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구(부산)의 로)] ------ ||<-4> {{{#fff {{{+1 '''천마로'''}}}[br] 天馬路 | Cheonma-ro }}} || ||<#fff> {{{#!html기 점}}} ||<-2><#2131AA> [[53번 부산광역시도|{{{#!html
5302번
부산광역시도
}}}]] ||<#fff> [[서대신동2가|{{{#!html서대신동2가}}}]] {{{#!html방면}}} →[br][[해돋이로(부산)|해돋이로]] || ||<-4> '''{{{#fff 노선 번호}}}''' || ||<-4> '''[[53번 부산광역시도|5302번 부산광역시도]]''' || ||<-4> '''{{{#fff 기점}}}''' || ||<-4> [[부산광역시]] [[서구(부산)|서구]] [[암남동]] 송도교차로 || ||<-4> '''{{{#fff 종점}}}''' || ||<-4> [[부산광역시]] [[서구(부산)|서구]] [[토성동4가]] || ||<-4> '''{{{#fff 연장}}}''' || ||<-4> 2.4km || ||<-4> '''{{{#fff 관리}}}''' || ||<-4> [[부산시설공단|[[파일:부산시설공단 로고.svg|width=120]]]] || ||<-4> '''{{{#fff 왕복 차로 수}}}''' || ||<-4> 2차로 || ||<-4> '''{{{#fff 주요 경유지}}}''' || ||<-4> 송도교차로 ↔ [[토성동4가]] || [목차] == 개요 == [[부산광역시]] [[서구(부산)|서구]] [[암남동]] 송도교차로에서 출발하여 [[토성동4가]]에서 끝나는 도로. [[53번 부산광역시도|5302번 부산광역시도]]의 일부이다. == 상세 == 통칭 '''송도윗길'''이라고도 부른다. [[남부민동]]을 정통으로 관통한다. [[충무대로]]에 비해 곡선 도로라 수평 선형도 좋지 않고 남부민동 주거지가 죄다 산을 타고 올라간 형태라 이 천마로도 [[산복도로]]라서 수직적으로도 좋지 않다. 일제강점기 이전의 송도윗길은 충무동과 송도를 연결하는 유일한 도로였다. 송도로 가려면 이 고갯길은 반드시 넘어야했고 남항 매립 이후 송도아랫길이라고도 불리는 [[충무대로]]가 개통되었다. 남부민2동 [[주민센터]] 앞에 있는 '''남부민곡각지'''(남부민커브)가 이 도로 상에서 가장 유명한 곳이다. 남부민곡각지의 커브 각도는 '''35도'''. '''직진'''을 위해서는 급격하게 우회전/좌회전을 해야 한다. [[천마터널(부산)|천마터널]]이 개통되기 전에는 [[감천동]]에서 [[남포동(부산)|남포동]] 방면으로 가는 사실상 유일한 길[* [[충무대로]]는 [[화물차]]와 자전거만 다니는 길 취급이었다.]이었다. 그러나 천마터널 개통 이후 천마로를 통해 넘어다니는 자가용 수요는 많이 줄었다. 대신에 여전히 [[버스]]는 천마로를 타고 다닌다. 감천동에서 남포동, 부산역 일대로 가는 거의 모든 버스는 천마로를 넘어 다닌다. 물론 천마로가 자전거로는 달리기 부적합한 도로인데, 주간에는 버스 통행으로 인해, 야간에는 완월동에 있는 집창촌에 성관계를 하러 온 사람들의 차량으로 인해 안전에 위협이 되기 때문이다. 게다가 천마로가 업힐이 있다는 것도 한몫한다. [[분류:서구(부산)의 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