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철야의 노래)]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0; background-color: #2d1765; background-image: radial-gradient(rgba(255, 230, 255, 1) 8px, rgba(230, 160, 230, 1) 8.8px, rgba(220, 120, 220, .9) 9px, rgba(200, 100, 155, .8) 9.2px, rgba(100, 70, 150, .5) 11px, rgba(80, 50, 120, .2) 22px, transparent 30px); background-size: 500px 500px; background-position: -170px -225px;" {{{#ffffff,#ffffff '''{{{+1 철야의 노래}}}''' (2022)[br]よふかしのうた[br]CALL OF THE NIGHT}}}}}}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callofthenight.pn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html 장르}}}''' ||[[러브 코미디]], [[어반 판타지]], [[일상물|일상]], [[서스펜스]] || || '''{{{#!html 원작}}}''' ||[[코토야마]] || || '''{{{#!html 감독}}}''' ||[[이타무라 토모유키]] || || '''{{{#!html 치프 디렉터}}}''' ||미야니시 테츠야(宮西哲也) || || '''{{{#!html 시리즈 구성}}}''' ||<|2>[[요코테 미치코]] || || '''{{{#!html 각본}}}''' || || '''{{{#!html 캐릭터 디자인}}}''' ||[[사가와 하루카]] || || '''{{{#!html 메인 애니메이터}}}''' ||후쿠다 슈헤이(福田周平)[br]나가하마 유사쿠(長濵佑作)[br]시노하라 유타(篠原佑太) || || '''{{{#!html 미술 감독}}}''' ||요코마츠 노리히코(横松紀彦) || || '''{{{#!html 미술 설정}}}''' ||스기야마 신지(杉山晋史) || || '''{{{#!html 색채 설계}}}''' ||타키자와 이즈미(滝沢いづみ) || || '''{{{#!html 촬영 감독}}}''' ||츠치모토 유키(土本優貴) || || '''{{{#!html 편집}}}''' ||에노키다 미사키(榎田美咲) || || '''{{{#!html 음향 감독}}}''' ||키무라 에리코(木村絵理子) || || '''{{{#!html 음향 효과}}}''' ||타쿠마 마키(宅間麻姫) || || '''{{{#!html 음악}}}''' ||데와 요시아키(出羽良彰) || || '''{{{#!html 음악 제작}}}''' ||후지퍼시픽 뮤직 || || '''{{{#!html 총괄}}}''' ||타카세 유키코(高瀬透子)^^[[후지 테레비]]^^ || || '''{{{#!html 치프 프로듀서}}}''' ||오자키 노리코(尾崎紀子)^^[[후지 테레비]]^^[br]미야케 마사노리(三宅将典) || || '''{{{#!html 프로듀서}}}''' ||스가와라 하나(菅原 花)^^[[후지 테레비]]^^[br]사토 나루토시(佐藤成俊) || || '''{{{#!html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이나가키 타카후미(稲垣敬文) || || '''{{{#!html 애니메이션 제작}}}''' ||[[라이덴 필름]] || || '''{{{#!html 제작}}}''' ||'''{{{#373a3c,#fff 철야의 노래}}}''' [[제작위원회]][* [[후지 테레비]] 애니메이션, [[애니플렉스]], [[쇼가쿠칸]], [[쇼가쿠칸 슈에이샤 프로덕션|]], 울트라 슈퍼 픽쳐스, 토후, [[애니맥스|애니맥스브로드캐스팅 재팬]], [[덴츠]], FCC] || || '''{{{#!html 방영 기간}}}'''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애니메이션/2022년 7월|2022. 07. 08.]] ~ 2022. 09. 30.[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3. 04. 01. ~ 2023. 04. 09. || || '''{{{#!html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후지 테레비]]([[노이타미나]])[br](금) 00:55[* 1, 11화는 01:05분, 13화는 01:20분에 시작.][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WeeTV[*위탁방영 (주)씨앤씨미디어콘텐츠 판권 위탁방영] / (토,일) 00:00 || || '''{{{#!html 스트리밍}}}''' ||[include(틀:Laftel 표시)] [[https://laftel.net/item/40938|▶]]^^독점^^ || || '''{{{#!html 편당 러닝타임}}}''' ||23분 || || '''{{{#!html 화수}}}''' ||13화 || || '''{{{#!html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9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ffffff 19세 이상 시청가}}}]] {{{-2 {{{#ffffff (선정성, 언어)}}}}}} || || '''{{{#!html 관련 사이트}}}''' ||[[https://yofukashi-no-uta.com/1st/|[[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yofukashi_pr)] | [[https://www.instagram.com/yofukashi_pr/|[[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tiktok.com/@anime_yofukashi|[[파일:틱톡 아이콘.svg|width=25]]]] || }}}}}}}}}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철야의노래.jpg|width=650&align=center]] 일본의 만화 [[철야의 노래]]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제1기. 감독은 [[이타무라 토모유키]], 캐릭터 디자인은 [[사가와 하루카]]. 방영 시기는 [[애니메이션/2022년 7월|2022년 7월]]. == 공개 정보 == ===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a4bSbmqwhso, width=100%)]}}} || || '''{{{#!html 티저 PV}}}'''[* 삽입곡은 원작 타이틀의 유래가 된, [[Creepy Nuts]]의 곡 [[よふかしのうた]].]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ukO-ZdWS3j8, width=100%)]}}} || || '''{{{#!html 본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video, src=https://video.twimg.com/ext_tw_video/1641005986822635520/pu/vid/1280x720/N9BDzVqHbIKmTIdf.mp4, width=100%)]}}} || || '''{{{#!html 라프텔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hlSZ_0mBEb4, width=100%)]}}} || || '''{{{#!html 클라이맥스 PV}}}''' || ==== 캐릭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ak_sMP8cpyM, width=100%)]}}} || || '''{{{#!html 철야 무비 case 1}}} [[나나쿠사 나즈나|{{{#!html -나나쿠사 나즈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KvztsKdHYCQ, width=100%)]}}} || || '''{{{#!html 철야 무비 case 2}}} [[아사이 아키라|{{{#!html -아사이 아키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cnEkMwB7yTw, width=100%)]}}} || || '''{{{#!html 철야 무비 case 3}}} [[키쿄 세리|{{{#!html -키쿄 세리-}}}]]''' || === 키 비주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철야의노래_애니티저비주얼.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20220216_014317.jpg|width=100%]]}}} || || '''티저 비주얼''' || '''철야 비주얼[br]case 1 -[[나나쿠사 나즈나|{{{#fff,#fff 나나쿠사 나즈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철야의노래_캐릭터비주얼(아사이아키라).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철야의노래_캐릭터비주얼(키쿄세리).jpg|width=100%]]}}} || || '''철야 비주얼[br]case 2 -[[아사이 아키라|{{{#fff,#fff 아사이 아키라}}}]]-''' || '''철야 비주얼[br]case 3 -[[키쿄 세리|{{{#fff,#fff 키쿄 세리}}}]]-''' || === 스태프 / 캐스트 코멘트 === ||<-4> {{{+1 '''{{{#!html TV 애니메이션 『철야의 노래』 캐스트 코멘트}}}'''}}} || ||<^|1>'''[[철야의 노래|{{{#!html 원작}}}]]''' ||<^|1><-3> {{{+2 '''[[코토야마|{{{#000,#fff 코토야마}}}]]'''}}}[br][br]{{{#!folding [ ・ ・ ・ ] [br][[파일:코토야마축전.jpg|width=550&align=center]]{{{#!wiki style="text-align:left" [br]원작 {{{+2 {{{#c472ca 코토야마}}}}}} {{{-1 Kotoyama}}} 수고하셨습니다 이번에, [[다가시카시]]에 이어 [[철야의 노래|요후카시]]도 애니메이션화 해주시게 되었습니다 대단히 감사한 일입니다 아직 저도 본편을 본 것은 아니기 때문에 그다지 적당한 것은 말할 수 없습니다만, [[이타무라 토모유키|이타무라]] 감독과 이야기 했을 때의 「[ruby(요후카시, ruby=夜更し)]」에 대한 이해, 해상도의 뛰어남이나, [[사가와 하루카|사가와]]씨의 캐릭터 디자인의 귀여움을 보고, 이게 움직이는건가~ 하고 굉장히 기대됩니다 [ruby(철야의 노래, ruby=よふかしのうた)], 라는 제목이 원래 [[Creepy Nuts]]씨의 노래에서 빌린 것이며, 또한 주제가, 노래 제공도 해주셔서 감개무량입니다 듣고 있다고 하면 웃음거리가 되는, 빙하기라고 할 수 있는 시대의 일본어 랩을 즐겨 듣던 소년 시절을 보냈고, 깨닫고 보니 배틀계에 [[R-指定|R씨]]가 대두해 무수히 진격을 계속해, 분명히 R씨와 [[DJ松永|마츠나가씨]]의 영향으로 일본어 랩의 장면이 바뀌어 가는 시대를 바라보며 동경하던 상대방이 제 만화를 이미지하고 가사를 쓰고 랩으로 만들어 준 것은 앞으로의 제 일에 있어서도 너무나 큰 사건이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이 마음을 간직할 수 있도록, 변함없이, 바꿀 곳은 바꾸어 즐겁고 힘들게 도전해 만화를 그려나가려고 생각합니다 [ruby(철야의 노래, ruby=よふかしのうた)], 애니메이션, 감사합니다.}}}}}}[br] || ||<^|1>'''{{{#!html STAFF}}}'''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2px; border-radius: 0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0px; border-color: #2d1765; background: #2d1765; font-size: 1em" '''{{{#c472ca,#c472ca 감독}}}'''}}}[br]{{{+1 '''[[이타무라 토모유키|{{{#000,#fff 이타무라 토모유키}}}]]'''}}}[br][br]{{{#!folding [ ・ ・ ・ ] {{{#!wiki style="text-align:left" [br]감독 {{{+2 {{{#c472ca 이타무라 토모유키}}}}}} {{{-1 Itamura Tomoyuki}}} {{{#c472ca Q1. 본작을 TV 애니메이션으로 만드는 데 있어서, 의식하고 있는 것이나 유의하고 있는 것을 가르쳐 주실 수 있습니까.}}} [ruby(요후카시, ruby=夜更し)]를 [ruby(두근두근, ruby=ワクワク)] 할 수 있도록, 밤을 매력적으로 그리는 것을 유의하고 있습니다. 부모님 몰래 밤의 거리에 쏟아낸 [ruby(두근두근, ruby=ドキドキ)]함이 전해지면 기쁩니다. {{{#c472ca Q2. 원작을 다루는 코토야마 선생님과 이야기한 것 등을 가르쳐 주시겠습니까.}}} 코토야마 선생님이 좋아하는 작품이나 좋아하는 음악에 대해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기회가 있었습니다. Creepy Nuts씨의 고참이자 열성팬이라는 것도 알게 되고, 사랑이 넘치는 느낌이었습니다. {{{#c472ca Q3. 방송을 기다리고 기다리는 팬을 향해 메시지를 부탁드립니다.}}} 코토야마 선생님이 그리는 솔리드한 만화의 세계관을, 애니메이션에서는 선명하게 그려낼 결심을 했습니다. 애니메이션만의 그림과 소리로 「[ruby(철야의 노래, ruby=よふかしのうた)]」를 즐겨주세요. }}}}}}[br]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2px; border-radius: 0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0px; border-color: #2d1765; background: #2d1765; font-size: 1em" '''{{{#c472ca,#c472ca 치프 디렉터}}}'''}}}[br]{{{+1 '''{{{#000,#fff 미야니시 테츠야}}}'''}}}[br][br]{{{#!folding [ ・ ・ ・ ] {{{#!wiki style="text-align:left" [br]치프 디렉터 {{{+2 {{{#c472ca 미야니시 테츠야}}}}}} {{{-1 Miyanishi Tetsuya}}} {{{#c472ca Q1. 본작을 TV 애니메이션으로 만드는 데 있어서, 의식하고 있는 것이나 유의하고 있는 것을 가르쳐 주실 수 있습니까.}}} 항상 의식하고 있는 것은 「밤을 즐겁게 그리는 것」과 「그 밤을 보내는 캐릭터들을 페티시를 섞으면서도 즐겁게 하는 것」입니다. 밤의 아름다움, 즐거움을 강조하는 것으로, 반대로 위험함, 무서움을 품고 있는, 「밤의 깊이」같은 것도 그릴 수 있도록 유의하고 있습니다. 코토야마 선생님이 그리는 다양한 캐릭터들의 밑바닥에는, 누구든 공감할 수 있는 「사랑이란 무엇인가, 사람이란 무엇인가, 즐거움이란 무엇인가」라고 하는, 좋은 의미로 풋풋한 속내가 교묘하게 숨겨져 있는 것처럼 느껴지고 있기 때문에, 그 본심의 부분이 흔들려 보이지 않게, 조심하고 있습니다. {{{#c472ca Q2. 원작을 다루는 코토야마 선생님과 이야기한 것 등을 가르쳐 주시겠습니까.}}} 선생님은, 라고 할까 사람에 대해 말할 수 없습니다만, 서로 낯가리는 부분을 발휘하고 있던 부분이 있기 때문에(웃음), 어쨌든 첫 대면일 때는 원작의 나즈나의 게임을 좋아하는 부분에서부터 게임의 화제를 열심히 펼친 기억이 있네요. 선생님과 감독의 대화를 옆에서 들으면서 작품에 대한 생각, 또 작품 타이틀이 되기도 한 Creepy Nuts씨를 포함한 힙합에 대한 존경을 대단히 느꼈습니다. {{{#c472ca Q3. 방송을 기다리고 기다리는 팬을 향해 메시지를 부탁드립니다.}}} 이 작품은 애니메이션의 색채의 화려함과는 대조적으로, 세계를 말려들게 하는 일대 스펙터클이 아니라, 코우와 나즈나를 중심으로 한 「[[일상]]」의 뒤에 있는 [[비일상]]을 그린 작품으로 되어 있습니다 . 과도한 기대를 하지 않고, 어깨의 힘을 빼고, 왠지 모르게 보고 있는 어느새(방송 시간 포함) 밤을 기대해 주시면 기쁘겠습니다.}}}}}}[br]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2px; border-radius: 0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0px; border-color: #2d1765; background: #2d1765; font-size: 1em" '''{{{#c472ca,#c472ca 캐릭터 디자인}}}'''}}}[br]{{{+1 '''[[사가와 하루카|{{{#000,#fff 사가와 하루카}}}]]'''}}}[br][br]{{{#!folding [ ・ ・ ・ ] {{{#!wiki style="text-align:left" [br]캐릭터 디자인 {{{+2 {{{#c472ca 사가와 하루카}}}}}} {{{-1 Sagawa Haruka}}} {{{#c472ca Q1. 본작을 TV 애니메이션으로 만드는 데 있어서, 의식하고 있는 것이나 유의하고 있는 것을 가르쳐 주실 수 있습니까.}}} 지금까지 제가 종사해 온 작품들 중에서는 이색적이고, 말씀해 주셨을 때부터 그려보고 싶다! 라는 마음이 멈추지 않았습니다. 원작의 디자인이 굉장히 매력적이어서 그 분위기를 어디까지 애니메이션에 채워넣을 수 있을까를 몇 번이나 고민했습니다. 캐릭터 각각의 체격과 [[흡혈귀(철야의 노래)|흡혈귀]]들의 표정을 신중하게 해 나가도록 유의했기 때문에 「[ruby(철야의 노래, ruby=よふかしのうた)]」를 보다 리얼하게 느껴 주셨으면 좋겠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c472ca Q2. 방송을 기다리고 기다리는 팬을 향해 메시지를 부탁드립니다.}}} 움직이고 말하는 나즈나와 코우들이 보다 선명하게 강렬하게 애니메이션으로서 완성되었다고 생각합니다. 10대 무렵에 느낀 밤의 특별함을 떠올리면서 원작 팬분들도 애니메이션에서 이 작품을 봐 주시는 분들도 잠시나마 현실에서 벗어나 밤의 세계를 함께 즐기실 수 있으면 기쁘겠습니다.}}}}}}[br] || ||<^|4>'''{{{#!html CAST}}}'''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2px; border-radius: 0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0px; border-color: #2d1765; background: #2d1765; font-size: 1em" '''[[야모리 코우|{{{#c472ca,#c472ca 야모리 코우}}}]]'''}}}[br]{{{+1 '''[[사토 겐|{{{#000,#fff 사토 겐}}}]]'''}}}[br][br]{{{#!folding [ ・ ・ ・ ] {{{#!wiki style="text-align:left" [br]야모리 코우 {{{+2 {{{#c472ca 사토 겐}}}}}} {{{-1 Sato Gen}}} {{{#c472ca Q1. 본작의 인상을 가르쳐 주세요.}}} 밤은 모두에게 평등하게 오기 때문에 성별, 나이 불문하고, 누구나 낮에는 낼 수 없었던 생각을 나눌 수 있다. 있는 그대로 받을 수 있다. 자신 안에서 희미하게 있던 「밤은 무서운 것」이라는 이미지가 「밤은 즐거운 것」으로 변화했습니다. 분명히 이 작품을 보신 분은 밤이 즐거워지고, 한밤중에 산책하고 싶어지지 않을까요. {{{#c472ca Q2. 연기하는 캐릭터의 인상과 역에 대한 자세를 가르쳐 주세요.}}} 저는, [[야모리 코우|그]]가 실은 작중에서 제일 독자로부터 먼 존재인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레귤러한 사건에 대해 강렬하게 혼란스러운 일까진 없고, 오히려 알고 싶다는 호기심을 바탕으로 행동 「할 수 있게 돼버린다」. 그렇기 때문에 그에게 휘둘리지 않도록 같은 정도의 호기심을 가지고 흡혈귀가 될 수 있도록 저도 함께 밤을 만끽하고 싶습니다.}}}}}}[br]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2px; border-radius: 0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0px; border-color: #2d1765; background: #2d1765; font-size: 1em" '''[[나나쿠사 나즈나|{{{#c472ca,#c472ca 나나쿠사 나즈나}}}]]'''}}}[br]{{{+1 '''[[아마미야 소라|{{{#000,#fff 아마미야 소라}}}]]'''}}}[br][br]{{{#!folding [ ・ ・ ・ ] {{{#!wiki style="text-align:left" [br]나나쿠사 나즈나 {{{+2 {{{#c472ca 아마미야 소라}}}}}} {{{-1 Amamiya Sora}}} {{{#c472ca Q1. 본작의 인상을 가르쳐 주세요.}}} 주인공의 코우와 같은, 굉장히 괴로운 것은 아니지만 어쩐지 부자유하고 어쩐지 잘 안풀리는 [ruby(알쏭달쏭, ruby=モヤモヤ)]한 감정은 누구나 가져봤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이 작품은, 그렇게 왠지 무거워진 마음을, 딱 좋은 거리감으로 가볍게 해 주는 것 같은 작품이라고 하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나즈나의 엉뚱한 언동과 거기에 놀라 휘둘리면서도 나아가는 코우, 두 사람의 정말 훈훈한 케미와, 스토리 전개의 두근두근한 밸런스가 너무 기분 좋다고 생각했습니다! {{{#c472ca Q2. 연기하는 캐릭터의 인상과 역에 대한 자세를 가르쳐 주세요.}}} 우선 캐릭터 자료의 그림을 보았을 때 독기가 강한 것 같은 악역 같은 카리스마가 있는 캐릭터라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거기에서 원작을 읽다 보면 예상외로 귀여운 부분도 많이 있어, 페이지가 넘어갈 수록 나즈나라는 캐릭터에 매료되어 갔습니다. 독특하고 자유로운 카리스마감도 순수한 귀여움과 서투른 상냥함도 나즈나의 큰 매력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어느쪽이든 소중히 연기해 나가고 싶습니다!}}}}}}[br]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2px; border-radius: 0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0px; border-color: #2d1765; background: #2d1765; font-size: 1em" '''[[아사이 아키라|{{{#c472ca,#c472ca 아사이 아키라}}}]]'''}}}[br]{{{+1 '''[[하나모리 유미리|{{{#000,#fff 하나모리 유미리}}}]]'''}}}[br][br]{{{#!folding [ ・ ・ ・ ] {{{#!wiki style="text-align:left" [br]아사이 아키라 {{{+2 {{{#c472ca 하나모리 유미리}}}}}} {{{-1 Hanamori Yumiri}}} {{{#c472ca Q1. 본작의 인상을 가르쳐 주세요.}}} 자연스럽게 배덕감과 미지에 대한 호기심이 간지러지는 「[ruby(철야의 노래, ruby=よふかしのうた)]」라는 제목이 바로 작품의 분위기를 나타내는 것 같아서 멋지네요. 그리고 저 자신도, Creepy Nuts씨의 노래 「よふかしのうた」를 듣고 있었으므로 이 작품을 만났을 때의 충격을 잊을 수 없습니다. 작품 만들기에 참여할 수 있어 정말 영광입니다! {{{#c472ca Q2. 연기하는 캐릭터의 인상과 역에 대한 자세를 가르쳐 주세요.}}} 아키라는 코우에게 있어서, 분명 자신이 가질 수 없게 되어 버린 당연한 상징과 같은 소녀라고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그런 그녀 또한 어딘가 중요한 것이 결여돼, 그 오목이 있기 때문에 「[ruby(밤샘, ruby=よふかし)]」을 받아들여준다. 그런 아키라와 코우의 관계를 따끔하게 느낄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br] ||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2px; border-radius: 0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0px; border-color: #2d1765; background: #2d1765; font-size: 1em" '''[[키쿄 세리|{{{#c472ca,#c472ca 키쿄 세리}}}]]'''}}}[br]{{{+1 '''[[토마츠 하루카|{{{#000,#fff 토마츠 하루카}}}]]'''}}}[br][br]{{{#!folding [ ・ ・ ・ ] {{{#!wiki style="text-align:left" [br]키쿄 세리 {{{+2 {{{#c472ca 토마츠 하루카}}}}}} {{{-1 Tomatsu Haruka}}} {{{#c472ca Q1. 본작의 인상을 가르쳐 주세요.}}} 원래 흡혈귀를 컨셉으로 한 작품을 정말 좋아해서 처음부터 끌어들이도록 대본을 읽었습니다. 흡혈귀의 매력적인 히로인들이 많이 나오는 가운데, 코우군이 나즈나외에는 전혀 흥미가 없거나, 나즈나와 주고 받으며 만담 같은 날카로운 [[츳코미]]가 있는 대화를 매우 좋아합니다. {{{#c472ca Q2. 연기하는 캐릭터의 인상과 역에 대한 자세를 가르쳐 주세요.}}} 세리는 사실 여고생이 아니지만 여고생의 모습을 하고 있어 외모와 말투 모두 [[갸루]]! 라는 느낌의 여자 아이라고 생각합니다. 아프레코(애프터 레코딩)의 현장에서도 어쨌든 갸루로! 라고 하는 리퀘스트를 많이 받았기 때문에 (웃음), 그 부분을 의식하면서, 하지만 가벼운 캐릭터는 되지 않도록 하고 싶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br]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2px; border-radius: 0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0px; border-color: #2d1765; background: #2d1765; font-size: 1em" '''[[히라타 니코|{{{#c472ca,#c472ca 히라타 니코}}}]]'''}}}[br]{{{+1 '''[[키타무라 에리|{{{#000,#fff 키타무라 에리}}}]]'''}}}[br][br]{{{#!folding [ ・ ・ ・ ] {{{#!wiki style="text-align:left" [br]히라타 니코 {{{+2 {{{#c472ca 키타무라 에리}}}}}} {{{-1 Kitamura Eri}}} {{{#c472ca Q1. 본작의 인상을 가르쳐 주세요.}}} 니코 역을 맡았습니다, 키타무라 에리입니다. 이 작품을 접한 것은 오디션의 이야기가 있어서 읽었습니다. "오늘이라는 날에 만족하지 못하는 밤샘씨에게 보내는 사랑과 청춘의 이야기"로, 독특한 대화의 템포와, 작고 세련된 코믹 묘사가 마음을 간지럽힙니다! 뭐니뭐니해도, 나즈나와 코우의 절묘한 거리감이, 읽어내려가면 [ruby(알쏭달쏭, ruby=モヤモヤ)]하거나 큥 죽거나, 감정이 바빠집니다 (웃음). 그리고 선생님이 그리는 여자 아이들이 모두 미스터리한 [ruby(토로가오, ruby=トロ顔)]로 너무너무 매력적인 귀여움입니다 ♪ {{{#c472ca Q2. 연기하는 캐릭터의 인상과 역에 대한 자세를 가르쳐 주세요.}}} 독자 여러분은 알고 계시리라 생각합니다만… 【니코】는 의지할만한 언니! 라는 느낌의 성인 여성입니다. 꾸밈 없는 그녀에게는 저 자신의 퍼스널한 부분과 통하는 것도 있어, 굉장히 매치하고 있다고 생각해, 연기하는데도 망설이지 않고 연기에 집중할 수 있었습니다! 요전에 아프레코를 하고 왔습니다만, 무척이나 연기하고 있어 즐거웠고, 향후 그녀가 영상에서 어떤 표정으로 매료시켜 나갈지, 두근두근합니다!! 오퍼를 받은 것에 부끄러워하지 않게, 녹음에 임하고 싶습니다!}}}}}}[br]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2px; border-radius: 0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0px; border-color: #2d1765; background: #2d1765; font-size: 1em" '''[[혼다 카부라|{{{#c472ca,#c472ca 혼다 카부라}}}]]'''}}}[br]{{{+1 '''[[이토 시즈카|{{{#000,#fff 이토 시즈카}}}]]'''}}}[br][br]{{{#!folding [ ・ ・ ・ ] {{{#!wiki style="text-align:left" [br]혼다 카부라 {{{+2 {{{#c472ca 이토 시즈카}}}}}} {{{-1 Ito Shizuka}}} {{{#c472ca Q1. 본작의 인상을 가르쳐 주세요.}}} [[흡혈귀(철야의 노래)|흡혈귀]]가 되는 시스템?이라고 하는 것일까, 그게 재미있다고. 설마 흡혈귀가 되는 쪽의 사람에게 선택지가 있었을 줄은… 코우군과 나즈나 짱이 어떻게 되어갈지 두근두근하면서, 일단 독자로서 즐겁게 보내고 있습니다. {{{#c472ca Q2. 연기하는 캐릭터의 인상과 역에 대한 자세를 가르쳐 주세요.}}} [ruby(동료 흡혈귀들, ruby=인기 파워 맥스)] 중에서는, 무척이나 미스터리한 언니라고 느꼈습니다. 제각기 돋보이는 캐릭터들 중에서, 침착하면서도 특히 무엇인가 함축된 듯한…, 그런 분위기로 연기해나가면 좋겠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br] ||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2px; border-radius: 0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0px; border-color: #2d1765; background: #2d1765; font-size: 1em" '''[[코하코베 미도리|{{{#c472ca,#c472ca 코하코베 미도리}}}]]'''}}}[br]{{{+1 '''[[오오조라 나오미|{{{#000,#fff 오오조라 나오미}}}]]'''}}}[br][br]{{{#!folding [ ・ ・ ・ ] {{{#!wiki style="text-align:left" [br]코하코베 미도리 {{{+2 {{{#c472ca 오오조라 나오미}}}}}} {{{-1 Ozora Naomi}}} {{{#c472ca Q1. 본작의 인상을 가르쳐 주세요.}}} 평소 당연하게 지나가는 일상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있는 자신을 깨닫게 하는 것 같았습니다. 자신의 마음에 일어나는 변화나 의문, 그 하나하나와 똑바로 마주하는 코우군. 그의 모습을 지켜보면서 사랑이 뭘까? 라고 하는 것을 비롯해, 자유는? 우정은? 올바르다고? 여러가지 생각하는 계기가 되는 것 같아서… 「밤」이라고 하는 이미지와는 조금 먼 것 같은, 어딘가 상쾌한 기분마저 들고, 편안함을 느꼈습니다. {{{#c472ca Q2. 연기하는 캐릭터의 인상과 역에 대한 자세를 가르쳐 주세요.}}} 미소녀? 인기 파워 맥스인 흡혈귀들 중에서도, 경험이 얕은 남성을 타겟으로 하는 미도리. 「인기 있기」 위한 화술을 구사하고 있을 때의 귀여운 부분과, 소소한 부분이 엿보이는 점이 매력적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녹음에서 그녀의 그런 면도 볼 수 있을까요? 저도 기대됩니다!}}}}}}[br]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2px; border-radius: 0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0px; border-color: #2d1765; background: #2d1765; font-size: 1em" '''[[스즈시로 하츠카|{{{#c472ca,#c472ca 스즈시로 하츠카}}}]]'''}}}[br]{{{+1 '''[[와키 아즈미|{{{#000,#fff 와키 아즈미}}}]]'''}}}[br][br]{{{#!folding [ ・ ・ ・ ] {{{#!wiki style="text-align:left" [br]스즈시로 하츠카 {{{+2 {{{#c472ca 와키 아즈미}}}}}} {{{-1 Waki Azumi}}} {{{#c472ca Q1. 본작의 인상을 가르쳐 주세요.}}} 연애 만화는 자주 읽습니다만, 흡혈귀가 되고 싶어 흡혈귀에게 사랑을 한다, 라는 설정이 너무 재밌어서, 금방 이 세계에 끌려 버렸습니다. 무엇보다 등장하는 흡혈귀들이 모두 개성 넘치고 매력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전혀 잠들지 못하는 날이 자주 있기 때문에 코우군과 같은 밤을 즐길 수 있는 멋진 만남이 부럽습니다 (웃음). {{{#c472ca Q2. 연기하는 캐릭터의 인상과 역에 대한 자세를 가르쳐 주세요.}}} 하츠카는 매우 냉정하고 주위를 잘 보고 분석하는 곳이 있습니다. 날씬한 스타일과 깨끗한 얼굴을 하고 있기 때문에, 남녀 불문하고 엄청 인기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웃음). 그다지 아양을 떨지 않는 아이이므로, 기본적으로는 담담하게 그렇게까지 텐션의 변함없이 말하고 있습니다만, 자연스럽게 하츠카에게 매료되어 버리는 그런 연기를 유의했습니다.}}}}}}[br]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2px; border-radius: 0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0px; border-color: #2d1765; background: #2d1765; font-size: 1em" '''[[철야의 노래/등장인물#세키 마히루|{{{#c472ca,#c472ca 세키 마히루}}}]]'''}}}[br]{{{+1 '''[[오노 켄쇼|{{{#000,#fff 오노 켄쇼}}}]]'''}}}[br][br]{{{#!folding [ ・ ・ ・ ] {{{#!wiki style="text-align:left" [br]세키 마히루 {{{+2 {{{#c472ca 오노 켄쇼}}}}}} {{{-1 Ono Kensho}}} {{{#c472ca Q1. 본작의 인상을 가르쳐 주세요.}}} 밤샘은 약간의 배덕감을 느낀다고 할까, 잠든 거리를 모험하는 것은 두근두근하네요. 게다가 흡혈귀가 있어서 밤거리를 자유롭게 노는데 어딘가 상쾌하고 새콤달콤한... 읽다가 신기한 감각이 되었습니다. 코우와 나즈나의 미묘한 거리감과 캐릭터들의 코믹한 대화. 애니메이션으로 어떻게 표현될지 무척 기대됩니다. {{{#c472ca Q2. 연기하는 캐릭터의 인상과 역에 대한 자세를 가르쳐 주세요.}}} 마히루는, 성적 우수하고 스포츠 만능, 인기도 있고 게다가 친정이 꽃집이라고 하는, 연기하는 측에서 보면, 상당한 부담입니다 (웃음). 원작에서 등장했을때도, 이런 인기 많았구나~ 왠지 그리워졌습니다! 코우군이 동경하는 그런, 그래도 솔직하게 접할 수 있도록 연기해 나갔으면 좋겠습니다.}}}}}}[br] ||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2px; border-radius: 0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0px; border-color: #2d1765; background: #2d1765; font-size: 1em" '''[[아키야마 아키히토|{{{#c472ca,#c472ca 아키야마 아키히토}}}]]'''}}}[br]{{{+1 '''[[요시노 히로유키|{{{#000,#fff 요시노 히로유키}}}]]'''}}}[br][br]{{{#!folding [ ・ ・ ・ ] {{{#!wiki style="text-align:left" [br]아키야마 아키히토 {{{+2 {{{#c472ca 요시노 히로유키}}}}}} {{{-1 Yoshino Hiroyuki}}} {{{#c472ca Q1. 본작의 인상을 가르쳐 주세요.}}} 공식 이미지에서 판단하고 있습니다만, 애니메이션판에서 감도는 밤의 향기와 음색을 기대하고 있는 자신이 있습니다. {{{#c472ca Q2. 연기하는 캐릭터의 인상과 역에 대한 자세를 가르쳐 주세요.}}} 원작보다, 상당히 그의 말이 적어졌기 때문에, 보시는 여러분이 위화감을 느끼지 않도록 캐릭터의 마음을 대변 할 수 있으면 좋겠구나, 라고.}}}}}}[br]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2px; border-radius: 0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0px; border-color: #2d1765; background: #2d1765; font-size: 1em" '''[[철야의 노래/등장인물#시라카와 키요스미|{{{#c472ca,#c472ca 시라카와 키요스미}}}]]'''}}}[br]{{{+1 '''[[히카사 요코|{{{#000,#fff 히카사 요코}}}]]'''}}}[br][br]{{{#!folding [ ・ ・ ・ ] {{{#!wiki style="text-align:left" [br]시라카와 키요스미 {{{+2 {{{#c472ca 히카사 요코}}}}}} {{{-1 Hikasa Yoko}}} {{{#c472ca Q1. 본작의 인상을 가르쳐 주세요.}}} 살아 생활하는 것만으로 어딘가 답답하거나 괴롭거나.... 현대에서 누구나 느끼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모두 그만둬버리고 여행을 떠나자!! 라든지 극단적인 것이 아니라, 조금만 더 가까이 다가가, 그만둘 수 없는 것도 알기 때문에, 조금만 편해질 방법을 찾아보자, 라고 말해주는 것 같은 매우 상냥한 작품이라고 생각했습니다. {{{#c472ca Q2. 연기하는 캐릭터의 인상과 역에 대한 자세를 가르쳐 주세요.}}} 간사스런 웃음, 참음, 고독, 한숨, 자고 일어나 또 다시 같은 시간을 반복하는 평범함. 그런 매일을 보내는 그녀가, 변하지 않을지도 모르지만, 바뀔지도 모른다. 그런 작은 희망을 보고 있는 여러분이 공감해 주셨으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br]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2px; border-radius: 0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0px; border-color: #2d1765; background: #2d1765; font-size: 1em" '''[[우구이스 안코|{{{#c472ca,#c472ca 우구이스 안코}}}]]'''}}}[br]{{{+1 '''[[사와시로 미유키|{{{#000,#fff 사와시로 미유키}}}]]'''}}}[br][br]{{{#!folding [ ・ ・ ・ ] {{{#!wiki style="text-align:left" [br]우구이스 안코 {{{+2 {{{#c472ca 사와시로 미유키}}}}}} {{{-1 Sawashiro Miyuki}}} {{{#c472ca Q1. 연기하는 캐릭터의 인상과 역에 대한 자세를 가르쳐 주세요.}}} 우구이스 안코...? 분명 본명은 아니지? 라고 자세를 취하듯 대본을 손에 들고 읽어 내려가면, 그런데... 어디에 본심이 있는지 (쓴웃음) 정면으로 인사를 하러 가도 야모리군과 같은 일을 당하지 않을까 생각했기 때문에, 숨을 죽이고... 탐정을 탐정하는 듯한 느낌으로, 그녀의 호흡을 훔쳐간 것 같은 느낌입니다.}}}}}}[br] || ==== [[철야의 노래/애니메이션/인터뷰|인터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철야의 노래/애니메이션/인터뷰)] === 이미지 보드 === || {{{+1 '''{{{#!html TV 애니메이션 『철야의 노래』 이미지 보드}}}'''}}} || || '''{{{#!html 밤의 거리}}}''' ||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1.6px" [[파일:철야의노래미술보드1.jpg|width=100%]]}}} || || 제1회차는, [[https://youtu.be/a4bSbmqwhso|{{{#000,#fff 티저 PV}}}]]에서도 사용되고 있는 밤의 거리를 소개♪[br]보라색과 파란색 등으로 밝혀진 네온이 "밤샘"을 유혹하는 디자인... ||}}}}}} || || '''{{{#!html 코우가 사는 코모리 단지}}}''' ||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1.6px" [[파일:철야의노래미술보드2.jpg|width=100%]]}}} || || 코우가 사는 코모리 단지를 소개♪[br]단지의 모든 건물이 보라색 네온에 비춰진 듯 빛나 길을 헤매는게 아닌 "밤에 헤맨다"는 표현이 어울린다...❓ ||}}}}}} || || '''{{{#!html 밤의 거리에 덩그러니 설치된 자판기}}}''' ||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1.6px" [[파일:철야의노래미술보드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1.6px" [[파일:철야의노래미술보드3-2.jpg|width=100%]]}}} || ||<-2> 밤의 거리에 덩그러니 설치된 자판기[br]밤길에 깜짝 놀랄 정도로 빛나고 있는 자판기가… 있죠❓[br]색상에 따라 인상이 달라집니다 👀 ||}}}}}} || || '''{{{#!html 코모리 단지의 코우네 집 앞}}}''' ||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1.6px" [[파일:철야의노래미술보드4.jpg|width=100%]]}}} || || 코모리 단지의 코우네 집 앞[br]아무도 걷고 있지 않아... 무섭다는 마음과 왠지 두근두근 설레는 기분❗[br]공감할 수 있는 사람은…잔뜩 있어⁉ ||}}}}}} || || '''{{{#!html 코모리 단지 급수탑}}}''' ||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1.6px" [[파일:철야의노래미술보드5.jpg|width=100%]]}}} || || 코모리 단지 급수탑[br]밝을 때는, 분명 무섭지 않을...터인 급수탑. 하지만 밤에는... ||}}}}}} || || '''{{{#!html 코우가 다니는 중학교}}}''' ||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1.6px" [[파일:철야의노래미술보드6.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1.6px" [[파일:철야의노래미술보드6-2.jpg|width=100%]]}}} || ||<-2> 코우가 다니는 중학교[br]낮에는 흔히 볼 수 있는 중학교 외관. 밤에는…강렬한 분위기를 뿜어내는 모습으로 순식간에 변신. ||}}}}}} || || '''{{{#!html 코우가 다니는 중학교의 교실}}}''' ||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1.6px" [[파일:철야의노래미술보드7.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1.6px" [[파일:철야의노래미술보드7-2.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1.6px" [[파일:철야의노래미술보드7-3.jpg|width=100%]]}}} || || 코우가 다니는 중학교 교실[br]낮과 저녁과 밤. 익숙한 교실도 시간대에 따라 완전히 다른 세계로. ||}}}}}} || || '''{{{#!html 어린이 공원}}}''' ||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1.6px" [[파일:철야의노래미술보드8.jpg|width=100%]]}}} || || 어린이 공원[br]밤의 어린이 공원. 낮과는 다른 모습에 조금, 까불고 싶은 마음이 싹트기도 하고...❓ ||}}}}}} || || '''{{{#!html 코우가 다니는 중학교의 정문}}}''' ||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1.6px" [[파일:철야의노래미술보드9.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1.6px" [[파일:철야의노래미술보드9-2.jpg|width=100%]]}}} || ||<-2> 코우가 다니는 중학교의 정문[br]교문을 벗어나면, 그 곳은 밤의 세계였다…⁉ ||}}}}}} || || '''{{{#!html 코우가 다니는 중학교의 복도}}}''' ||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1.6px" [[파일:철야의노래미술보드10.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1.6px" [[파일:철야의노래미술보드10-2.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6px -11.6px" [[파일:철야의노래미술보드10-3.jpg|width=100%]]}}} || ||<-2> 코우가 다니는 중학교의 복도[br]복도에도 다양한 표정이…. ||}}}}}} || == [[철야의 노래/애니메이션/줄거리#TVA 1기|줄거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철야의 노래/애니메이션/줄거리, 앵커=TVA 1기)] || {{{+2 '''{{{#!html 「처음으로, 밤에 아무 말도 없이 외출했다.」}}}'''}}} 여성을 거북해 하는 중학교 2학년의 야모리 코우는 지금, 어쩌다 보니 등교 거부 중이다. 게다가, 밤에 잠들지 못하는 날이 이어지고 있다. 그러던 어느 날, 코우는 처음으로, 밤에 아무 말도 없이 외출을 하게 된다. 밤바람이 기분 좋고, 한없이 자유로우며, 낮과는 다른 세계. 코우는 밤이라는 세계에서 자신의 자리를 발견한다. 그곳에 갑자기 나타난, 수수께끼의 미소녀 나나쿠사 나즈나. 그녀는, 밤의 주민 흡혈귀였다. 코우에게, 밤의 즐거움을 알려주는 나즈나. {{{+1 '''{{{#!html 「오늘 하루에 만족할 수 있을 때까지 밤을 새워 봐. 소년.」}}}'''}}} 밤과, 나즈나에 매료된 코우는, 나즈나에게 부탁을 한다. 「저를 흡혈귀로 만들어 주세요.」 나즈나는 부끄러워하면서 흡혈귀가 되는 조건을 알려준다. 그것은······ 「사람이, 흡혈귀와 사랑에 빠지는 것!」 과연 사랑이 뭔지 모르는 코우는, 나즈나와 사랑에 빠져, 흡혈귀가 될 수 있을 것인가!? 둘만의, 특별한 「철야」 가 시작된다—. || == [[철야의 노래/등장인물|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철야의 노래/등장인물)] ||<-2>
'''[[철야의 노래/등장인물|{{{#!html 등장인물}}}]] {{{#!html 및 주요 성우진}}}''' || || [[야모리 코우|[[파일:ko_sns.png|width=100]]]][br]'''[[야모리 코우]]'''[br]{{{-1 성우: [[사토 겐]]}}} || [[나나쿠사 나즈나|[[파일:nazuna_sns.png|width=100]]]][br]'''[[나나쿠사 나즈나]]'''[br]{{{-1 성우: [[아마미야 소라]]}}} || || [[아사이 아키라|[[파일:akira_sns.png|width=100]]]][br]'''[[아사이 아키라]]'''[br]{{{-1 성우: [[하나모리 유미리]]}}} || [[키쿄 세리|[[파일:seri_sns.png|width=100]]]][br]'''[[키쿄 세리]]'''[br]{{{-1 성우: [[토마츠 하루카]]}}} || || [[히라타 니코|[[파일:niko_sns.png|width=100]]]][br]'''[[히라타 니코]]'''[br]{{{-1 성우: [[키타무라 에리]]}}} || [[혼다 카부라|[[파일:kabura_sns.png|width=100]]]][br]'''[[혼다 카부라]]'''[br]{{{-1 성우: [[이토 시즈카]]}}} || || [[코하코베 미도리|[[파일:midori_sns.png|width=100]]]][br]'''[[코하코베 미도리]]'''[br]{{{-1 성우: [[오오조라 나오미]]}}} || [[스즈시로 하츠카|[[파일:hatsuka_sns.png|width=100]]]][br]'''[[스즈시로 하츠카]]'''[br]{{{-1 성우: [[와키 아즈미]]}}} || || [[철야의 노래/등장인물#세키 마히루|[[파일:mahiru_sns.png|width=100]]]][br]'''[[철야의 노래/등장인물#세키 마히루|세키 마히루]]'''[br]{{{-1 성우: [[오노 켄쇼]]}}} || [[철야의 노래/등장인물#시라카와 키요스미|[[파일:kiyosumi_sns.png|width=100]]]][br]'''[[철야의 노래/등장인물#시라카와 키요스미|시라카와 키요스미]]'''[br]{{{-1 성우: [[히카사 요코]]}}} || || [[아키야마 아키히토|[[파일:akihito_face_2.png|width=100]]]][br]'''[[아키야마 아키히토]]'''[br]{{{-1 성우: [[요시노 히로유키]]}}} || [[우구이스 안코|[[파일:anko_face_1.png|height=100]]]][br]'''[[우구이스 안코]]'''[br]{{{-1 성우: [[사와시로 미유키]]}}} || == [[철야의 노래#설정|설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철야의 노래, 앵커=설정)] == [[철야의 노래/애니메이션/음악#TVA 1기|음악]]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철야의 노래/애니메이션/음악, 앵커=TVA 1기)] ||<-2>
'''[[/음악#OP|{{{+1 {{{#c472ca,#c472ca OP}}}}}}[br]{{{#!wiki style="text-shadow: 0 0 5px #a532a1; color:#fff" 堕天[br]타천}}}]]''' ||<-2> '''[[/음악#ED|{{{+1 {{{#c472ca,#c472ca ED}}}}}}[br]{{{#!wiki style="text-shadow: 0 0 5px #a532a1; color:#fff" よふかしのうた[br]철야의 노래}}}]]''' ||<-2> '''[[/음악#삽입곡|{{{+1 {{{#c472ca,#c472ca 삽입곡}}}}}}[br]{{{#!wiki style="text-shadow: 0 0 5px #a532a1; color:#fff" ロスタイム[br]로스타임}}}]]''' || ||<-6> {{{#!wiki style="margin: -6px -10px" [[/음악|[[파일:AICL-4276.jpg|width=100%]]]]}}} || ||<-1> '''{{{#!html 노래}}}''' ||<-5> [[Creepy Nuts|{{{#!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ffffff; border-radius: 4px; padding: 3px" [[파일:cnutslogo.svg|width=140]]}}}]] || == 회차 목록 == * 전화 각본: [[요코테 미치코]] ||
'''{{{#!html 회차}}}'''[* 원작과 애니메이션 모두 일반적으로 쓰이는 [[話]](말씀 '''화''') 대신 [[夜]](밤 '''야''')를 사용한다. WeeTV에서는 이를 몇 번째 밤이라는 형식으로 번역했다.] || '''{{{#!html 제목}}}'''[*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WeeTV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 '''{{{#!html 콘티}}}''' || '''{{{#!html 연출}}}''' || '''{{{#!html 작화감독}}}''' || '''{{{#!html 총작화감독}}}''' || '''{{{#!html 방영일}}}''' || || {{{-2 첫 번째 밤}}} || {{{-2 ナイトフライト[br]나이트 플라이트}}} || {{{-2 미야니시 테츠야[br](宮西哲也)}}} || {{{-2 타카토 사토시[br](高藤 聡)}}} || {{{-2 [[사가와 하루카]]}}} || - || {{{-2 日: 2022.07.08.[br]韓: 2023.04.01.}}} || || {{{-2 두 번째 밤}}} || {{{-2 てかラインやってる?[br]근데 너 [[라인(메신저)|메신저]] 해?}}} ||<-2> {{{-2 세키노 세키쥬[* 세키노 케이이치(関野圭一)의 필명.][br](関野関十)}}} || {{{-2 츠유키 아이리[br](露木愛里)[br]키타지마 유키[br](北島勇樹)[br]김대정[br]손길영}}} ||<|12> {{{-2 사가와 하루카}}} || {{{-2 日: 2022.07.15.[br]韓: 2023.04.01.}}} || || {{{-2 세 번째 밤}}} || {{{-2 いっぱい出たね[br]잔뜩 나왔네}}} || {{{-2 야스이 타카시[br](安井貴司)}}} || {{{-2 오노 쇼고[br](小野勝吾)[br]야스이 타카시}}} || {{{-2 와카야마 마사시[br](若山政志)[br]키쿠치 카스미[br](菊地加純)[br]히라우마 코지[br](平馬浩司)[br]사가와 하루카[br]이토지마 마사히코[br](糸島雅彦)[br]카미가키 야요이[br](神垣弥生)[br]Mabus}}} || {{{-2 日: 2022.07.22.[br]韓: 2023.04.01.}}} || || {{{-2 네 번째 밤}}} || {{{-2 せまくない?[br]좁지 않아?}}} || {{{-2 이토 유이치[br](伊東優一)[br]미야니시 테츠야}}} || {{{-2 무토 노부히로[br](武藤信宏)}}} || {{{-2 이즈미 모모카[br](和泉百香)[br]카와에 히자시[br](河江陽向)[br]니시미치 타쿠야[br](西道拓哉)[br]무토 노부히로[br]야마모토 쿄헤이[br](山本恭平)}}} || {{{-2 日: 2022.07.29.[br]韓: 2023.04.02.}}} || || {{{-2 다섯 번째 밤}}} || {{{-2 そりゃ困ったやつですね[br]그거 난감한 녀석이네요}}} ||<-2> {{{-2 오오니시 케이스케[br](大西景介)}}} || {{{-2 키타지마 유키[br]사토 유코[br](佐藤友子)[br]하나자와 유리[br](花澤友梨)[br]사이토 코즈에[br](斎藤 梢)[br]시로쿠마[br](しろくま)[br]코가 이소로쿠[br](古賀五十六)[br]타카하시 아츠코[br](高橋敦子)[br]김대정}}} || {{{-2 日: 2022.08.05.[br]韓: 2023.04.02.}}} || || {{{-2 여섯 번째 밤}}} || {{{-2 楽しい方がいいよ[br]즐거운 편이 좋잖아요}}} ||<-2> {{{-2 타카토 사토시}}} || {{{-2 사이토 다이스케[br](斎藤大輔)[br]키쿠치 카스미[br]와카야마 마사시[br]키노시타 히로타카[br](木下裕孝)[br]시노하라 유타[br](篠原佑太)[br]후쿠시마 토요아키[br](福島豊明)[br]사토 유코[br]코가 이소로쿠[br]하나자와 유리[br]오오하라 히로시[br](大原 大)[br]미야타 나오미[br](宮田奈保美)[br]스즈키 료코[br](鈴木良子)}}} || {{{-2 日: 2022.08.12.[br]韓: 2023.04.02.}}} || || {{{-2 일곱 번째 밤}}} || {{{-2 [ruby(眷族, ruby=こ)][ruby(作, ruby=づく)]り[br]권속 만들기}}} ||<-2> {{{-2 세키노 세키쥬}}} || {{{-2 츠유키 아이리[br]키타지마 유키[br]마츠무라 야스노리[br](松村康功)[br]히라우마 코지[br]사이토 코즈에[br]칸바라 토우마[br](柑原豆真)[br]모리 에츠히토[br](森 悦史)[br]유키 시즈쿠[br](ユキシズク)[br]하나자와 유리[br]야마미치 이타이[br](山道到威)}}} || {{{-2 日: 2022.08.19.[br]韓: 2023.04.08.}}} || || {{{-2 여덟 번째 밤}}} || {{{-2 どいつもこいつも[br]이놈이고 저놈이고}}} || {{{-2 사카타 준이치[br](坂田純一)[br]미야니시 테츠야}}} || {{{-2 시라이시 미치타[br](白石道太)}}} || {{{-2 사카모토 치요코[br](坂本千代子)[br]하시모토 호다카[br](橋本穂高)[br]사이토 다이스케[br]무라야마 아야네[br](村山綾音)[br]호시 카즈노부[br](星 和伸)[br]이치하시 유이치[br](市橋雄一)[br]오기와라 미치루[br](荻原みちる)[br][[STUDIO MASSKET]]}}} || {{{-2 日: 2022.08.26.[br]韓: 2023.04.08.}}} || || {{{-2 아홉 번째 밤}}} || {{{-2 ずるい[br]약았다}}} || {{{-2 [[이타무라 토모유키]][br]야스이 타카시}}} || {{{-2 오노 쇼고}}} || {{{-2 후쿠다 슈헤이[br](福田周平)[br]시노하라 유타[br]시로쿠마[br]노구치 토모야[br](野口智也)[br]키쿠치 카스미[br]요시다 하지메[br](𠮷田 肇)[br]나이토 이노스케[br](内藤伊之介)[br]우메다 카오리[br](梅田 香)[br]와카야마 마사시[br]사가와 하루카}}} || {{{-2 日: 2022.09.02.[br]韓: 2023.04.08.}}} || || {{{-2 열 번째 밤}}} || {{{-2 盗撮画像を拡大して見る[br]도촬 사진을 확대해서 보는}}} || {{{-2 미야니시 테츠야}}} || {{{-2 미야니시 테츠야[*총 총괄][br]세키노 세키쥬[br]코마다 유키[br](駒田由貴)[br]토모다 야스시[br](友田 康)[br]혼마 미나미[br](本間みなみ)[br]야스카와 오우리[br](安川央里)}}} || {{{-2 야마미치 이타이[br]니시미치 타쿠야[br]야마모토 쿄헤이[br]이즈미 모모카[br]우메다 카오리[br]카타다 타카노부[br](片田敬信)[br]사이토 코즈에[br]나이토 이노스케[br]오오하라 히로시[br]스즈키 료코[br]스즈키 아야코[br](鈴木彩子)[br]사가와 하루카}}} || {{{-2 日: 2022.09.09.[br]韓: 2023.04.09.}}} || || {{{-2 열한 번째 밤}}} || {{{-2 吸血鬼って知ってるかい?[br]흡혈귀라고 들어 봤어?}}} || {{{-2 타카토 사토시}}} || {{{-2 타카토 사토시[br]세키노 세키쥬[br]아가타 유타카[br](安形 裕)[br]도카와 세츠무[* 본작의 치프 디렉터인 미야니시 테츠야(宮西哲也)의 필명.][br](堂川セツム)}}} || {{{-2 히라우마 코지[br]키타지마 유키[br]사이토 코즈에[br]하나자와 유리[br]사이토 다이스케[br]나가하마 유사쿠[br](長濵佑作)[br]츠유키 아이리[br]닛타 타쿠미[br](新田拓実)[br]코가 이소로쿠[br]사가와 하루카[br]시노하라 유타[br]모리타 미노루[br](森田 実)}}} || {{{-2 日: 2022.09.16.[br]韓: 2023.04.09.}}} || || {{{-2 열두 번째 밤}}} || {{{-2 今日ウチ親いないんだ[br]오늘 집에 부모님이 안 계신다}}} ||<-2> {{{-2 오오니시 케이스케}}} || {{{-2 키쿠치 카스미[br]사토 유코[br]아베 히로키[br](阿部弘樹)[br]닛타 타쿠미[br]후쿠다 슈헤이[br]하시모토 호다카[br]오오하라 히로시[br]코가 이소로쿠[br]사가와 하루카[br]시노하라 유타[br]스즈키 아야코}}} || {{{-2 日: 2022.09.23.[br]韓: 2023.04.09.}}} || || {{{-2 열세 번째 밤}}} || {{{-2 よふかしのうた[br]철야의 노래}}} || {{{-2 이타무라 토모유키}}} || {{{-2 오노 쇼고}}} || {{{-2 나가하마 유사쿠[br]시로쿠마[br]노구치 토모야[br]츠유키 아이리[br]후쿠다 슈헤이[br]시노하라 유타[br]코가 이소로쿠[br]야마우치 료[br](山内 遼)}}} || {{{-2 日: 2022.09.30.[br]韓: 2023.04.09.}}} || == [[철야의 노래/애니메이션/아이캐치#TVA 1기|아이캐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철야의 노래/애니메이션/아이캐치, 앵커=TVA 1기)] == 해외 공개 == === 대한민국 === [include(틀:라프텔 ONLY 애니메이션)] 한국에서는 최초 방영 당시 [[애니맥스 코리아|애니맥스]], [[애니플러스]] 등에서 판권을 가져가지 않아 동시방영을 하지 않았으나 2023년 4월 1일부터 (주)씨앤씨미디어콘텐츠 판권으로 들어와 WeeTV에서 TV 방영 및 [[Laftel|라프텔]] ONLY로 스트리밍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VOD가 선행으로 송신되고 TV로 방영하는 형식이며, 3화씩 연속으로 방영한다. 아쉽게도 일본 애니메이션 특유의 비싼 판권료 때문인지, 라프텔에서 자체 판권을 취득한 중국 애니메이션들과 달리 더빙판은 나오지 않았다. == 평가 == [include(틀:평가/IMDb, code=tt15975122, user=7.4)] [include(틀:평가/Just Watch(드라마), code=ceolyayi-norae/%EC%8B%9C%EC%A6%8C-1, user=75)]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4747023, user=7.2)]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35656960, user=8.4)] [include(틀:평가/왓챠, code=tlnN7Nz, user=3.6)] [include(틀:평가/MyAnimeList, code=50346, user=7.97)] [include(틀:평가/라프텔, code=40938, user=4.7)] === 방영 전 === 감독이 [[샤프트(기업)|샤프트]] 출신이며 [[바니타스의 수기/애니메이션|바니타스의 수기]]로 호평을 받았던 [[이타무라 토모유키]]로 배정되어 화제를 모았으며, 공개된 PV도 원작의 몽환적인 분위기를 잘 살렸으며 원작의 화풍 또한 잘 살렸다는 호평이 많다. 움직임도 부드러우며 광원과 [[촬영#s-3]]도 높은 퀄리티를 보이고 있어 기대의 반응이 많다. 작화에 얼마나 높은 빈도로 참가할 것인가는 불명이지만 캐릭터 디자이너 [[사가와 하루카]]는 [[교토 애니메이션]] 출신이라 실력이 있으며 메인 애니메이터도 실력이 뛰어나서 작화는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방영 후 === 원작의 이야기를 충실히 살리되 전체적인 내용에 지장이 가지 않는 일부 장면 및 대사를 배제하는 적절한 각색을 선보였다. 에피소드마다 약간의 순서 변경은 있으나 원작의 모든 에피소드를 삭제 없이 애니화하고 있으며, 단행본 한 권당 애니메이션 3화 정도의 분량이다. 무엇보다도 극찬을 받고 있는 부분은 다름 아닌 시각적인 연출이다. 일반적으로 도시의 야경이라고 하면은 검은 하늘 아래 빨간색, 노란색과 같은 시인성이 높은 색깔들로 묘사되지만, 본작은 문서 상단의 [[철야의 노래/애니메이션#이미지 보드|이미지 보드 문단]]의 사진들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도시의 밤하늘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은하수]]를 원경으로 두었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0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0px; border-color: blue; background: blue; font-size: 1em" [[파란색|{{{#fff 파란색}}}]]}}},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0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0px; border-color: #7f00ff; background: #7f00ff; font-size: 1em" [[보라색|{{{#fff 보라색}}}]]}}}과 같은 굴절률이 높은 색깔들을 광범위하게 활용해 밤의 신비스러움을 부각했으며, 그에 대한 [[보색]] 관계에 놓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0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0px; border-color: yellow; background: yellow; font-size: 1em" [[노란색|{{{#000 노란색}}}]]}}},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0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0px; border-color: magenta; background: magenta; font-size: 1em" [[마젠타|{{{#000 마젠타}}}]]}}} 계열의 색깔을 사용해 다채롭고 입체적인 밤의 이미지를 구축했다. 또한 [[우구이스 안코]]가 등장할 때에는 안코가 입은 트렌치 코트의 색상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0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0px; border-color: #c3b091; background: #c3b091; font-size: 1em" [[카키색|{{{#000 카키색}}}]]}}},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0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0px; border-color: tan; background: tan; font-size: 1em" [[탠|{{{#000 황갈색}}}]]}}} 계열로 배경이 바뀌어 분위기가 순식간에 달라지도록 표현했다.[*11화 [[파일:철야의노래클라이맥스PV장면사진2.jpg|width=400]] [[파일:철야의노래클라이맥스PV장면사진1.jpg|width=400]]] 삽입곡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일본 애니메이션에서는 흔히 사용되지 않는 [[Lo-Fi|로우파이]], [[블루스]], [[테크노|미니멀 테크노]] 등과 같은 장르 음악을 사용해 차별성을 두었고, 인물의 대사와 장면에 알맞게 응용해 본작의 분위기를 한껏 돋웠다. 성우들의 연기도 호평을 받았다. [[야모리 코우]]를 맡은 성우 [[사토 겐]]은 남주인공의 방황하는 심리를 잘 묘사했다는 평을 받았는데, 특히 놀라거나 당황하는 장면에서는 그야말로 리얼하다는 반응이 주를 이루었다. [[나나쿠사 나즈나]]를 맡은 성우 [[아마미야 소라]]는 쿨하고 앙칼지지만 동시에 사랑 앞에서는 쑥스러워하는 여주인공의 양극적인 특성을 잘 살려 그야말로 원작 재현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아사이 아키라]]를 맡은 성우 [[하나모리 유미리]]는 특유의 낮고 차분한 톤의 목소리를 구사해 어두침침하면서도 따뜻한 마음씨를 지닌 캐릭터를 깔끔하게 표현했다는 평을 받았다. 각본가 [[츠지 마사키]]는 "청소년과 현대인의 고민을 섬세하게 다룬 정말 잘 만든 작품이다. 연출도 각본도 모두 뛰어나다.", "<철야의 노래>에 빠져들었다. 어느 캐릭터나 왕성한 개성을 자아내 즐겁다. [[/음악#OP|OP]]도 시원시원하고 세련되어 있어 끌린다. 스태프 캐스트의 밸런스가 잘 잡혀있다." 라고 호평했다. 평론가 [[오구로 유이치로]]는 "나는 원작 팬이라 솔직히 초반엔 원작과 뭔가 달라서 아니라고 생각했는데 계속 보니 위화감이 사라지고 점점 빠져들었다. 각본도 좋다고 생각한다." 라고 호평했다. [[https://twitter.com/animesama/status/1571069938852589571|#]] 그러나 코우와 나즈나의 이야기가 시작되는 1화와 2화의 템포가 느려 지루하다는 의견도 있다. '밤'과 '흡혈귀'라는 통상 긴박한 흐름으로 진행되는 것과는 대조되는 느린 전개에, 원작을 접하지 않은 시청자는 천천히 진행되는 초반부에 질려버린다는 평가도 있다. 막과자를 주제로 한 작가의 전작 [[다가시카시]]가 초반부에 다소 지루하다는 평가를 들었던 것과 상통하는 부분이다. 또한 전개 속도에 대한 우려도 있다. 원작을 차분하게 재현하다 보니 [[우구이스 안코]]의 등장과 함께 진행되는 서스펜스 스토리의 등장이 늦어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전개 속도가 유지된다면 [[혼다 카부라]]와 [[우구이스 안코]], [[호시미 키쿠]]가 중심이 되는 플롯은 2기 내지 3기에서야 등장하게 되어 초조한 반응이 존재한다. 그러나 다양한 장르가 혼합되어 있는 원작의 특성상 특정 스토리의 배제 없이 진행하는 것을 비판의 요소로만 볼 수는 없다. 연출 면에서는 원작보다 [[샤프트(기업)|캐릭터를 원경에서 잡는 롱 쇼트 구도]]를 자주 쓰는데 그래서 원작보다 캐릭터 작화가 단순하게 나오는 장면이 많다. 코우가 사쿠라를 차던 때에 대해 회상하던 아키라의 에피소드, 코우가 담임선생님을 우연히 밤에 만나는 에피소드를 제외하고는 마지막화까지 차분하게 원작을 따라가면서 충실하게 애니화했다. 후반부의 안코와 하츠카 파트를 제외하면 스킵되는 분량도 적었다. 그리고 제작진의 의도대로 마지막 장면은 나즈나의 ''' "사이좋게 지내자" '''가 되었다. == 미디어 믹스 == === Blu-ray & DV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d_info1.jpg|width=100%]]}}} || ||{{{#!wiki style="letter-spacing: 1px;" '''[[나나쿠사 나즈나|{{{#fff 내}}}]]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5px .5px; border-radius: 0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0px; border-color: #e73885; background: #e73885; font-size: 1em" {{{#000 가}}}}}}르쳐 줄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5px .5px; border-radius: 0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0px; border-color: #0098e3; background: #0098e3; font-size: 1em" {{{#000 밤놀이}}}}}}라는걸.'''}}} || ||<-6>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radial-gradient(circle at 50% 50%, #fff 13.7%, transparent 14.4%), radial-gradient(circle at 50% 50%, #fff 0.1%, transparent 25%), linear-gradient(135deg, #070a7d, #67427f 45%, transparent 75%), linear-gradient(170deg, #e9eb5e 70%, #24aa37 100%, transparent 100%)" '''{{{+1 {{{#!html 철야의 노래}}}}}}[br]{{{#!html Blu-ray & DVD}}}'''}}} || ||<-3> '''{{{#!html 상권}}}''' ||<-3> '''{{{#!html 하권}}}''' || ||<-6> [[파일:bd_vol1.jpg|width=50%]][[파일:bd_vol2.jpg|width=50%]] || ||<^|1><-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3px)" {{{#!folding 사양・특전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0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0px; border-color: #e5dceb; background: #e5dceb; font-size: 1em" {{{#000 철야의 노래 上}}}}}}}}} {{{+1 2022년 10월 26일 (수) 발매}}}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10px, -5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48%, #c472ca 48%, #c472ca 55%, transparent 55%); width: 15%" }}}[br]수록화수 : 6화 (제1야 ~ 제6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0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0px; border-color: #e5dceb; background: #e5dceb; font-size: 1em" {{{#000 Blu-ray【완전 생산 한정판】}}}}}} ¥17,600(소비세 포함)/ ANZX-1538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0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0px; border-color: #e5dceb; background: #e5dceb; font-size: 1em" {{{#000 DVD【완전 생산 한정판】}}}}}} ¥15,400(소비세 포함)/ ANZB-15381 {{{+1 '''{{{#c472ca 특전}}}'''}}}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10px, -5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48%, #c472ca 48%, #c472ca 55%, transparent 55%); width: 100%" }}}[br]{{{#c472ca ❯}}} 밤에 빛난다! 애니메이션 신작 삼방등 케이스 ([[야광|{{{#000,#fff 축광}}}]] 사양) [[파일:bd_glow.jpg|width=75%]] {{{#c472ca ❯}}} 디지털 재킷 사양 {{{#c472ca ❯}}} 줄거리 [[전단지|{{{#000,#fff [ruby(리플릿, ruby=リーフレット)]}}}]] {{{#c472ca ❯}}} 특제 부클릿 (32P) {{{#c472ca ❯}}} 양면 [[/아이캐치|{{{#000,#fff 아이캐치}}}]] 카드 (6매입) [[파일:bd_1_tokuten.jpg|width=100%]][br] {{{#c472ca ❯}}} 영상 특전 * [[#PV|{{{#000,#fff 티저 PV}}}]] * [[#PV|{{{#000,#fff 철야 무비 case 1 -나나쿠사 나즈나-}}}]] * [[#PV|{{{#000,#fff 철야 무비 case 2 -아사이 아키라-}}}]] * [[#PV|{{{#000,#fff 철야 무비 case 3 -키쿄 세리-}}}]] * [[#PV|{{{#000,#fff 메인 PV}}}]] * [[/음악#OP|{{{#000,#fff 논크레딧 OP 【Creepy Nuts「타천」】}}}]] * [[/음악#ED|{{{#000,#fff 논크레딧 ED 【Creepy Nuts「철야의 노래」】}}}]] * [[/음악#삽입곡|{{{#000,#fff 제2야 삽입곡 Creepy Nuts 「로스타임」 리릭 비디오}}}]] [*※ 사양・특전은 변경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 ||<^|1><-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3px)" {{{#!folding 사양・특전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0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0px; border-color: #e5dceb; background: #e5dceb; font-size: 1em" {{{#000 철야의 노래 下}}}}}}}}} {{{+1 2023년 1월 25일 (수) 발매}}}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10px, -5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48%, #c472ca 48%, #c472ca 55%, transparent 55%); width: 15%" }}}[br]수록화수 : 7화 (제7야 ~ 제13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0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0px; border-color: #e5dceb; background: #e5dceb; font-size: 1em" {{{#000 Blu-ray【완전 생산 한정판】}}}}}} ¥19,800(소비세 포함)/ ANZX-1538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0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0px; border-color: #e5dceb; background: #e5dceb; font-size: 1em" {{{#000 DVD【완전 생산 한정판】}}}}}} ¥17,600(소비세 포함)/ ANZB-15382 {{{+1 '''{{{#c472ca 특전}}}'''}}}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10px, -5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48%, #c472ca 48%, #c472ca 55%, transparent 55%); width: 100%" }}}[br]{{{#c472ca ❯}}} 밤에 빛난다! 애니메이션 신작 삼방등 케이스 ([[야광|{{{#000,#fff 축광}}}]] 사양) {{{#c472ca ❯}}} 디지털 재킷 사양 {{{#c472ca ❯}}} 줄거리 [[전단지|{{{#000,#fff [ruby(리플릿, ruby=リーフレット)]}}}]] {{{#c472ca ❯}}} 특제 부클릿 (32P) * 원작 : [[코토야마|{{{#000,#fff 코토야마}}}]] × 주제가 아티스트 : [[Creepy Nuts|{{{#000,#fff Creepy Nuts}}}]] 대담 * [[이타무라 토모유키|{{{#000,#fff 이타무라 토모유키}}}]] 감독 × 미야니시 테츠야 수석 디렉터 대담 {{{#c472ca ❯}}} 양면 [[/아이캐치|{{{#000,#fff 아이캐치}}}]] 카드 (7매입) [[파일:bd_2_tokuten.jpg|width=100%]][br] {{{#c472ca ❯}}} 영상 특전 * [[#PV|{{{#000,#fff 클라이맥스 PV}}}]] [*※] || }}}}}}}}} || ||<-6>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3px)" {{{#!folding 판매처별 구입 특전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6>{{{#!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6px 1px 3px 1px; border-radius: 0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0px; border-color: #e5dceb; background: #e5dceb; font-size: 1em" {{{+2 '''{{{#000 Blu-ray & DVD 구입 특전}}}'''}}}}}}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10px, -5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48%, #c472ca 48%, #c472ca 55%, transparent 55%); width: 6%" }}}[br] {{{+1 '''{{{#c472ca 판매처 공통 특전}}}'''}}}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10px, -5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48%, #c472ca 48%, #c472ca 55%, transparent 55%); width: 100%" }}}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okuten_maker_shikishi_1.jpg|width=100%]][br]▲상권 구입 판매처 공통 특전 : 원작・[[코토야마|{{{#000,#fff 코토야마}}}]] 신작 색지[br][br][br][[파일:tokuten_box2.jpg|width=100%]][br]▲상하권 연동 구입 판매처 공통 특전 : 애니메이션 신작 상하권 수납 BOX 도안}}}[br] ||<-3><^|1>상권 구입 판매처 공통 특전 : 원작・[[코토야마|{{{#000,#fff 코토야마}}}]] 신작 색지 상하권 연동 구입 판매처 공통 특전 : 애니메이션 신작 상하권 수납 BOX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40px 1px 5px; border-radius: 0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0px; border-color: #e5dceb; background: #e5dceb; font-size: 1em" '''{{{#000 대상 판매처}}}'''}}} * [[애니플렉스#s-2|{{{#000,#fff ANIPLEX+}}}]] * [[애니메이트|{{{#000,#fff 애니메이트}}}]] * [[아마존재팬|{{{#000,#fff Amazon}}}]](【Amazon.co.jp 한정】상품만 대상)[*KR 한국 직배송 가능] * [[아미아미|{{{#000,#fff 아미아미}}}]] 온라인 숍[*KR] * [[HMV|{{{#000,#fff HMV}}}]] [[https://www.hmv.co.jp/news/article/220706123/|▶]] * [[게이머즈#s-2|{{{#000,#fff 게이머즈}}}]] * 선데이 프리미엄 SHOP * [[소프맙|{{{#000,#fff 소프맙}}}]]·아니메가 * 세븐넷 쇼핑 * [[토라노아나#s-2|{{{#000,#fff 토라노아나}}}]] * [[노이타미나|{{{#000,#fff 노이타미나}}}]] 숍 * [[라쿠텐|{{{#000,#fff 라쿠텐}}}]] 북스(특전 첨부 카트만 대상) || ||<-6>[br]{{{+1 '''{{{#c472ca 판매처별 구입 특전}}}'''}}}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10px, -5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48%, #c472ca 48%, #c472ca 55%, transparent 55%); width: 100%"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okuten_animate.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okuten_amazon_1.jpg|width=100%]][br][br][[파일:tokuten_amazon_2.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okuten_7net.jpg|width=100%]]}}} || ||<^|1><-2>'''[[애니메이트|{{{#000,#fff 애니메이트}}}]]''' [[https://www.animate-onlineshop.jp/pd/2118972/|▶]] 상하권 연동 구입 특전 : 애니메이션 신작 캔버스 아트 ||<^|1><-2>'''[[아마존재팬|{{{#000,#fff Amazon}}}]](【Amazon.co.jp 한정】상품만 대상)''' [[https://www.amazon.co.jp/dp/B0B61PH572/|▶]] 상하권 연동 구입 특전① : 애니메이션 신작 캔버스 아트 상하권 연동 구입 특전② : 애니메이션 신작 A4 클리어 파일[br][br] ||<^|1><-2>'''세븐넷 쇼핑''' [[https://7net.omni7.jp/search/?keyword=yohukashimatome0708&searchKeywordFlg=1|▶]] 상하권 연동 구입 특전 : 애니메이션 신작 A4 아크릴 플레이트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okuten_aniplex.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okuten_amiami.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okuten_gamers.jpg|width=100%]]}}} || ||<^|1><-2>'''[[애니플렉스#s-2|{{{#000,#fff ANIPLEX+}}}]]''' [[https://www.aniplexplus.com/itemexMKjhBw.html|▶]] 상하권 연동 구입 특전 : 오리지널 데카 마우스 패드[br][br] ||<^|1><-2>'''[[아미아미|{{{#000,#fff 아미아미}}}]] 온라인 숍''' [[https://www.amiami.com/eng/detail/?gcode=MED-DVD2-52029|▶]] 상하권 연동 구입 특전 : 아크릴 시계 ||<^|1><-2>'''[[게이머즈#s-2|{{{#000,#fff 게이머즈}}}]]''' [[https://www.gamers.co.jp/products/bulk_purchase_detail.php?id=3137|▶]] 상하권 연동 구입 특전 : B2 태피스트리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okuten_sunday.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okuten_sofmap.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okuten_tsutaya_1.jpg|width=100%]][br][br][[파일:tokuten_tsutaya_2.jpg|width=100%]]}}} || ||<^|1><-2>'''선데이 프리미엄 SHOP''' [[https://www.pal-shop.jp/item/L20220191.html|▶]] 상하권 연동 구입 특전 : 탁상 복제 원화 ||<^|1><-2>'''[[소프맙|{{{#000,#fff 소프맙}}}]]·아니메가''' [[https://a.sofmap.com/product_detail.aspx?sku=23464908|▶]] 상하권 연동 구입 특전 : B1 태피스트리 ||<^|1><-2>'''[[츠타야|{{{#000,#fff TSUTAYA}}}]] RECORDS ※일부 판매처 제외, TSUTAYA 온라인''' [[http://tsutaya.jp/p07d2n75/|▶]] 상권 구입 특전 : L판 브로마이드[br]하권 구입 특전 : L판 브로마이드[br][br]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okuten_noitamina.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okuten_rakuten.jpg|width=100%]]}}} ||<|2><-2> || ||<^|1><-2>'''[[노이타미나|{{{#000,#fff 노이타미나}}}]] 숍''' [[https://www.noitamina-shop.com/detail/id/00000011737|▶]] 상하권 연동 구입 특전 : B2 태피스트리 ||<^|1><-2>'''[[라쿠텐|{{{#000,#fff 라쿠텐}}}]] 북스(특전 첨부 카트만 대상)''' [[https://books.rakuten.co.jp/rb/17214695/?l-id=c-recommend-toho-reco&rtg=253be217471c6b84a973c8a25331ce54|▶]] 상하권 연동 구입 특전 : 아크릴 플레이트[br][br] || ||<-6>[*※2 연동 구입 특전에 대해서는, 모두 동일한 판매처에서 입수해 주세요.[br]특전 내용은 예고 없이 변경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미리 양해 바랍니다.[br]특전은 없어지는 대로 종료가 됩니다.[br]자세한 것은 각 판매처에 문의해 주세요.] ||}}}}}}}}} || * Blu-ray & DVD 상권 발매 기념 특제 [[야광|{{{#000,#fff 축광}}}]] 포스트 카드 [[https://yofukashi-no-uta.com/news/archives/618|#]] [[파일:bd_postcard.jpg|width=500]] * TV판과 비교했을 때 일부 작화/움직임/이펙트/프롭 등의 수정이 있다. [[https://twitter.com/g6xa3awstGCEljS/status/1584893354361655297|2화]] [[https://twitter.com/g6xa3awstGCEljS/status/1584888687615442944|3화]] [[https://twitter.com/g6xa3awstGCEljS/status/1584881340511817728|4]] [[https://twitter.com/g6xa3awstGCEljS/status/1584866050918998017|6화]] [[https://twitter.com/g6xa3awstGCEljS/status/1618213864159731712|7화]] [[https://twitter.com/g6xa3awstGCEljS/status/1618224568753348609|8화]] [[https://twitter.com/g6xa3awstGCEljS/status/1618236245108461569|9화]] [[https://twitter.com/g6xa3awstGCEljS/status/1618246021888479232|10화]] [[https://twitter.com/g6xa3awstGCEljS/status/1618254294578507777|11화]] [[https://twitter.com/g6xa3awstGCEljS/status/1618260375581097984|12화]] == 기타 == * 서양과 일본에서는 순위권을 차지하는 등 준수한 인기를 누리고 있으나, 중국에서는 대부분의 7월 신작이 심사를 통과하지 않아 방영 여부도 모르는 상황이다.[* 중국에서는 심의 강도가 2022년 2분기 때보다 더 강화되어 관계자가 이번 분기에는 통과되는 작품이 10 작품도 안 될 것 같다고 언급한 적이 있다. 이 작품은 흡혈귀들의 일부 선정적인 대사와 주인공 야모리 코우의 등교 거부 같은 일탈 행위 등이 묘사되는지라 중국 현지에서도 과연 방영이 될지 의문이라는 반응이 많다. 특히 [[시진핑]]은 청소년의 철야를 건강에 부정적인 것으로 본다고 언급을 수차례 했고 실제로 규제도 하는 상황이다.] * 지나가는 단역 아저씨들의 성우로 [[코야스 타케히토]]가 늘 등장한다.[* 같은 성우이자 아들인 [[코야스 코우키]]도 등장했다.] * 원작과 마찬가지로 애니메이션에서도 [[데포르메]]를 자주 사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1화 [[파일:철야의노래데포르메.jpg|width=600]]][*7화 [[파일:철야의노래데포르메.webp|width=600]]] * 2기 제작에 관해서는 제작진 쪽에서도 '기회가 온다면 한 번 더 철야하자' 외에는 딱히 코멘트가 없다. 마지막화의 마지막 장면에 [[혼다 카부라]]가 클로즈업되고[* 2기가 제작된다면 카부라의 과거는 굉장히 중요한 전개가 된다.] [[호시미 키쿠]]가 새로운 옷을 입고 등장하는 등 소소하게 2기를 암시하는 부분이 있기는 하다. 작가 [[코토야마]]의 전작 [[다가시카시]]가 2기까지는 애니메이션 제작이 되었고 [[소년 선데이]]에서 애니메이션 쪽으로 밀어줄 간판작이 많이 없는 상황이라 2기에 대한 희망은 조금은 있는 편이다. * 감독 [[이타무라 토모유키]]의 감사 일러스트 [[파일:itakansha.jpg|width=400]] * 캐릭터 디자인을 맡은 [[사가와 하루카]]의 완결 기념 축전 일러스트[*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br]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br]캐릭터 디자인 사가와 하루카] [[파일:철야애니완결기념축전.jpg|width=600]] == 둘러보기 == ||<-5>
'''[[노이타미나|{{{#!html 노이타미나}}}]] {{{#!html 방영작}}}''' {{{#!html (2022년 3분기)}}} || || [[다다미 넉 장 반 세계일주/애니메이션#둘러보기|다다미 넉 장 반 세계일주]] || → || '''철야의 노래''' || → || [[시끌별 녀석들(2022년 애니메이션)#둘러보기|시끌별 녀석들]] (1기) || [각주] [[분류:철야의 노래/애니메이션]][[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22년 3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일본 만화 원작 애니메이션]][[분류:라이덴 필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