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淸潭 / Cheongdam(Korea Gold Exchange) }}} ||<-3> {{{+2 '''청 담'''}}}'''(한국금거래소)''' || ||<-3> [[서울 지하철 7호선|[[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30]]]] || || [[장암역|{{{#!html
장암 방면}}}]][[뚝섬유원지역|뚝섬유원지]][[청담대교|{{{#!html
← 청담대교 통과}}}]]← 2.0 ㎞ || [[서울 지하철 7호선|{{{#!html
7호선
(729)
}}}]] || [[석남역|{{{#!html
석남 방면}}}]][[강남구청역|강남구청]][br]1.1 ㎞ →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 --[[신사역|{{{#!html
신사 방면}}}]][[도산공원역|도산공원]]--[br]← -.- ㎞ || [[서울 경전철 위례신사선|{{{#!html
위례신사선
}}}]]{{{#ffffff (계획중)}}} || --[[위례중앙역|{{{#!html
위례중앙 방면}}}]][[봉은사역|봉은사]]--[br] -.- ㎞ → ||}}}}}}}}} || ||<-3>[include(틀:지도, 장소=청담역, 너비=100%, 높이=105%)]|| ||<-3> '''다국어 표기''' || || [[영어]] ||<-2> Cheongdam [br] (Korea Gold Exchange) || || [[한자]] ||<-2> 淸潭(韓國金去來所) || || [[중국어]] ||<-2> 清潭 || || [[일본어]] ||<-2> チョンダム || ||<-3> '''주소''' || ||<-3> [[서울특별시]] [[강남구]] [[학동로(서울)|학동로]] 지하 508 ([[청담동]] 77-76번지) || ||<-3> '''운영 기관''' || || [[서울 지하철 7호선|{{{#ffffff 7호선}}}]] ||<-2>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_Logo.svg|width=120]]]] || ||<-3> '''개업일''' || || [[서울 지하철 7호선|{{{#ffffff 7호선}}}]] ||<-2> 2000년 8월 1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4층 || ||<-3> '''승강장 구조''' || ||<-3> 2면 3선식 승강장 (횡단 가능)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 지하철 7호선]] 729번. [[서울특별시]] [[강남구]] [[학동로(서울)|학동로]] 지하 508 ([[청담동]] 77-76번지) 소재. 청담동과 삼성동에 걸쳐 있으며 1~7번 출구는 삼성동, 8~14번 출구는 청담동. 개방 화장실도 삼성동에 있다. == 역 정보 == 원래는 2000년 여름에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 3차 구간인 신풍-청담 구간을 개통하고, [[청담대교]]의 완공 예정 시기인 2000년 가을에 최종적으로 청담-건대입구 구간을 개통할 예정이었다.[* 청담대교는 자양동 주민들이 건대역사거리-뚝섬유원지역 구간의 7호선 고가 및 청담대교 진입램프 고가 공사에 강력히 반대하여 공사에 차질을 빚기도 했다.] 즉, 청담역이 3차 개통 때부터 완공 전까지 시종착역이었기 때문에 2면 3선식(선로|폼|선로|폼|선로)으로 설계하였는데, 한국 최초의 복층 교량으로 시공되어 2000년 하반기에 완공될 예정이던 청담대교가 예상 시기보다 1년 앞선 1999년 12월에 완공되어 결과적으로는 2000년 8월 1일 신풍-건대입구 구간이 모두 개통됨에 따라 첫차와 막차 시간대 말고는 시종착역의 기능을 안하게 되었다.[* 청담역에서 주박하는 첫차와 막차가 1대씩 존재한다. 다만 장암방향 막차는 평일에는 온수발 열차, 주말에는 부평구청발 열차이다.] 다만 2001년 여름 [[고속터미널역]] 침수 사건 때 잠깐동안 [[장암역]]/[[도봉산역]]발 열차가 청담역에서 회차한 적이 있었다. 이 역은 수도권 전철 단일역으로는 가장 많은 14개의 출구가 있으며, 1, 14번 출구 쪽에서 반대편 출구인 7, 8번 출구 쪽까지의 거리는 [[무려]] '''655m'''나 된다. [[수인·분당선]]의 [[구룡역|구룡역]] - [[개포동역]] 구간보다도 길고 심지어 2호선 [[서초역]]과 [[교대역(서울)|교대역]] 사이의 거리보다도 길다.[* 참고로 청담역 한쪽 끝인 7, 8번 출구로 나온 뒤 삼성로를 따라 직진하면 9호선 [[삼성중앙역]]이 나오고, 반대쪽 끝인 1번, 14번 출구로 나와서 영동대로를 따라 직진하면 9호선 [[봉은사역]]이 나온다. 청담역이 얼마나 긴지 보여주는 사례.] 이유는 역을 2개 짓지 않고 청담역 하나만으로 [[삼성로]]에 있는 청담공원앞 사거리와 [[영동대로]]에 있는 [[경기고등학교]] 앞 사거리 부근에 있는 수요를 끌어들이려는 목적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경기고등학교]] 앞 사거리에 역을 지으면 회차 시설과 함께 지상구간 연결을 만들만한 공간이 좀 빡빡해 보이기도 하고(물론 청담공원앞 사거리와 경기고등학교 앞 사거리 사이에서 회차를 했을 수도 있지만). 참고로 대한민국 도시철도역 전체를 따지면 단일역 기준으로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두류역]]이 출구 20개, 모든 역을 기준으로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환승역인 [[반월당역]]이 23개로 가장 많다.[* 또한, 반월당역은 비공식 출입구(출입구 번호 없이 지하상가 등으로 연결된 출입구)까지 다 포함하면 43개의 출입구가 있어 대한민국에서 출입구가 가장 많은 역이다.] 따라서 '청담역사거리'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7호선 개통 이후 영동사거리가 [[논현역]]사거리로, 논현동사거리가 [[학동역]]사거리로 사실상 정착된 것과 대비되는 부분이다. 논현동사거리의 경우 버스정류장 명칭에만 남아 있고 영동사거리의 경우 버스정류장에서도 사라져 거의 잊힌 명칭이 되었다. 청담역 출구가 사거리 2개에 걸쳐 있기 때문에 어느 한 사거리를 청담역사거리로 해버리게 되면 다른 사거리와 헷갈리기 십상이기 때문. 실제로 [[서울 버스 41]] 항목의 '청담공원사거리'가 이전 버전에서 청담역사거리로 표기되어 있어 오해를 불러 일으키게 묘사되어 있었다. 그래서 여기는 그대로 청담공원사거리(삼성로 교차), 경기고교사거리(영동대로 교차)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역과 시내버스 간의 환승 통행을 하려면 4번과 11번 출구가 가장 적절한데, 이쪽은 [[장암역]] 방면 8-4, [[부평구청역]] 방면 1-1과 가장 가깝다. 사실 반대 방향인 장암역 방면 1-1, 부평구청역 방면 8-4번 문으로 내려도 3번과 12번 출구에서 가깝긴 하다. 하지만 4번과 11번 출구에 비해서는 개찰구까지의 거리가 약간 더 있다. 물론 학동로가 아닌 삼성로나 영동대로의 버스와 환승을 하려면 좀 걸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 아이디어를 통해 역 하나 가량의 공사비를 절약하고, 한 역 더 정차할 필요가 없이 7호선 표정속도를 향상시킨 것은 매우 잘 한 일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이 때문에 역 자체의 편의성은 정말로 나쁘다. 역 플랫폼이 삼성로 쪽에 조금 더 가깝다 보니 청담공원앞 사거리까지는 그래도 역세권이라고 할 수 있지만, 경기고등학교 사거리 방향의 여섯 출구는 역세권이라고 하기가 뭣할 정도로 플랫폼과의 거리 차이가 엄청나며, 특히 이 지역에 대해서 잘 모르는 사람들이 환승을 할 때 혼란을 유발한다. 게다가 이 거대한 역에서 화장실은 4번, 11번 출구 쪽 개찰구 하나에만 있기 때문에 잘못 헤매다가는 길을 잃어버릴 수도 있다. 화장실 안내판에서 '''430m'''라는 초월적인 숫자를 볼 수도 있는 것은 덤. 역 전체의 거리가 엄청 긴 관계로 이 역의 역무원들은 역내 순찰시 역무실에 비치해 둔 자전거를 타고 다닐 정도라고 한다. 실제로 업무용 [[세그웨이]] 및 자전거가 있다. [[삼성로]]와 [[영동대로]]를 교차하는 노선으로는 [[서울 지하철 2호선]], [[수도권 전철 3호선]], [[서울 지하철 9호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이 있다. 2호선은 영동대로 쪽에만 [[삼성역(도시철도)|삼성역]]이 있고, 9호선의 경우 [[삼성중앙역]]과 [[봉은사역]]이 각각 따로 있다. 3호선도 [[학여울역]]과 [[대치역]]이 따로 있으며, 수인·분당선은 [[개포동역]]과 [[대모산입구역]]이 따로 있다. [[서울 경전철 위례신사선]]이 개통되면 이 역을 거쳐갈 예정인데, [[서울역]], [[홍대입구역]], [[노원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 [[고속터미널역]] 등 쟁쟁한 경쟁자를 넘어서는 [[막장환승]]이 기대된다. 7호선 청담역은 [[학동로(서울)|학동로]]에 깊이 들어와 있고, 위례신사선 청담역은 [[한강]]변 [[영동대로]] 지하에 들어갈 예정이기 때문이다. [[막장환승|예상 환승통로 길이가 '''520m''' 정도다.]] 2016년 5월 18일에 [[부역명 유상판매 정책]]의 일환으로 이 역의 부기역명 이름이 3억 6,000만 원에 팔렸다고 한다. 입찰자는 "한국금거래소"와 "우리들병원"인데 한국금거래소가 역 이름을 차지했다. 이로써 청담역의 [[병기역명]]이 "한국금거래소"가 되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8&aid=0003681428|「서울 지하철 청담역 '이름' 3억 6,000만원에 팔렸다」, 2016-05-18, 머니투데이]]] 이 역부터 [[보라매역]]까지 지하 3,4층의 조금 깊은 심도를 가진 역이 연속된다. 3호선, 9호선, 4호선과 교차하면서 그 밑으로 지나간다. == 역 주변 정보 == 이 역 주변에는 아파트와 고급빌라 등의 주거지들이 많으며, 특히 [[강남구청]]은 7번 출구에서 가깝다. 바로 다음역인 [[강남구청역]]을 생각하면 좀 이상한 상황이지만 사실은 강남구청역 앞의 강남구 보건소가 개통 당시 강남구청이었으며, 이후 구청이 현 위치(구 [[조달청]] 본청)로 이전했지만 역명을 그대로 쓰고 있는 것. 다만 청담역에서 내린다 해도 위에서 언급했다시피 실제 개찰구에서의 거리가 굉장히 멀기 때문에 11번 출구 바로 뒷편의 정류소에서 [[서울 버스 3414|3414]]/[[서울 버스 301|301]]/[[서울 버스 401|401]]번을 타고 바로 다음 정류소인 강남세무서에 내려서 건너가는 게 가장 간편하다. 또한 7호선을 이용하여 [[삼성역(도시철도)|삼성역]]/[[COEX|코엑스]]/[[봉은사역]] 방면으로 가는 경우 또한 이 역에 내려서 버스로 환승하는 것이 가장 간편하다. 3번 출구에서 조금 걸어가면 [[경기고등학교]] 정류소가 있는데, 여기서 바로 다음 정류장이 [[봉은사역]]이며, 그 다음 정류장이 바로 [[COEX|코엑스]]/[[삼성역(도시철도)|삼성역]]. 그래서 출퇴근 시간대에는 이 역에서 코엑스 등으로 가는 환승 수요가 상당히 많으며 실제로도 소요시간이 금방인데, 특히 7호선 한강 이북 구간에서 내려올 경우 [[건대입구역]]에서 갈아타는 것보다 청담역에서 버스로 환승하는 편이 절대적으로 유리하다. 건대입구역에서 환승 통로를 이동하여 2호선을 타고 [[강변역]] 즈음 왔을 때 이미 청담역 3번 출구 버스 정류장에 도달할 수 있으며, 여기서 버스를 타면 '''5분 내에''' 코엑스/삼성역에 도달하기 때문. 2번 출구에서 코엑스 방향으로 내려가면 바로 앞에 [[경기고등학교]] 정문이 있다. 덕분에 아침 시간대 2번 출구에서는 떼지어 등교하는 경기고 학생들을 볼 수 있다. 도산대로에 위치한 영동대교남단 및 청담사거리와 가장 가까운 역이기는 하지만, 출구에서 최소 600m는 떨어진 관계로 걸어서 가기엔 좀 무리이며, 청담사거리는 [[압구정로데오역]]에서의 거리와 비슷하다. 특히 이곳에 위치한 클럽[* Avenue535(舊 Answer), H20(舊 클럽아이), 엘루이(現 펜트하우스로 재건축 中)]에 가고자 하는 사람들은 청담역이나 [[서울 버스 4212|4212]]같은 버스보다 택시 이용을 선호하는 편. 금요일 또는 토요일 저녁에 13번 출구에서 클러버들을 많이 볼 수 있다. 13번 출구로 쭉 나가면 리베라호텔 서울이 있다.[* [[한국프로야구]]팀들이 [[잠실 야구장]] 원정 때 숙소로 주로 사용하며 선수단을 보기 쉽다.] 이 곳에서 내려서 2415번이나 143번 버스 등을 타면 [[대치동]] 학원가로 갈 수 있기 때문에, 중계동 등에서 오는 통학 학생들이 생각보다 많은 편이다. 반대로, 밤 10시가 되면 2415가 학생들 때문에 차고 넘친다(...) 이 학생들은 청담역에서 대부분 빠진다. 9번 출구로 나와 쭉 직진하면 [[천주교 서울대교구]] [[http://www.cdsd.org|청담동 성당]]이 있다. 마당이 아담한 크기로 꾸며져 있어, 앉아서 쉬어가기도 좋다. 성당과 마주보고 있는 건물의 1층과 3층은 '마리아 홀리 기프트(Maria Holy Gift)'라는 [[천주교]] 관련 [[성물]](聖物), 신앙 서적, [[성가]] 음반 등을 판매하는 상점이었으나, 2018년 7월경 사장 개인 사정으로 폐업됐다. 특히 여기서 판매하는 [[미사보]]가 아름답기로 유명했다. 미사보 등에 [[세례명]]을 손으로 수놓아 주고, 포장도 아름답고 정성스러우며, 포장 등에 직접 예쁜 손글씨를 써 주는 등, 천주교 신자라면 반할 만한 구석이 많았으니 아쉬울 따름. [[한강]]을 지나서 바로 다음에 있는 역인데도 불구하고 역이 생각보다 깊다. 승강장에서 계단을 한번 오르고, 엄청나게 긴 에스컬레이터를 한 번 탄 뒤, 또 계단(또는 에스컬레이터)를 한번 더 타야 한다. --[[천국의 계단(철도)|천국의 계단]]-- 6번 출구 앞에는 [[SM엔터테인먼트]] 신사옥이 있었지만 [[서울숲역]] 5번출구로 이전되었다. * 1번 출구: 봉은초등학교, 봉은중학교, 한국문학번역원 * 2번 출구: 경기고등학교 정문, 봉은사(템플스테이), 영동대로(코엑스 방면) * 3번 출구: 삼성1동 * 4번 출구: 진흥길 * 5번 출구: 수도산길 * 6번 출구: 경기고등학교 후문, 서울정애학교, 강남구도시관리공단, 강남노인복지관, 강남구보건분소, 강남문화재단, 봉은공원 * 7번 출구: 삼성2동, 삼성힐스테이트아파트, 삼성래미안라클래시, 센트럴아이파크아파트, 강남구청, 강남구보훈회관 * 8번 출구: 강남세무서, 청담치안센터 * 9번 출구: 청담동주민센터 방면 * 10번 출구: 청담동, 삼성청담공원아파트, 청담대우유로카운티아파트 * 11번 출구: 진흥아파트, 청담공원 * 12번 출구: 청담지구대, 강남청소년수련관 * 13번 출구: 영동대교 방면 * 14번 출구: 영동대로(영동대교 방면), 청담동삼익아파트, 청담자이아파트, 한국금거래소 == 장터열차 == 매주 화, 수, 목 오후 3시부터 8시까지 농산물을 판매하는 직거래 장터가 열렸다. 주박선로에 열차를 대놓고 열차 내에서 판매하는데, [[서울 지하철 6호선]] 열차라는 게 유머. 처음에는 그냥 7호선 열차를 주박시켰으나 언제부터인가 6호선 열차를 갖다 쓰고 있다. 장터열차 운영 중단 후에는 아예 6호선 열차가 7호선 내에서 운행한 적도 있다. 후술한 대로 7호선의 열차가 부족해서 열차가 증차될 때까지 임시로 투입된 듯. [[9GAG]]에도 [[http://9gag.com/gag/5143234|Midnight Meat Train]]이라는 제목으로 올라왔다. 장터 열차가 운영되었던 시간대에는 반대편 승강장으로 가기 위해서 계단을 오르내리는 수고로움을 덜어낼 수 있었다. [[2012년]] [[9월 28일]]부터 [[서울 지하철 7호선]]이 [[부평구청역]]까지 연장 시운전에 돌입함에 따라 이날부터 장터열차 운영을 중단하였다. 열차가 심하게 모자라기 때문이다. 덕분에 이 6호선 출신 장터열차가 7호선에서 알바를 뛰었다고 한다. 부평구청 연장 증차용 신차가 도입되면서 이 열차는 다시 6호선으로 돌아가서 운행 중이다. 해당열차는 606편성이다. == 일평균 이용객 == 청담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10> [[서울 지하철 7호선|{{{#ffffff '''서울 지하철 7호선'''}}}]] || ||<^|1><-10>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0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29,578명 || 39,598명 || 43,759명 || 46,068명 || 46,455명 || 48,255명 || 50,232명 || 51,196명 || 52,323명 || 52,788명 ||}}}}}}}}}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54,460명 || 56,542명 || 56,162명 || 53,153명 || 51,831명 || 47,119명 || 45,250명 || 43,511명 || 41,937명 || 41,605명 || || 2020년 || || '''32,646명''' || * 2000년 자료는 개통일인 8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53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출처: [[http://www.seoulmetro.co.kr/kr/board.do?menuIdx=548|서울교통공사 자료실]] * 개통 첫 해인 2000년에 3만 명 언저리에서 시작한 이래 빠르게 승객이 늘어나 2002년 4만 명, 2006년에 5만 명을 돌파했다. 이때가 청담역의 전성기로서, '''2000년대 중반~후반까지는 7호선에서 가장 이용객이 많았다.''' * [[가산디지털단지]]의 재개발에 의해 2009년에 [[가산디지털단지역]]에 1위 자리를 내주었지만, 청담역의 이용객은 꾸준히 상승하여 2011년에 56,542명으로 정점을 찍었다. * 그러나 [[분당선]],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의 연장 개통으로 7호선 전체에서 가장 큰 타격을 입었다. 분당선이 [[압구정로데오역]]에서, 9호선이 [[삼성중앙역]]과 [[봉은사역]]에서 각각 청담역의 수요를 잡아먹었기 때문이다. 봉은사역의 이용객이 계속 늘어나고 있기에 역전될 수도 있다. 불과 6,000여명(정확히는 5,630명)밖에 차이가 안난다. * 분당선이 개통된 2012년에는 청담역의 하루 평균 이용객이 56,162명이었는데, 분당선 이용객이 반영된 2013년에는 한꺼번에 3천 명이 줄어들더니, 2014년에 2천 명이 또 감소하고, 9호선이 개통된 2015년에는 4,700명이 또 줄면서 10년 만에 하루 이용객 5만 명대가 무너졌다. 그 후로도 2천 명씩 꾸준히 감소해 2017년에는 불과 '''5년 만에 12,600명'''이 근처의 역들로 '''이탈'''하였다. * 이렇듯 상당한 숫자의 사람들이 빠져나갔지만 아직도 청담역의 승하차객 숫자는 7호선 전체 6위를 차지하고 있다. 서울 서부의 수요를 9호선이나 2호선 등에 대체당하더라도, 광진구, 중랑구, 노원구에서 강남에 가려면 7호선을 이용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7호선 내에서 상위권 라인은 계속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 향후 [[위례신사선]]이 개통되면 [[위례신도시]], [[영동대로]], [[도산대로]] 연선에서 부천, 인천, 건대, 중랑, 노원 방향으로 가는 더욱 빠른 루트가 생겨남에 따라 환승객이 증가할 것이다. == 승강장 == || [[파일:청담역 승강장.jpg|width=500]] || || [[서울 지하철 7호선]] 승강장 [[https://namu.wiki/w/%ED%8C%8C%EC%9D%BC:%EC%B2%AD%EB%8B%B4%EC%97%AD%20%EC%8A%B9%EA%B0%95%EC%9E%A5.jpg|크게보기]] || 청담역 승강장은 2면 3선의 승강장이 있는 지하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이 역에서 도봉산/장암행 열차를 타면, 자신이 탄 문(진행방향 기준 왼쪽)이 다시 열리는 역이 14개 정거장이나 차이가 나는 [[하계역]]이다. 그리고, 온수/부평구청/석남행 열차를 타면, 자신이 탄 문이 다시 열리는 역은 13개 정거장이나 차이가 나는 [[보라매역]]이다. 두 역 모두 청담역에서의 소요 시간이 같다.(약 26~27분) || [[파일:21 청담(개선).png|width=100%]] || || 역안내도 [[https://namu.wiki/w/%ED%8C%8C%EC%9D%BC:21%20%EC%B2%AD%EB%8B%B4(%EA%B0%9C%EC%84%A0).png|크게보기]] || 승강장의 형태가 5호선 [[상일동역]], 6호선 [[상월곡역]]과 비슷하다. 또한 이 역들과 마찬가지로 승강장행 엘리베이터 설치가 불가능하여 휠체어리프트 이용이 강제된다. ||<-7> [[뚝섬유원지역|뚝섬유원지]] ↑ || || ㅣ || {{{#ffffff 하}}} || {{{#ffffff 중}}} || ㅣ || {{{#ffffff 중}}} || {{{#ffffff 상}}} || ㅣ || ||<-7> ↓ [[강남구청역|강남구청]] || || {{{#ffffff 상}}} ||<|3>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건대입구역|건대입구]]·[[상봉역|상봉]]·[[도봉산역|도봉산]]·[[장암역|장암]] 방면|| || {{{#ffffff 중}}} ||청담역 시·종착 열차(주박용)|| || {{{#ffffff 하}}} ||[[강남구청역|강남구청]]·[[고속터미널역|고속터미널]]·[[온수역|온수]]·[[석남역|석남]] 방면|| [[분류:2000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서울 지하철 7호선]][[분류:서울 경전철 위례신사선]][[분류:서울 강남구의 교통]][[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서울특별시의 지하철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