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경상북도의 버스 터미널]][[분류:칠곡군의 교통]][[분류:폐지된 버스 터미널]] [include(틀:폐쇄된 교통시설)] [목차] == 개요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천평리에 있었던 교통시설. 2018년 6월 11일 쯤에 폐쇄되었고, 현재는 정류장 자리에 '서울식당'이라는 기사식당이 있다. == 노선 == === 시외버스 노선 === 영남권: [[북부정류장|대구북부(직행)]][* 대구를 가려면 [[왜관역]]에서 환승하지 말고 이곳에서 버스를 타는 것이 좋다.], 구효령, [[효령정류소|효령]], [[군위시외버스공용터미널|군위]], 간동, 우보, [[탑리버스정류장|탑리]], 가음, 양지, 사미, 빙계, 금천2리, 춘산, [[도리원시외버스정류장|도리원]], 비안, [[안계버스정류장|안계]], 신락, [[다인정류장|다인]], 풍양, 지보, [[예천시외버스터미널|예천]], [[의성시외버스터미널|의성]], 단촌, 일직, [[안동터미널]], [[안동역]], [[안동대학교]], [[진보버스터미널|진보]][* 청송으로 가려면 진보에서 내려서 환승해야 한다.], [[영양버스정류장|영양]], 안기동, 옹천, 평은, 남산초교, 꽃동산, [[영주종합터미널|영주]], 인동, 옥계, 장천, 산동, 해평, 일선교, 도개, 용댐이, 낙정, 단밀, [[상주종합버스터미널|상주]] === 농어촌 버스 노선 === 심곡: [[칠곡 버스 33|33번]]이다. 다부, 망정, 도개, [[왜관북부정류장|왜관북부]], [[왜관남부정류장|왜관남부]]: 32번 또는 33번이다. 왜관남부는 33번만 갔다. 1일 3회 뿐이므로 웬만하면 881번, 885번을 타고 인동에서 하차 후 [[구미 버스 10, 110|10번, 110번]]으로 환승하거나 구미세무서에서 하차 후 길 건너서 [[구미 버스 11, 111|11번, 111번]]으로 환승하자. 석우, 고곡, 매곡[* 시간만 맞으면 여기서 [[군위군 마을버스|군위군 농어촌버스]]와 연계가 가능하다.], 금화, 가산2리: [[칠곡 버스 300|300번]]이다. 1일 4회 운행한다. 다부, [[동명교통]], [[태전역]], [[대구북부정류장|대구완행]]: 1일 4회 운행한다. 대구로 빠르게 가려면 [[경북고속]], [[진안고속]]에서 운영하는 대구로 가는 직행버스를 이용하는 것이 좋았다.[* 경북여객, 국신여객, 대아여객, 아진여객, 영남여객, 제일여객, 진안여객, 현대여객 등 여러 업체가 운행한 1990년대 후반 이전에는 직행버스도 다부, 동명교통, 칠곡에 정차했다.] 물론 지금은 대구로 가려면 얄짤없이 [[칠곡 버스 300|300번]]을 타야 한다.[* 300번의 전신은 [[경일교통]] 전신 경상여객에서 운행한 [[대구북부정류장|대구북부]]-용수리 시외완행버스였다.] === 시내버스 노선 === [[구미 버스 881|881번]], [[구미 버스 885|885번]]: [[구미시 시내버스]]다. 구평동, 인동, 공단본부를 거쳐 구미로 간다. [[대구 버스 칠곡3|칠곡3번]]: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지선|대구광역시 지선버스]]다. [[경운대학교|경운대]], 장천 혹은 다부, 동명교통, [[칠곡지구]]로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