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보물)] * [[안동시/문화]] [목차] == 개요 == [[파일:external/www.andongtv.com/20120611_C48D89B0.jpg]] 淸遠樓,Cheongwonru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장태골길 12-1 (소산리 87)에 위치한 [[조선시대]]의 가옥이다. 1985년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 제199호로 지정되었다가, 2019년 12월 30일 [[대한민국의 보물|보물]] 제2050호로 승격 지정되었다. [[한자]] 뜻을 그대로 풀어보면 [[청나라]]는 멀리하는 집이다. 이는 1526년([[중종(조선)|중종]] 21년) [[평양]] 서윤을 지낸 김번(1479~1544)이 여생을 보내기 위해 건립한 가옥이기 때문이다. 김번은 [[병자호란]] 당시 강화에 반대한 척화주전론(斥和主戰論)의 거두였으며 [[예조판서]]였던 [[김상헌(조선)|김상헌]](金尙憲)이 청나라에 끌려갔다가 돌아온 후 1643년([[인조]] 21)에 이 건물을 중건하고 청을 멀리한다는 의미로 당호를 붙였다 한다. [[916번 지방도]] 주변의 소산마을에 위치해 있어 [[안동 버스 46|46번 버스]]를 탄 사람들이라면 지나가면서 한번쯤은 보았던 곳일 것이다. == 주변 문화재 및 관광지 == 청원루가 위치한 소산마을 인근엔 청원루 말고도 다양한 문화재 및 관광지가 위치해 있다. [[안동 김씨]](安東金氏) 소산(素山) 입향조(入鄕祖)인 혁(革)의 증손 김영전(金永銓)(1439∼1522)이 88세 되는 노모(老母) [[예천 권씨]](醴泉權氏)를 즐겁게 해드리고자 조선 [[연산군]] 2년(1496년)에 건립한 것으로 여러 차례의 보수를 거쳐 1947년에 중건된 삼구정이 위치해 있다. [[조선]] [[세종(조선)|세종]] 때 문신인 비안공 김삼근(1419∼1465)의 옛집인 비안공구택이 위치해 있다. 또한, 비안공 구택 바로 옆에는 1516년([[중종(조선)|중종]] 11년)에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 소유자 김승진의 선조들이 수대에 걸쳐 살아온 묵재 고택이 위치해있다. 한옥 스테이를 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안동 김씨]] 종택 양소당도 청원루 근처에 위치해 있다. 안동 김씨 종택 양소당은 안동김씨종택의 당호를 지은 주인공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으로 활동한 김양근(金養根)이다. 집안의 계보를 따라 더 올라가면, [[조선]] [[성종(조선)|성종]](재위 1470~1494) 때 [[사헌부]] 장령을 지낸 명신 김영수(金永銖) 선생이 1500년 봄쯤 지금의 종택을 지었다고한다. 양소당에서 멀리 떨어지지 않은 곳에 선 안동 [[상락 김씨]] 시조인 18대조인 김용추 선생이 1674년([[현종(조선)|현종]] 15년)에 지은 종택인 삼소재가 위치해 있다. 삼소는 소산에 살며 깨끗한 행실을 하고 검소한 음식을 먹는다는 의미를 뜻하는 것이다. 소산마을과 멀리 떨어지지 않은 곳에 안동 [[한지]] 공장이 있다. 이 곳의 안동 한지 전시 체험관을 통해 직접 안동 한지를 만들어 볼 수 있는 체험을 제공해준다. == 교통편 == 안동 버스 터미널의 호암마을 정류장에서 [[안동 버스 급행2|급행2번]], [[안동 버스 210|210번]], [[안동 버스 211|211번]], [[안동 버스 212|212번]] 버스를 타고 소산 1리 정류장에서 내리면 된다. == 외부 링크 == * [[https://ko.wikipedia.org/wiki/안동_청원루|한국어 위키백과: 안동 청원루]]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3697&cid=46656&categoryId=46656|한국민족문화대백과: 청원루]]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603328&cid=51934&categoryId=54419|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안동 청원루]]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96016&cid=40942&categoryId=33084|두산백과: 안동 청원루]] == 보물 제2050호 == *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2,20500000,37&pageNo=1_1_1_0|문화재청 홈페이지: 안동 청원루 (安東 淸遠樓)]] >「안동 청원루」는 17세기 재지사족의 건축적 특징이 잘 드러난 건축이라는 측면 하나로도 역사적, 학술적 가치가 있으며, 게다가 난간과 머름을 포함하여 장식이 극히 배제된 전반적인 건축의 조형성이 강직한 선비의 성품을 잘 드러내고 있어서 인문적인 요인이 어떻게 조형적으로 표현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음. 17세기 중창 때의 모습이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고 건물의 전체 구성이 같은 맥락으로 이어져 있어서 완전성을 갖추고 있음. [[분류:안동시의 문화재]][[분류:대한민국의 보물]][[분류:조선/건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