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상북도의 버스 터미널)] [[파일:wMaij0ur.jpg]] [목차] == 개요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청화로 197(고수리 827-2)에 있었던 [[버스 터미널]]이다. 맞은편에 [[경부선]] [[청도역]]이 있는데, [[청도군]]이 [[철도]] 강세 지역이기 때문에 [[시외버스]] 노선이 적었다. [[1972년]]에 개장했으며 원래는 청도공용버스'''정류장'''이었으나, [[2011년]]에 바뀌었다. 전술한 대로 철도 강세 지역이라 시외버스 노선도 적고 편수도 적은 편이다. 심지어 [[청도군]]의 서쪽에 위치한 [[창녕군]]으로 가는 시외버스는 아예 없다. 원래는 영남권 노선만 있었다가 [[2015년]] [[1월 29일]] 동서울~경산 노선이 청도로 연장되면서 최초로 수도권 지역인 서울로 가는 노선이 생겼다. [[시외버스 동서울-청도]] 참조. 인터넷 예매는 [[동서울터미널|동서울]]행만 가능하고 그 외 영남권 노선은 전부 예매가 불가능했다. 2020년 8월 1일 터미널 사정으로 잠시 폐쇄됐다가 다시 문을 열었으나, 2021년 2월 27일부로 매표영업이 종료되고 카드, 현금만 받았다.[* 원래 2019년 9월 16일에 매표영업이 종료될 예정이었지만 어떤 사정으로 취소된 후 2년후 이제 진짜 종료하는 셈이다.] 2021년 9월 1일 부터 기존 건물은 철거에 들어가고 '청도상상마루'가 건립된다고 한다. 지금은 그곳에 가도 터미널은 없다. == 운수회사 == [[경산시]]에 연고를 두고 있는 [[경산버스]]의 시외부인 [[인터시티경산]]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동서울터미널|동서울]]방면 만이 [[경기고속]]에서 배차한다.-- == 노선 == === 수도권 === [include(틀:운행중단)] ||<-3> '''{{{#ffffff 수도권}}}''' || || '''{{{#ffffff 행선지}}}''' || '''{{{#ffffff 운행횟수}}}''' || '''{{{#ffffff 운수회사}}}''' || ||<#002147> '''{{{#ffffff 동서울}}}''' || 일 3회 || [[경기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청도발 동서울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2147> '''[[동서울터미널|{{{#ffffff 동서울}}}]]''' || 3:40 || ₩ 32,500({{{#0000ff 우등}}}) || ||<#002147> '''{{{#ffffff 운행시각표}}}''' ||<-2>, {{{#0000ff 10:30, 14:30, 17:00}}}|| ||<-3><(>[[시외버스 동서울-청도]] 참조. 경부선 철도의 존재로 인해 운행 횟수가 적고 막차도 이르다. 따라서 막차시간 이후에는 [[청도역]]으로 가야 한다. 그냥 [[청도역]]에서 무궁화호나 ITX-새마을을 이용하는 것이 훨씬 낫다. 여담으로, [[경산시외버스정류장|경산]], [[시지정류소|시지]] 까지의 발권은 불가능하다.|| }}} || === 영남권 === ||||||||||||||
<:><#00a651> '''{{{#white 대구[* 코로나19로 운행중지]/울산/경상남도/경상북도 방면 노선}}}''' || ||<:><#ed1c24> {{{#white 행선지}}} ||<:><#ed1c24> {{{#white 노선}}} ||<:><#ed1c24> {{{#white 운행업체}}} ||<:><#ed1c24> {{{#white 배차간격}}} ||<:><#ed1c24> {{{#white 소요시간}}} ||<:><#ed1c24> {{{#white 요금}}} ||<:><#ed1c24> {{{#white 비고}}} || ||<:> --[[대구광역시|대구]]-- ||<:>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무등, 투우장, 남성현, 남천, 중앙병원, [[경산시외버스정류장|경산]] 경유)-- ||<:> [[경산버스|인터시티경산]] ||<:>--1일 3회-- ||<:> --1시간 00분-- ||<:> --6,000원-- ||<:>[[시외버스 경산-밀양-울산]] 참조[* 그냥 [[청도역]]에서 무궁화호를 이용하는 것이 배차간격, 소요시간(30분), 요금(2,600원) 등 절대적 우위다.] || ||<:> [[경산시외버스정류장|경산]] ||<:> 무등, 용암온천, 남성현[* 청도~청도군내까지 승차가 가능하다.], 남천, 중앙병원, 경산 ||<:> --[[경기고속|경기]]--[br][[경산버스|인터시티경산]] ||<:> 1일 16회 ||<:> 30분 ||<:> 3,800원 ||<:> [* 소요시간은 열차가 절대적 우위고,(17분), 배차간격역시 열차가 우위다. 다만 요금은 별 차이가 없으니 열차가 비는 시간대는 이걸 이용해야 한다.]|| ||<:> [[밀양시외버스터미널|밀양]] ||<:> 옥산, 유천([[상동역(경부선)|상동역]]) ||<:> [[경산버스]][br] ||<:>1일 3회 ||<:> 밀양 : 40분 ||<:> 밀양 : 3,600원 ||<:>[[시외버스 경산-밀양-울산]] 참조[* 청도과 밀양을 오갈 때는 [[무궁화호]] 열차를 이용하면 버스보다 운행횟수도 많고 요금(2,600원)과 소요시간(13분) 면에서 우위에 있다.][* 유천은 막차가 끊기면 [[청도 버스 5|5번]]을 이용하거나 [[청도역]]에서 [[무궁화호]]를 이용해 [[상동역(경부선)|상동역]]에 내려야 한다.] || ||<:> [[울산시외버스터미널|울산]] ||<:> 금곡, 송백, 남명, 신복, 태화 ||<:> [[경산버스]] ||<:> 1일 3회 ||<:> 직행 : 2시간 20분 ||<:> 12,100원 ||<:> [[시외버스 경산-밀양-울산]] 참조[* 막차를 놓치면 [[경산시외버스정류장|경산]]으로 가서 울산행 버스를 이용하거나 [[밀양역|밀양]]행 열차를 타고 시내버스를 타 [[밀양시외버스터미널|밀양]]에서 내려 [[석남사]]행 버스를 타고 [[울산광역시 시내버스]]를 이용해야 한다.] || ||<:> [[풍각정류장|풍각직행]] ||<:> 청도군청, 칠성리, 화양, 각남 ||<:> [[경산버스]] ||<:>1일 12회 ||<:> 각남 : 10분 [br]풍각 : 15분 ||<:> 각남 : 1,500원 [br]풍각 : 1,900원 ||<:>[[시외버스 경산-풍각]] 참조. [* 청도와 풍각을 오갈 때는 [[청도 버스 1|1번]]을 이용하면 소요시간은 밀리지만 요금(1,300원) 및 배차(21.5회)에서 우위가 있다.] || 2017년 12월 중순에 그나마 철도가 닿지 않아 수요가 있을 듯하던 [[경주시외버스터미널|경주]], [[포항터미널|포항]] 노선이 폐지됐다. 폐지 후 경주, 포항에서 청도로 가려면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에서 환승해야 한다. 2020년 2월 24일부터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인해 동서울행 버스 운행이 중단되었다. [[https://www.ti21.co.kr/view/board/mBoardDetail.aspx?gbn=notice&idx=419|동서울터미널의 공지]]에 의하면 각 운수사별로 진행중이었다고 하는데 당시 대구권 지역에서 코로나 환자가 급증하던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경산시외버스정류장|경산]]은 무정차 발권이 불가능하고[* [[동서울터미널|동서울]]행.] 남성현, 남천 경유만 발권이 가능하다. === 시외행 농어촌버스 === 석주사, 범골, 삼산, 옥분, 가창중학교, [[상동역(경부선)|유천]][* 유천은 청도읍 유호리였다가 지금은 상동면으로 변한 지역중 하나이며 기존에 유천정류장은 2곳으로 내호리와 유호리 사이에 있는 경명당약국 지역도 해당된다] === 과거에 운행하던 노선 === [[경주시외버스터미널|경주]], [[포항터미널|포항]]: [[밀양시외버스터미널|밀양]] 출발로 운행했으며, 2017년 12월 중순에 수요가 없는 관계로 폐선되었다. 이제 청도에서 경주, 포항으로 가려면 [[동대구역]]행 열차를 탄다음 [[시외버스 동대구-경주|동대구-경주 시외버스 노선 및 고속버스 노선]], [[시외버스 동대구-포항(직통)|동대구-포항 시외버스 노선]]을 이용해야 한다. == 기타 == 인접한 지역임에도 [[창녕군]], [[경주시]], [[영천시]] 방면 노선은 없다. 창녕, 경주, 영천으로 가려면 아래의 방법을 이용해야 한다. === 청도-창녕 === * 1. 청도 → [[청도역]]으로 이동 → [[동대구역]] 및 [[대구역]]까지 열차 이용 → [[대구 도시철도 1호선|1호선 이용]] → 창녕행 버스 탑승 → 창녕 * 2. 청도 → [[시외버스 경산-풍각|직행버스]] 혹은 [[청도 버스 1|1번]] 이용 → [[풍각정류장]] → [[청도 버스 풍각순환|금곡방면 농어촌버스 이용]] → 금곡리마을회관 → 도보 4.8km → 방리마을회관 → 창녕행 농어촌버스 이용 → 창녕 === 청도-경주 === * 1. 청도 → [[청도역]]으로 이동 → [[동대구역]]까지 열차 이용 → 동대구터미널로 이동 → [[시외버스 동대구-경주|경주행 버스 탑승]] → 경주 * 2. 청도 → 경산행 버스 이용 → 경산터미널 → [[시외버스 경산-포항|포항행 버스 이용]] → 경주 * 3. 1의 방법에서 [[동대구역]]에서 열차 이용 → [[신경주역]] → 경주행 시내버스 탑승 → 경주 * 4. 청도 → [[청도 버스 3|3번]] 혹은 [[청도 버스 5|5번]] 이용 → 동곡 → [[청도 버스 동곡순환|동곡순환 지촌/마일/정상방면 버스 이용]] → 지촌 → [[경주 버스 2|2번]] 이용 → 산내 → [[경주 버스 350|350번대 시내버스 이용]] → 경주 === 청도-영천 === * 1. 청도 → [[청도역]]으로 이동 → [[동대구역]]까지 열차 이용 → 동대구터미널 정류장으로 이동 → [[영천 버스 55, 555|영천행 시내버스 탑승]] → 영천 * 2. 청도 → [[청도역]]으로 이동 → [[경산역]]까지 열차 이용 → 경산역 → 하양행 시내버스[* [[경산 버스 803|803번]], [[경산 버스 809|809번]], [[대구, 경산 버스 840|840번]]. 단 809번은 803번, 840번의 반대편 정류장인 장산중학교 쪽 정류장에서 타야 하며 장마철 대부잠수교 통제 시 하양읍으로 가지 않으므로 주의.] 이용 → 하양초등학교 정류장 하차 → [[영천 버스 55, 555|영천행 시내버스 탑승]][* 809번은 하양초등학교 정류장에 하차 후 길을 건너지 않고 영천행 버스를 탈 수 있으며 803번, 840번을 타고 온 경우 길을 건너야 영천행 버스를 탈 수 있다.] → 영천 [[분류:경상북도의 버스 터미널]][[분류:청도군의 교통]][[분류:폐지된 버스 터미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