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국보)] ||<-2> [[파일:정부상징.svg|width=28]] '''[[대한민국의 국보|{{{#f39100 대한민국 국보 제169호}}}]]''' || ||<-2> {{{#fff {{{+1 '''청자 양각죽절문 병'''}}}[br]{{{-1 靑磁 陽刻竹節文 甁}}}}}}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리움미술관,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 [[용산구]] || || '''{{{#fff 분류}}}''' || 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청자 || || '''{{{#fff 수량/면적}}}''' || 1개 || || '''{{{#fff 지정연도}}}''' || 1974년 7월 9일 || || '''{{{#fff 제작시기}}}''' || [[고려시대]](12세기) || [[파일:국보169호청자양각죽절문병.jpg|width=565]] [목차] == 개요 == 靑磁 陽刻竹節文 甁. 청자 양각죽절문 병은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고려청자]] 병이다. 청자 양각죽절문 병이라는 이름을 풀이하자면, [[대나무]]와 대나무 [[마디]] 무늬를 양각으로 새긴 청자 병이란 뜻이다. 삼성 [[이병철]] 전 회장 소유였던 골동품 가운데 국보와 같은 국가 지정 문화재로 지정된 대다수 유물들이 그러하듯, 청자 양각죽절문 병도 정확한 입수경위나 출토 위치는 확인되지 않는다. 하지만 이 병은 보존상태가 훌륭하고 품격있는 디자인으로 고려청자의 명품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청자 양각죽절문 병은 1974년 [[대한민국의 국보|국보]] 제169호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삼성 [[리움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 상세 == 청자 양각죽절문 병은 높이 33.8cm, 입지름 8.4cm, 밑지름 13.5cm 크기의 병형 청자로, 상당히 큰 크기의 병이며 몸체는 풍만하고 병목은 가늘고 길어서 전체적인 형상은 [[호리병]] 모양으로 부드러운 곡선이 살아있다. 병의 보존상태가 좋아 고려청자의 특징인 은은하고 맑은 [[고려청자#s-2|비색]]이 전반적으로 잘 남아 있다. [[파일:국보169호청자양각죽절문병대나무무늬.jpg|width=550]] 병목에서 몸체의 아래까지 길게 이어지는 대나무 무늬를 병의 표면에 가득 장식해 새겨놓았는데 이는 검소하고 정갈한 느낌을 줄 뿐더러 그 제작 수준도 대단히 높다. 표면에 표현된 대나무는 양각으로 새겼고, 대나무의 마디를 가느다란 두 줄의 음각선으로 표현해놨다. 각 대나무의 사이에 있는 틈에는 청자의 푸른 유약이 짙게 잘 도포되어 있어서 대나무 장식이 돋보이는 효과를 준다.[* 출처: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46760&cid=40942&categoryId=33382|두산백과 - 청자양각죽절문병]]] 또한 대나무의 표현 정도만 세심한 것이 아니라 시각적 디자인 측면에서도 상당히 신경을 썼음을 알 수 있는 부분이 있다. 병의 넓은 표면에 가득 대나무를 새겨놓았기에 좁아지는 병목 부분에서 이를 그대로 이어서 표현하면 복잡하고 어수선해 보일 것을 고려하여, 병목 부분에서 대나무 줄기 두 개를 한 개로 자연스럽게 합쳐놓았는데 그 솜씨가 아주 완숙하여 완성도가 높다는 평을 받는다.[* 출처: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3773&cid=46657&categoryId=46657|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청자 양각죽절문 병]],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31879&cid=42680&categoryId=42680|한국 미의 재발견 도자공예 - 청자 양각 대나무마디문 병]]] 청자 양각죽절문 병은 보존상태가 우수하며 장식된 대나무 무늬도 간결하지만 세련되어 미적인 아름다움이 나타나고 고려시대의 높은 청자 제작 공예 수준을 보여주는 고려청자의 명품 중 하나로 평가되는 유물로, 그 가치를 인정 받아 1974년 7월 9일 [[대한민국의 국보|국보]] 제169호로 지정되었다. == 외부 링크 == * [[https://ko.wikipedia.org/wiki/청자_양각죽절문_병|한국어 위키백과: 청자 양각죽절문 병]]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3773&cid=46657&categoryId=46657|한국민족문화대백과: 청자 양각죽절문 병]]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31879&cid=42680&categoryId=42680|한국 미의 재발견 - 도자공예: 청자 양각 대나무마디문 병]]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46760&cid=40942&categoryId=33382|두산백과: 청자양각죽절문병]] == 국보 제169호 ==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1,01690000,11&pageNo=5_1_1_0|문화재청 홈페이지: 청자 양각죽절문 병 (靑磁 陽刻竹節文 甁)]]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청자병으로 높이 33.8㎝, 입지름 8.4㎝, 밑지름 13.5㎝이다. > >아가리는 나팔처럼 넓게 벌어졌고, 목은 길며 몸통 아랫부분은 풍만하다. > >목에서 몸통 아랫 부분까지 대나무를 양각하였고, 대나무 마디는 두 줄의 음각선으로 표현하였다. 유약은 맑은 연녹색을 띠며 약간의 빙렬이 있다. 아가리에서 아랫 부분까지 부드럽고 유연하게 내려 온 아름다운 곡선이 운치가 있으며 몸통 아랫부분의 풍만함이 안정감을 주고 있다. > >대나무를 모아 만든 형태로, 밑에서 위로 뻗은 대나무는 어깨부위를 지나며 두 줄기가 한 줄기로 합쳐져 매우 좁고 긴 목을 이룬다. 눈에 띄지 않지만 긴 목부분의 번잡함을 능숙하게 처리하였다. [[분류:대한민국의 국보]][[분류:고려의 도자기]][[분류:삼성미술관 리움 소장품]][[분류:서울특별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