 먼치킨이다. * [[아르카디몬]] '''오리지널 초궁극체'''. 마왕몬이 탄생시킨 인조 디지몬. 작중에서 언급되는 초궁극체는 대체로 이 녀석. 홀리엔젤몬과 전쟁 중인 마왕몬이 단숨에 모든 걸 끝내는 최종병기라고 자신할 만큼 그 존재는 압도적. 자연 진화를 통해서도 초궁극체에 도달할 수 있지만 그 때는 힘에 휘둘려 이성을 잃고 폭주한다. 하지만 환상의 아이템 '''디지멘탈'''[* [[파워 디지몬]]에 나오는 캡슐(=디지멘탈)과는 다른 아이템. 디지몬을 초진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에너지 결정체로, 초궁극체의 가능성이 있는 디지몬을 진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을 사용하면 그 이성을 유지한 채로 진화가 가능하다. 작중 등장하는 디지멘탈은 네오가 만든 레플리카이나 사용에는 무리가 없는 듯. 단 발동에는 테이머가 다루는 궁극체급 디지몬의 '''배틀 에너지'''3회분[* 이 만화에서 궁극체는 맞부딫히는 것만으로 차원에 균열이 일어나고 존재만으로 밸런스를 붕괴시키는 초월자로 묘사된다. 그런 궁극체의 최대치 능력 3회분이 필요한 것.]과 발동키가 될 '''인간의 마음'''이 필요하다. * [[마왕몬]] 원래 초궁극체로는 진화할 수 없지만 [[아르카디몬]]에게 일부러 흡수당한 뒤, 아르카디몬의 내부에서 그 데이터를 '''다크 바이러스'''로 재배열해 역으로 흡수하는 꼼수를 써서 초궁극체 단계에 올라섰다. * [[알포스브이드라몬]] 퓨처 모드 인간과 디지몬의 '''미래를 믿는 마음'''이 찬란한 빛과 함께 디지멘탈을 통해 발현된 형태. 그 힘은 절대적으로, 마왕몬 초궁극체의 모든 공격을 상쇄시키고 베기 한번으로 일도양단 내버리는 등 최강의 초궁극체. 작품에 등장하는 세 초궁극체는 모두 디지털 월드의 근본 요소인 0-1을 다루는 힘을 지니고 있다. 셋 모두 궁극체 시절에도 그 능력을 어느 정도 발휘할 수 있었고, 그 중 아르카디몬과 마왕몬은 초궁극체가 되면서 완전해진 케이스. 그리고 위에도 언급한 바와 같이 아르카디몬을 제외한 나머지 둘은 아직 공식 설정으로 편입되지 못했다. * 아르카디몬 초궁극체 - '''도트 매트릭스''' / 아르카디몬 초궁극체의 '''갓 매트릭스''' 보이지 않는 힘이 일대의 데이터를 0과 1로 분해해버린다. * [[알포스브이드라몬]] 퓨처 모드 - '''알포스''' [[초재생능력|0과 1의 재생]] - 경이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의 재생능력을 보유하여 아르카디몬의 공격을 맞고도 순식간에 텐세 그레이트 실드를 재생하였다. * 마왕몬 초궁극체 - '''초궁극 다크 바이러스''' 0과 1을 재배열하는 것으로 모든 사물의 데이터를 임의로 수정한다. 세뇌, 인격변화, 육체 개조 등 응용법이 무궁무진. 이 능력으로 제로의 알포스를 봉쇄했다. [[분류:진화(디지몬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