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천태사교의집해.jpg]] [목차] == 개요 == 天台四敎儀集解. [[통일신라]]말~[[고려]] 초기의 고승인 [[제관]](諦觀, 900~975)이 천태사상을 집약해 정리한 [[천태사교의]](天台四敎儀)에 중국 [[송나라]]의 고승 [[종의]](從義)가 집해를 붙인 불경. 현재 [[조선]] [[세조(조선)|세조]] 10년(1464)에 복원한 책이 [[대한민국의 보물|보물]] 제1802호와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67호로 각각 지정되었다. == 내용 == [[통일신라]]말~[[고려]] 초기의 대표적인 고승인 제관은 우리나라의 [[천태종]]을 재흥시킨 인물로, 훗날 대각국사(大覺國師) [[의천]](義天, 1055∼1101)이 [[원효]](元曉), [[의상(신라)|의상]](義湘), 제관(諦觀), 대현(大賢), 경흥(憬興), 원측(圓測), 자장(慈藏), 지통(智通), 도신(道身) 등 신라승 20명의 저술 142종 402권을 정립하여 교장, 즉 고려속장경을 만들었다. 천태사교의집해는 이러한 제관이 고려 [[광종(고려)|광종]] 시기에 천태종의 주요 사상을 정리하여 만든 천태사교의에 송나라의 고승 종의가 집해를 붙인 경전이다. 그러나 천태사교의집해 원본은 현재 소실되어 전해지지 않는다. 현재 전해지는 것은 [[조선]] [[세조(조선)|세조]] 10년(1464)에 당시 왕의 명에 의해 세워진 정부기관인 간경도감에서 복간한 것이다. [[을해자]]로 간행되었으며 현재 두 종이 전해지고 있다. [[나말여초]] 시기를 살았던 고승의 학문 성취 수준과 고려 전기 천태종 및 기타 불교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조선 세조시기의 [[금속활자]] 연구와 고전문화 복원사업에 대해서도 연구해볼 수 있다.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에 복장되어 있던 천태사교의집해는 같은 불상 안에 복장되었던 다른 불경 세 종과 함께 [[대한민국의 보물|보물]] 제1802호로 일괄 지정되었다. 조선 [[태조(조선)|태조]], [[세종대왕|세종]], [[세조(조선)|세조]] 시기에 간행된 불서들로, 태조 4년(1395)에 만든 [[인천안목]], 세종 22년(1440)에 만든 [[금강반야바라밀경]], 세조 8년(1462)에 만든 [[능엄경언해]] 권5, 세조 10년(1464)에 만들어진 천태사교의집해로 이루어졌다. 자세한 내용은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전적]] 항목을 참조.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67호로 지정된 천태사교의집해는 보물로 지정된 것과 동일한 인본이다. 비슷하게 고려불경을 조선 세조 때 복원한 것으로 [[정명경집해관중소]], [[약사유리광여래본원공덕경]], [[대반열반경소]] 등이 있다. == 외부 링크 == * [[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A%B5%AC_%EB%B3%B4%EC%84%B1%EC%84%A0%EC%9B%90_%EB%AA%A9%EC%A1%B0%EC%84%9D%EA%B0%80%EC%97%AC%EB%9E%98%EC%82%BC%EC%A1%B4%EC%A2%8C%EC%83%81_%EB%B3%B5%EC%9E%A5%EC%A0%84%EC%A0%81|한국어 위키백과 :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전적]] * [[https://ko.wikipedia.org/wiki/%EC%B2%9C%ED%83%9C%EC%82%AC%EA%B5%90%EC%9D%98%EC%A7%91%ED%95%B4|한국어 위키백과 : 천태사교의집해]] == 보물 제1802호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18020000,22&flag=Y|문화재청 홈페이지 :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전적 (大邱 寶聖禪院 木造釋迦如來三尊坐像 腹藏典籍)]]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언해 권5(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諺解卷五)는 당나라의 반자밀제(般刺密帝)가 번역하고, 송나라의 계환(戒環)이 해설한 것이며, 경이름을 줄여서 능엄경(楞嚴經)‘으로 약칭하기도 한다. 이 책은 세종 31년(1449) 수양대군이 세종의 명에 따라 번역을 시작하였으나 뒤로 미루어졌다가 혜각존자 신미(信眉) 등 당대 고승 및 학자가 참여하여 10권으로 번역되었다. 본문에는 한글로 토를 달고 방점을 찍었으며, 을해자(乙亥字)를 사용하여 15세기에 간행되었다. >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는 세종 22년(1440)에 가평 화악산 영제암에서 판각된 목판본 이다. 권두제 ‘금강바라밀경’ 다음 행에는 ‘구마라집봉 조역(鳩摩羅什奉詔譯)’이란 역자가 있고 이어 경문은 양나라 소명태자에 의해서 32장으로 분장된 것을 저본으로 삼고 있다. 말미에는 진언이 보이고, 그 끝에 ‘정통5년경신(正統五年庚申)’, ‘화악산영제암개판(華岳山永濟菴開板)’이란 간기가 있고 ‘시주(施主) 정암(定菴)’에 이어 뒷면에 시주자와 각수(刻手)의 명단이 표시되어 있어 불서 판본의 서지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 >인천안목(人天眼目)은 송나라 승려 회암(晦巖) 지소(智昭)가 당시 불교의 5개 종파 임제종, 위앙종, 조동종, 운문종, 법안종 등의 기본사상과 창시자의 행적과 법어를 요약, 정리한 것으로 우리나라 선가에서 많이 읽힌 불서이다. 이 책은 조선 태조 4(1395)년에 무학대사(無學大師) 자초(自超)에 의해 양주의 회암사에서 간행된 판본이다. > >천태사교의집해 권하(天台四敎儀集解卷下)는 고려 초기 승려인 제관(諦觀)이 집약한『천태사교의』에 송나라의 고승 종의(從義)가 집해하였다. 천태교학의 요지를 교(敎)와 관(觀)의 이문(二門)으로 나누어 설명한 주해서이다. 이 책은 세조 10(1464)년에 간경도감에서 간행한 판본으로 판하본은 조근(趙瑾)이 썼다. ==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67호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0670000,22&flag=Y|문화재청 홈페이지 : 천태사교의집해 (天台四敎儀集解)]] >이 책은 고려시대 고승인 제관(諦觀/ 900~975)이 천태사상을 집약하여 정리한 천태사교의(天台四敎儀)에 대하여 여러사람이 풀이한 것을 송나라 고승인 종의(從義/1042-1091)가 집해(集解)한 책으로 15세기에 금속활자인 을해자(乙亥字)로 간행된 것이다. 인쇄 및 보존상태가 양호하며, 조선전기의 금속활자 연구 및 불교사 연구에 중요한 가치가 있다. [[분류:대한민국의 보물]][[분류:대구광역시의 유형문화재]][[분류:고려의 불경]][[분류:조선의 불경]][[분류:대구광역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