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기동전함 나데시코]]에 등장하는 병기. 통칭 진 시리즈(ジンシリーズ). [[목련(기동전함 나데시코)|목련]]이 개발한 인형병기로, 이 기체 전까지 등장하던 무인병기와 다르게 파일럿이 탑승하여 조종하는 유인기라는 것이 드러나고 나데시코 크루는 [[충격과 공포]]에 휩싸였다. [[게키강가]] 덕후인 목련답게 대부분의 기체의 디자인을 게키강가의 각 형태에서 따왔다. 엔진은 [[상전이 엔진|상전이로]]를 장착. 무장은 내장형 미사일, 빔, [[그래비티 블래스터]]에 필적하는 중력파 병기 및 [[로켓 펀치]](…) 등이 공통적으로 장비되어 있다. [[디스토션 필드]]에 의한 높은 방어력을 지녔으며, 가장 큰 특징은 기동병기이면서도 단독으로 [[보손 점프]]가 가능하다는 것으로 이를 이용해 기존의 전술&전략과는 한층 높은 전략적 능력을 가지게 되었다. 기체를 평균 30m 정도로 대형화 및 유인기화 시킨 것도, 이와 같은 보손 점프의 전략적 유용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사실 그냥 게키강가를 따라하고 싶었던 거일지도~~ 여담으로 다이급 3기는 우연히도 동명의 특촬 거대로봇이 존재한다. 다이테츠진은 [[대철인 17]]의 주역기체, 다이마진은 영화 대마신 시리즈의 수호신, 계획만 존재하고 작중에 나오는 일 없이 종전된 [[다이덴진]]은 전자전대 덴지맨의 주역기체에 대응한다. === 철인(テツジン;테츠진) === [[이미지:tetsujin.jpg]] [[게키강가]] 덕후인 목련에서 게키강가 3를 모티브로 해서 만든 로봇. 공중전에 능하며 유인기임에도 불구하고 보손 점프 능력이 장착되어 있다. 물론 [[디스토션 필드]]도 역시 마찬가지이다. 작품 내에서는 [[시라토리 츠쿠모]]가 사용했으며, 마신과 함께 네르갈의 실험장으로 쳐들어가 마구 때려부수고 다녔으나, [[이츠키 카자마]]의 희생(?)에 힘입어 포획에 성공. 나데시코에서 철인을 분석해 목련의 정체를 알게 된다. 하지만 파일럿인 츠쿠모는 살아남아 나데시코에 잠입. 거기서 우연히 보게된 게키강가 애니를 보고 감동하게 된다. [[슈퍼로봇대전]]에서는 적 기체로 나온다. 보스급답게 HP가 높고, [[디스토션 필드]]를 달고 있어서 짜증을 선사해주었다. [[슈퍼로봇대전 R]]에서는 츠쿠모가 대철인 대신에 아군기로 들고오기도. [[슈퍼로봇대전 W]]에서도 대철인의 입수 플래그를 얻지 못했다면 기본적으로 이 기체를 타고 합류한다. === 마인(マジン;마징) === [[이미지:majin.jpg]] 게키강가의 수중형태인 우미강가가 모티프…이지만 작중에서 수중전을 보인 적도 보일 기회도 없었기에 수중운용이 가능할지는 불명(…). 슈퍼로봇대전에서도 CPU로 등장할 때는 무조건 공중에 떠있거나 우주전이기에 수중에선 활약할 수 없지만 기본적으로는 수중에서도 운용가능한 듯하다. 작중에서는 [[츠키오미 겐이치로]]가 사용. [[텐카와 아키토]]와 대결 끝에 자폭하려 했으나 아키토가 가지고 있던 튤립 크리스탈에 의해 달로 보손 점프당한다. 슈퍼로봇대전에서는 대철인&대마신 등에 밀려 졸개 유닛으로 자주 등장. [[슈퍼로봇대전 W]] 2부에서 이벤트로 다이나믹 멤버(마징가, 겟타 팀)를 원호하려고 [[시라토리 츠쿠모]]가 탑승해 아군기로도 아주 잠깐 쓸 수 있는데, 등장시에 '''"마징, 고-!!"''' 라고 외치는 게 개그 포인트(…). 대사의 원조 파일럿들인 [[카부토 코우지|코우지]]와 [[츠루기 테츠야|테츠야]]도 그 자리에 있는데다 [[나가레 료마|료마]]의 "이걸 위해서 음성 기동으로 해둔거냐…" 라고 절규하는 것도 필견. 위에 서술한 대로 수중전을 재현해볼 수 있는 유일한 스테이지. === 전인(デンジン;덴진) === [[이미지:Denjin-1.jpg]] 게키강가의 육상형태인 리쿠강가가 모티프. 이 기체는 철인과 마인의 약점인 게키강 펀치 사출시의 공격수단 저하에 대한 대책이 세워져 있어 대 필드전 사양으로 팔이 없어도 어느 정도 격투전을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 기체 또한 대철인, 대마인과 같은 대급 사양의 강화계획이 있었으나 완성 전에 전쟁이 종결되어서 무산되었다. 작중에서는 [[타카스기 사부로타]]와 [[아키야마 겐파치로]]가 탑승. 슈퍼로봇대전에서는 후속강화기체가 없기 때문인지는 몰라도 졸개로 자주 등장. [[슈퍼로봇대전 R]]에서는 위의 두 파일럿 이외에도 [[호쿠신]]도 탑승했다. 특히 호쿠신의 경우 성격이 대보스라서 기력이 금방올라가 보손 점프 발동위험이 꽤 높다. 긴 사정거리와 배리어 관통이 달린 필드 클로가 위협적. === 대철인(ダイテツジン;다이테츠진) === [[이미지:Daitetsujin.jpg]] 철인의 강화개조기체. 상전이 엔진에 의해 안 그래도 커다랬던 진 시리즈 중에서도 대급이 되면서 더더욱 커졌다. [[슈퍼로봇대전]]에서는 조건 만족시 동료로 들어오는 경우가 자주 있다. === 대마인(ダイマジン;다이마징) === [[이미지:Daimajin.jpg]] 마인의 강화개조기체. 이하 대철인과 거의 동일. 로봇대전에서도 대철인과 거기서 거기인 경우가 많다. 차이점이 있다면 팔에서 소형 그라비티 블래스트를 쏠 수 있다는것. [[츠키오미 겐이치로]]가 긍지를 걸고 월면도시를 파괴하기 위해 이 기체를 타고 나타나지만 보손점프 탑재기의 전투법을 완전히 통달한 아키토의 에스테바리스 월면 프레임의 활약으로 전투불능까지 몰린다. 슈퍼로봇대전 시리즈를 한 유저들 입장에서는 꽤 짜증나는 놈인데, TV판 나데시코가 재현된 시리즈에선 R 빼고 거의 반드시 이 월면기지 전투가 재현되기 때문. 대략 원작에서처럼 아키토 혼자서 대마인을 박살내는 짓은 어지간하면 불가능하다. 첫 작품인 A에선 월면 프레임에 기존 아키토기의 개조가 반영 안되는데다 약 3턴까지는 아키토 혼자서 이 악조건하에서 버텨야하는데다 첫 아군 증원으로 오는 그렌다이저에 뻑가서 퇴각하기 때문에 디스토션 필드의 사양상 절대로 박살낼 수 없고, 임팩트와 J, W에서도 구현되었지만 이때부터는 아키토기의 개조상황이 반영되므로 A만큼 하드코어하진 않다. 심지어 J의 경우는 분기루트에서만 나오는 관계상 그레이트 제오라이마와 발자크 생존을 노릴 경우 단 한번도 만나지 않고 넘어갈 수 있다. A 포터블에서는 월면 프레임에 아키토기의 개조가 반영돼서 미리 키워놨다면 주변의 밧타를 다 정리한 뒤 맞짱을 뜨다못해 박살내는 것도 노릴 수 있다. 보통은 주회차 플레이에서나 가능하지만 파계편 가이오우 격파 밑준비 급으로 독하게 노가다했다면 1회차에서도 격파할 수 있다. 박살내면 회차당 1회만 써먹을 수 있는 희귀 파츠인 SP소비감소를 한번 더 먹을 수 있다. BX에서는 처음에는 적으로 나오는데, 그 첫 교전이 건담 AGE와 크로스오버 되면서 아키토뿐만 아니라 [[지라드 스프리건]]하고도 교전하게 된다. 후반에 츠쿠모의 대철인과 함께 아군으로 들어오며, 둘이서 [[더블 버닝 파이어]]스럽게 중력파포를 동시에 쏘는 합체공격 더블 게키강 파이어를 쓸 수 있다.(!!!) 이 엄청난 대우는 지금까지 나데시코가 나오는 슈퍼로봇대전에서 대마인때문에 속 썩였던 유저들한테 있어서 애증이 교차할듯. 여담으로 일본어 표기상 [[다이만지]]와 헷갈리기 딱 좋다. ~~하긴 [[하누마신]]이 하타마신으로 응두바가 소두바로 잘못 퍼진 적도 있었는데~~ === [[야천광]], 육련, [[적시기#s-2]] === || [[이미지:yatenko.jpg|width=100%]] || [[이미지:muzura-1.jpg|width=100%]] || [[이미지:shishiki-1.jpg|width=100%]] || || [[야천광]] || 육련 || [[적시기#s-2]] || 정확히는 진 시리즈의 소형발전기로, [[에스테바리스]]와 비슷한 전고 6~8m 전후의 사이즈로 소형화되었고[* 육련의 경우에는 하반신을 간략화하면서 그보다 더 작은 전고 4m 정도에까지 소형화되었다.] 제네레이터로는 목련의 무인병기인 밧타의 제네레이터를 개량한 것을 사용하고 있다. 자세한 설명은 [[야천광]] 문서 및 [[적시기#s-2]] 문서를 참조. === 스테른쿠겔(ステルンクーゲル) === || [[이미지:sternlungel_color.jpg|width=100%]] || [[파일:SternKugel.jpg|width=100%]] || || 컬러 설정화 || 흑백 설정화 || Sternkugel, ステルンクーゲル [[기동전함 나데시코 -The Prince of Darkness-]]에서 통합군의 하이급 양산기로 운용되는 기동병기. TV판 후반부에 등장했던 [[에스테바리스]] 월면 프레임의 축소판이라는 컨셉으로 개발되었다고 하며, 로우급 양산기로 취급되는 에스테바리스2와 더불어 일종의 [[하이로우 믹스]] 운용의 대상이 되고 있다. 기술적으로는 상기한 [[야천광]], 육련, [[적시기#s-2]]와 마찬가지로 진 시리즈의 기술을 바탕으로 하고 있어, 에스테바리스와는 달리 모함에서 송신되는 [[중력파]] [[에너지]]에 의존하는 일 없이 자체적으로 제너레이터를 탑재하여[* 목련의 무인병기인 밧타의 제네레이터를 개량한 것을 탑재. 상기한 야천광, 육련, 적시기와 동일한 특징이다.] 에너지를 얻고 있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대구경 고출력 [[레일건]]인 핸드 레일건으로 무장한 전고 7m의 기체로 전고 6m인 일반적인 에스테바리스들보다는 약간 대형이다.[* 그래도 에스테바리스 월면 프레임이 일반적인 에스테바리스들의 3배에 달하는 전고 18m의 거체를 자랑했던 것에 비하면 정말 작게 줄어든 것이다. 전고 30m에 달하는 진 시리즈에 비하자면 아주 소형이고.] 에스테바리스와는 달리 [[IFS]]를 조종 인터페이스로 사용하지 않기에 조종성이나 반응성이 뒤떨어지는 것이 약점이나, 이를 벌충하여 조종성과 반응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고성능 [[기계학습|학습]]형 [[컴퓨터]]를 기체의 제어 컴퓨터로 채용하였다고 한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철인, version=78)] [[분류:기동전함 나데시코]] [include(틀:포크됨2, title=철인(기동전함 나데시코), d=2023-02-23 11:4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