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청진시]][[분류:북한의 항구]][[분류:1908년 설립]] [include(틀:북한의 항구)] ||<-2> {{{-2 '''[[북한|[[파일:북한 국기.svg|height=15]]]] [[함경북도|{{{#000 함경북도}}}]]의 [[항구|{{{#000 항구}}}]]'''}}}[br]{{{#!wiki style="margin: -10px -10px" || '''{{{+1 청진항}}}'''[br]淸津港[br]Chongjin Port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청진항1.pn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청진항2.png|width=100%]]}}} || || '''설립''' ||[[1908년]][* [[융희]] 2년. [[대한제국]] [[순종(대한제국)|순종]] 치세] || || '''기능''' ||무역항 || || '''부두수''' ||''미상'' || || '''주소''' ||{{{#!wiki style="margin: -3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청진항, 너비=100%, 높이=250)]}}} ---- {{{#!wiki style="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D1C27; color: white" '''청진항'''}}} {{{-2 ([[함경북도]] [[청진시]] [[신암구역]] 해안동)}}}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한]] [[함경북도]] [[청진시]]의 [[항구]]이다. 1908년([[융희]] 2) 개항. 아랫동네인 함경남도에 [[원산항]]과 [[흥남항]]이 존재한다면, 함경북도에는 [[라진항]], [[성진항]]과 함께 청진항이 존재한다.[* 일제하에서는 소위 북선(北鮮) 3항이라 불리었다.] 청진항은 함북에서 가장 큰 항구이다. == 역사 == 역사적으로는 개항 이래, 청진의 발전과 함께하였다. 북한 제4의 도시라고 불릴만큼 함경북도에서 인구가 제일 많이 밀접된 도청 소재지인 까닭에 청진항은 물류량이 많고 광물자원을 꾸준히 수출하는 무역항 기능을 하였다. 광복 후 북한정권 치하에서 여러 차례 개건확장공사를 통하여 현재 동해안의 중요한 무역항구의 하나로 부상하였다. 최근 역대급으로 강력해진 대북 제재에 의하여 물류량 및 무역량이 예전보다 못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북한은 외화벌이를 위해 임차권을 중국과 러시아에게 팔았으며, 부동항이 필요한 러시아와 동해 진출이 필요한 중국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 기타 == * 이 항구를 소재로 한 김성식(金盛式, 1942~2002) 시인이자 선장의 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1010500239105009&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1-01-05&officeId=00023&pageNo=5&printNo=15301&publishType=00010|<청진항>]]은 1971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당선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