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천세력.jpg]] 千歲曆 천세력은 [[조선시대]] 관상감에서 만들어진 [[역법]]이다. 왕조의 안녕을 기원하는 의미로 만들어졌다. 1782년에 [[정조(조선)|정조]]는 관상감에 명하여 <백중력(百中曆)>을 토대로 하여 1777년을 기점으로 하여 추후 100년간의 달력을 미리 계산하여 편찬하라고 하여 만들어졌다. 그리고 10년이 지날 때마다 다시 10년간을 재계산, 보충하게 하여 개정하도록 하였다. 천세력에는 매년마다 매달 음력월의 대소, [[24절기|24절후]]의 입기일시 (入氣日時), 매월 초1일, 11일, 21일의 간지 (干支)가 한 면에 실려 있다. 제1책에서는 1777년부터 1886년에 이르는 110년 동안을 시헌력법으로 추산하고, 제2책에서는 같은 내용을 대통력법으로 추산하고, 제3책에서는 1693년부터 1792년에 이르는 100년간을 대통력과 시헌력을 대조한 역서를 사용했다. 책 머리에는 [[세종(조선)|세종]] 26년을 상원(上元)으로 추정한 원도(元圖)를 붙였다. 여담으로 세종 26(1444년)년은 [[칠정산]]을 간행한 연도로 날짜를 계산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추후 고종황제가 천세력을 토대로 만세력을 만들었다. [[분류:역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