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려 재상지종)] ||<-2>{{{#!wiki style="margin: -15px -10px" || '''{{{#FFFFFF {{{+1 淸州 李氏[br]청주 이씨}}}}}}''' ||}}} || || '''{{{#ffffff 관향}}}''' ||[[충청북도]] [[청주시]] || || '''{{{#ffffff 시조}}}''' ||이능희(李能希) || || '''{{{#ffffff 중시조}}}''' ||이공승(李公升) || ||<|2> '''{{{#ffffff 집성촌}}}''' ||[[충청남도]] [[천안시]] • [[홍성군]] [[충청북도]] [[보은군]] [[전라남도]] [[해남군]] [[경상북도]] [[구미시]] • [[예천군]] || ||[[평안남도]] [[중화군]] [[평안북도]] [[박천군]] • [[귀성군]] [[함경남도]] [[북청군]] || || '''{{{#ffffff 인구}}}''' ||37,377명^^(2015년)^^ || || '''{{{#ffffff 웹사이트}}}''' ||[[http://www.xn--vk1b875anubj5a5qf1pmlddtx.com/|청주이씨대종회]]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성씨. 본관은 [[충청북도]] [[청주시]]이다. 시조는 이능희로 그의 10세손 이계감이 낭성군에 봉해졌고, 13세손 이애가 상당부원군에 봉해졌다. 낭성과 상당은 모두 청주의 별칭으로 이로부터 이능희의 후손들은 청주를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왔다. 청주이씨 대종친회 사이트에서 족보를 볼 수 있다. [[http://www.청주이씨대종친회.com/|#]] == 역사 == 청주 이씨 시조 이능희(李能希)는 고려의 개국공신으로 벽상삼한(壁上三韓)[* [[신흥사]] 공신당에 초상화가 걸린 공신.] 삼중대광(三重大匡)[* 고려의 문산계 정1품.] [[태사]](太師)를 지냈다. 그의 선계는 알려져 있지 않다. 《청주이씨족보(淸州李氏族譜)》에 보면 태사공 이능희 이후에 본관을 청주로 정하였다고 전한다. 청주 이씨 가문 출신인 이자림은 고려 수도 개경의 [[나성]]을 축조하여 개성현 [[백작|개국백]] 작위를 받았다. 또한 국성을 하사받아 [[왕가도]]로 개명하였다. 왕가도의 두 딸들은 고려국왕과 결혼해 각각 원질귀비[* [[현종(고려)|현종]]의 귀비.], 경목현비[* [[덕종(고려)|덕종]]의 현비.]가 되었다. 이능희의 10세손 이계감(李季瑊)은 낭성군(郎城君)에 봉해졌고, 13세손 이애(李薆 : 李佇)가 정사좌명공신(定社佐命功臣)으로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에 봉해졌다. 그리하여 후손들은 청주를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왔다. 그런데 《관북파보(關北派譜)》(丁酉譜)의 서문에 6세 문정공(文貞公) 이공승(李公升)의 둘째 아들 평장공(平章公) 이계장(李桂長)이 입북 세거하여 청주이씨 관북파가 생겼다고 하고 있어 그 이전에 이미 청주지역을 중심으로 세거하며 관향으로 삼은 사실을 엿볼 수 있다.[* 모순되는 건 아닌 게 애초에 고려 초기는 호족연합체제였기에 중앙에서 작호나 작위를 내릴 때도 유력 [[호족(한국사)]]들의 경우 근거지나 연고지의 지명에 근거해 내렸다. 즉 고려 초기에 등장하는 성씨들은 거의 본관이 되는 지역에 영지급으로 세력을 구축해놓은 상태였다는 것.] == 관련 문서 == * [[한국의 성씨]] * [[이(성씨)]] * [[국성]] * [[조선 왕조]] [[분류:청주 이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