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묵향동후)] ||<-2>
{{{#FFD700,#FFD700 '''{{{+1 천관사복}}}''' (2020~)[br]天官赐福[br]Heaven Official's Blessin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0830-iqfqmat4207223.png|width=100%]]}}} || ||<-2> {{{#FFD700,#FFD700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FFD700,#FFD700 장르}}}''' ||[[보이즈 러브|BL]], [[선협소설|선협]] || || '''{{{#FFD700,#FFD700 원작}}}''' ||[[묵향동후]] || || '''{{{#FFD700,#FFD700 원안 설정·캐릭터 디자인}}}''' ||○○ || || '''{{{#FFD700,#FFD700 감독}}}''' ||[[리하오링]] || || '''{{{#FFD700,#FFD700 시리즈 디렉터}}}''' ||○○ || || '''{{{#FFD700,#FFD700 시리즈 구성}}}''' ||○○ || || '''{{{#FFD700,#FFD700 미술 감독}}}''' ||김성민[* [[레드독컬처하우스]] 의 미술 감독을 담당하고 있다. [[https://reddogch.com/our-team/|#]] ] || || '''{{{#FFD700,#FFD700 색채 설계}}}''' ||李鲜浩 || || '''{{{#FFD700,#FFD700 음향 감독}}}''' ||○○ || || '''{{{#FFD700,#FFD700 음악}}}''' ||秉音创声 || || '''{{{#FFD700,#FFD700 애니메이션 제작}}}''' ||绘梦者新动画联盟[br][[레드독컬처하우스]][* [[러브, 데스 + 로봇]] 제작에 참여했던 한국의 애니메이션 제작사. 각종 국산 게임 PV와 [[신비아파트 시리즈]] 제작에 참여하기도 했다. [[https://www.facebook.com/reddogch/posts/2515791461874928|출처]]][br][[씨엠씨미디어]] || || '''{{{#FFD700,#FFD700 제작}}}''' ||[[빌리빌리]][br]绘梦者新动画联盟 || || '''{{{#FFD700,#FFD700 방영 기간}}}''' ||1기: [[애니메이션/2020년 10월|2020. 10. 31.]] ~ 2021. 01. 02.[br]특별편: 2021. 02. 16.[br]2기: 2023. 10. 18. ~ 방영 중 || || '''{{{#FFD700,#FFD700 방송국}}}'''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빌리빌리]] / (토) 11:00[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도쿄 메트로폴리탄 텔레비전|도쿄 MX]] / (일) 21:30 || || '''{{{#FFD700,#FFD700 스트리밍 서비스}}}'''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br][[빌리빌리]] [[https://www.bilibili.com/bangumi/media/md28223059|▶]]^^1기^^ [[https://www.bilibili.com/bangumi/media/md28235383|▶]]^^2기^^[br][[빌리빌리]]^^국제판^^ [[https://www.bilibili.tv/play/35336|▶]]^^1기^^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br][[빌리빌리]] [[https://www.bilibili.com/bangumi/media/md28234618|▶]]^^1기^^[br][[빌리빌리]]^^국제판^^ [[https://www.bilibili.tv/play/1018181|▶]]^^1기^^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br][[Laftel]] [[https://laftel.net/item/40110|▶]]^^1기 자막^^ [[https://laftel.net/item/40586|▶]]^^1기 더빙^^ [[https://laftel.net/item/41635|▶]]^^2기 자막^^[br][[TVING]] [[https://www.tving.com/contents/P001547928|▶]][br][[왓차]] [[https://watcha.com/contents/tRMxXgn|▶]][br][[wavve]] [[https://www.wavve.com/player/vod?contentid=H04_SG0000137512.1|▶]][br][[네이버 시리즈온]] [[https://serieson.naver.com/v2/broadcasting/442344|▶]]^^자막^^ [[https://serieson.naver.com/v2/broadcasting/491434|▶]]^^더빙^^ || || '''{{{#FFD700,#FFD700 편당 러닝타임}}}''' ||약 24분 || || '''{{{#FFD700,#FFD700 화수}}}''' ||1기: 11화[br]특별편: 1화[br]2기: || || '''{{{#FFD700,#FFD700 국내 심의 등급}}}''' ||[[15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25]] {{{#373a3c,#dddddd 15세 이상 관람가}}}]] || || '''{{{#FFD700,#FFD700 관련 사이트}}}'''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https://www.bilibili.com/tgcf|[[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https://m.weibo.cn/u/7329722575?jumpfrom=weibocom|[[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width=20px]]]]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TGCF_Official, 크기=20px)][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https://www.youtube.com/channel/UCHU9N6IoYqwHkloIyExtGv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px]]]][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https://tgcf-anime.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tgcf_anime, 크기=20px)]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천관사복 백무금기'''[* 천관이 복을 내리시니 근심할 것 하나 없다.] >'''신재무간 심재도원'''[* 몸은 무간에 있으나 마음만은 도원에 있다.] 2020년 10월 31일부터 천관사복 1기가 방영되었다.[[https://m.weibo.cn/detail/4550839051496393|#]] 2020년 9월 8일, 주요 등장인물의 성우진이 공개되었다.[[http://weibointl.api.weibo.com/share/170950759.html?weibo_id=4546852622182471|#]] 2021년 1월 2일, 11화 마지막에서 2기 제작이 개시되었음을 알렸다. 2021년 1월 4일, 2기 주제곡 《怜城辞》의 음원과 MV가 공개되었다.[[https://m.weibo.cn/status/4589616147733845?|#]] 2021년 2월 16일, 특별편이 방영될 예정이다.[[https://m.weibo.cn/detail/4573776237303675|#]] 2021년 4월 24일, 일본어 자막판과 더빙판이 2021년 7월부터 방영된다는 공지가 올라왔다.[[https://twitter.com/tgcf_anime/status/1385790602185347075|#]] 2021년 6월 12일, 일본어 더빙판 PV 2탄과 함께 오프닝 테마인 [[SID(밴드)|SID]]의 《자우의 입맞춤(慈雨のくちづけ)》과 엔딩 테마인 [[아마미야 소라]]의 《프리지아(フリイジア)》가 공개되었다. [[https://twitter.com/tgcf_anime/status/1403547856548548615|#]] 2021년 11월 20일, 천관사복 2기 첫 번째 PV가 공개되었다. 2022년 10월 31일, 천관사복 2주년 기념 영상이자 2기 두 번째 PV가 공개되었다. [[2021년 중국 연예계 정풍운동]]의 영향과 성우 교체[* 사련의 중국 성우인 장광타오가 탈세 혐의로 인해 조사받았다.] 등으로 방영이 잠시 지연되었으나, 마침내 2023년 10월 18일부터 천관사복 2기가 방영된다. == PV == === 중국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AV12r5Hs7Kg)]}}} || || {{{#FFD700 '''천관사복 1기 공식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MXQOM5aoX-A)]}}} || || {{{#FFD700 '''천관사복 2기 첫 번째 공식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JU1SOn6dMwk)]}}} || || {{{#FFD700 '''천관사복 2주년 기념 영상 및 2기 두 번째 공식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Npi0MBPw02I)]}}} || || {{{#FFD700 '''천관사복 2기 세 번째 공식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dFuXNxIBiVA)]}}} || || {{{#FFD700 '''천관사복 2기 네 번째 공식 예고편'''}}} || === 일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1jOC8cjIrz0)]}}} || || {{{#FFD700 '''천관사복 1기 첫 번째 공식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6PVnnIIBtzM)]}}} || || {{{#FFD700 '''천관사복 1기 두 번째 공식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yALbu3FuEYI)]}}} || || {{{#FFD700 '''천관사복 2기 첫 번째 공식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DEw2Yb42ys)]}}} || || {{{#FFD700 '''천관사복 2기 두 번째 공식 예고편'''}}} || === 대한민국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eDsA_nxFYYA)]}}} || || {{{#FFD700 '''천관사복 1기 공식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Us5Uff5s7Ak)]}}} || || {{{#FFD700 '''천관사복 1기 더빙 공식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5JVeSWQih6k)]}}} || || {{{#FFD700 '''천관사복 2기 첫 번째 공식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AQGElFcNo8c)]}}} || || {{{#FFD700 '''천관사복 2기 두 번째 공식 예고편'''}}} || == 성우 인터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Xl-Jt1HPdg)]}}}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1szDg71UUIM)]}}} || || {{{#FFD700 '''▲ '''}}} [[박요한(성우)|{{{#FFD700 '''박요한'''}}}]] || {{{#FFD700 '''▲ '''}}} [[정주원|{{{#FFD700 '''정주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0sMgZhIzvNI)]}}}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XwUCHCc0yg)]}}} || || {{{#FFD700 '''▲ '''}}} [[최승훈(성우)|{{{#FFD700 '''최승훈'''}}}]] || {{{#FFD700 '''▲ '''}}} [[남도형|{{{#FFD700 '''남도형'''}}}]] || == 성우 응원 메시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Zk2qEOoWWE)]}}}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1cu9inBH57c)]}}} || || {{{#FFD700 '''▲ '''}}} [[박요한(성우)|{{{#FFD700 '''박요한'''}}}]] || {{{#FFD700 '''▲ '''}}} [[정주원|{{{#FFD700 '''정주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8xh7mh-gbA)]}}}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sORWHWpmZE)]}}} || || {{{#FFD700 '''▲ '''}}} [[최승훈(성우)|{{{#FFD700 '''최승훈,'''}}}]] [[남도형|{{{#FFD700 '''남도형'''}}}]] || {{{#FFD700 '''▲ '''}}} [[김보나|{{{#FFD700 '''김보나,'''}}}]] [[시영준|{{{#FFD700 '''시영준,'''}}}]] [[김예림(성우)|{{{#FFD700 '''김예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72XNz_1R_WM)]}}}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wMfu3pIuqI)]}}} || || {{{#FFD700 '''▲ '''}}} [[석승훈|{{{#FFD700 '''석승훈,'''}}}]] [[김은아(EBS 성우)|{{{#FFD700 '''김은아,'''}}}]] [[이현(성우)|{{{#FFD700 '''이현,'''}}}]] [[강은애|{{{#FFD700 '''강은애'''}}}]] || {{{#FFD700 '''▲ '''}}} [[홍수정|{{{#FFD700 '''홍수정,'''}}}]] [[서반석|{{{#FFD700 '''서반석'''}}}]] || == 줄거리 == >선락국 태자 출신의 사련은 등선과 폄적을 반복하다 세 번째로 선경에 오른다. 허나 실수로 신관들의 금전을 파괴하여 졸지에 공덕을 쌓아 만회해야 하는 처지에 놓인다. 사련은 속세에 자신을 봉양하는 이가 없으니 직접 속세에 내려가 귀신을 제거하여 공덕을 쌓기로 하고, 그 곳에서 자신을 도우려 온 두 어린 신관과 붉은 옷을 입은 신비로운 소년을 만난다. 네 사람은 함께 괴이한 사건들을 차례로 해결해 나가지만, 그와 동시에 찬란한 광채에 가려진 선계 신관들의 어두운 과거들마저 접하게 되는데.. >반월관 사건이 일단락된 이후, 신무대제 군오의 부름을 받아 다시 상천정으로 복귀한 사련은 최근 '귀사장' 근처에서 한 신관의 매우 긴박한 구조 요청 신호가 포착됐다는 뜻밖의 소식을 듣는다. 귀사장의 현 주인은 '혈우탐화' 화성, 바로 7일 전 갑작스럽게 모습을 감춘 붉은 옷의 소년 삼랑과 동일인물이었다. 사련은 풀리지 않는 의혹들을 해소하기 위해 직접 이번 사건의 해결을 자청하고, 풍사 청현과 동방의 무신 낭천추와 함께 귀사장에 극비리에 잠입하게 되는데... == [[천관사복/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천관사복/등장인물)] == [[천관사복/설정|설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천관사복/설정)] == 명대사 == > '''천관이 복을 내리시니 근심할 것 하나 없다.'''[* 천관사복 백무금기] >---- > [[사련]], 1기 1화 > '''살아가야 할 의미를 모르겠다면 나를 위해 살아가렴.''' >---- > [[사련]], 1기 1화 > '''나였으면 그 사람이 내 유골을 부수든 말든 상관 안 해.''' >---- > [[화성(천관사복)|화성]], 1기 5화 > '''내 운이 도움이 된다면 다 가져가요.''' >---- > [[화성(천관사복)|화성]], 1기 5화 > '''난 사람을 사귈 때 마음이 잘 맞는지를 보거든. 신분은 상관 없어. 네가 마음에 들면 거지라도 상관없지만 마음에 안 들면 황제라도 사절이야.''' >---- > [[사련]], 1기 9화 > '''그래도 전 '삼랑'이 더 듣기 좋은데요.''' >---- > [[화성(천관사복)|화성]], 1기 11화 > '''혈우탐화.''' > '''태자 전하.''' >---- > [[사련]] & [[화성(천관사복)|화성]], 1기 특별편 > '''내 어릴 적 꿈은 창생을 구하는 거였어.''' >---- > [[사련]], 1기 특별편 > '''본존? 좋네.''' >---- > [[사련]], 1기 특별편 > '''살아가야 할 의미를 모르겠다면 나를 위해 살아가렴. 삶의 의미를 모르겠다면 나를 그 의미로 삼으렴.''' >---- > [[사련]], 1기 특별편 > '''맹세컨대 온 천지를 통틀어도 저만큼 성의 있는 사람은 없을 겁니다.''' >---- > [[화성(천관사복)|화성]], 1기 특별편 > '''형.''' >---- > [[화성(천관사복)|화성]], 1기 특별편 > '''필요없다. 한손은 무슨, 그 천한 목숨도 여기선 한 푼 값도 안 돼.''' >---- > [[화성(천관사복)|화성]], 2기 1화 > '''오늘은 기분이 좋으니 극락방으로 간다.''' >---- > [[화성(천관사복)|화성]], 2기 2화 == OST == === 중국 === ==== 1기 ==== ||<-2>
'''{{{#FFD700 천관사복 1기 오프닝곡}}}'''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xqvIGjHwMEc, width=100%)]}}} || ||<-2> '''{{{#FFD700 Full Ver.}}}''' || || '''제목''' || '''무별(无别)''' || || '''노래'''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张信哲 || || '''작사''' || 何启弘 || || '''작곡''' || 谭旋 || || '''편곡''' || 陈启天 || ||<-2> {{{#!folding 가사 ▼ ||
'''情丝挥剑 断了纠缠仍相恋''' || || 연모하는 마음 검으로도 끊을 수 없으니 || || '''有谁怜 灭了明灯对残月''' || || 가련한 누군가 등불 끄고 조각달 바라보네 || || '''往事化蝶 掠过花丛又离别''' || || 과거는 나비가 되어 꽃밭을 스치며 떠나가지만 || || '''忍着泪 等待重遇的喜悦''' || || 눈물 삼키고 재회의 기쁨을 기다리리 || || '''花瓣落成雪 满城游魂夜''' || || 눈처럼 흩날린 꽃잎 혼령이 밤하늘을 수놓고 || || '''曾信仰的爱丝毫未冷却''' || || 지난날 연모의 신앙심은 조금도 식지 않았네 || || '''容颜未憔悴 徒让白衣袖成灰''' || || 변하지 않은 그대 흰 소매만 잿빛으로 바랬으니 || || '''和宿命不停追逐后 相会''' || || 운명을 거듭 뒤쫓아 다시 만났구나 || || '''别后 花枯萎 眷恋盛开过的美''' || || 이별 후 시든 꽃은 눈부신 그리움으로 피어나 || || '''一回眸 满眼幸福的诗篇''' || || 뒤돌아본 두 눈에 아름다운 시 한 편 담고 || || '''别后 花残缺 还剩绽放过的醉''' || || 이별 후 이지러진 꽃은 그윽한 향기를 남겨 || || '''错过你 尝尽酸甜都无味''' || || 그대를 놓치니 삶의 희비애환도 느껴지지 않네 || || '''错过你 尝尽酸甜都无味''' || || 그대를 놓치니 삶의 희비애환도 느껴지지 않네 || || '''情丝挥剑 断了纠缠仍相恋''' || || 연모하는 마음 검으로도 끊을 수 없으니 || || '''有谁怜 灭了明灯对残月''' || || 가련한 누군가 등불 끄고 조각달 바라보네 || || '''往事化蝶 掠过花丛又离别''' || || 과거는 나비가 되어 꽃밭을 스치며 떠나가지만 || || '''忍着泪 等待重遇的喜悦''' || || 눈물 삼키고 재회의 기쁨을 기다리리 || || '''花瓣落成雪 满城游魂夜''' || || 눈처럼 흩날린 꽃잎 혼령이 밤하늘을 수놓고 || || '''曾信仰的爱丝毫未冷却''' || || 지난날 연모의 신앙심은 조금도 식지 않았네 || || '''容颜未憔悴 徒让白衣袖成灰''' || || 변하지 않은 그대 흰 소매만 잿빛으로 바랬으니 || || '''和宿命不停追逐后 相会''' || || 운명을 거듭 뒤쫓아 다시 만났구나 || || '''别后 花枯萎 眷恋盛开过的美''' || || 이별 후 시든 꽃은 눈부신 그리움으로 피어나 || || '''一回眸 满眼幸福的诗篇''' || || 뒤돌아본 두 눈에 아름다운 시 한 편 담고 || || '''别后 花残缺 还剩绽放过的醉''' || || 이별 후 이지러진 꽃은 그윽한 향기를 남겨 || || '''错过你 尝尽酸甜都无味''' || || 그대를 놓치니 삶의 희비애환도 느껴지지 않네 || || '''别后 花枯萎 眷恋盛开过的美''' || || 이별 후 시든 꽃은 눈부신 그리움으로 피어나 || || '''一回眸 满眼幸福的诗篇''' || || 뒤돌아본 두 눈에 아름다운 시 한 편 담고 || || '''别后 花残缺 还剩绽放过的醉''' || || 이별 후 이지러진 꽃은 그윽한 향기를 남겨 || || '''错过你 尝尽酸甜都无味''' || || 그대를 놓치니 삶의 희비애환도 느껴지지 않네 || || '''转身后 漫漫长路都无别''' || || 뒤돌아본 머나먼 길에 이별은 없으리 || }}} || ||<-2>
'''{{{#FFD700 천관사복 1기 1화 엔딩곡}}}'''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M1lCMtBQKJA, width=100%)]}}} || ||<-2> '''{{{#FFD700 Full Ver.}}}''' || || '''제목''' || '''[[一花一剑|일화일검(一花一剑)]]''' || || '''노래'''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李鑫一 || || '''작사''' || 王晓倩, 申名利 || || '''작곡''' || 杨秉音 || ||<-2> {{{#!folding 가사 ▼ ||
'''仙乐琉璃 映流芳盛世光景''' || || 선락의 유리 보석 세월 속 태평성세를 비추고 || || '''白衣少年 如飞鸟逆空降临''' || || 흰옷의 소년은 새처럼 하늘에서 내려왔네 || || '''风卷花落 玉面似镜照孤星''' || || 바람에 꽃잎 떨어지니 외로운 별처럼 고운 얼굴 || || '''拂古训 一闪 浮光掠影''' || || 옛 교훈을 어렴풋이 떠올리네 || || '''暗夜深邃 藏多少幽绿眼睛''' || || 깊고 어두운 밤 푸른 눈동자들이 숨어들고 || || '''银蝶蹁跹 宛如迢迢连天星''' || || 날아든 은나비는 아득한 하늘가의 별처럼 || || '''须臾间挟荒山野径 循声觅影''' || || 황량한 산야를 휩쓸고 소리를 쫓아 헤매는데 || || '''月华粼粼流照君 纵履霜亦孤行''' || || 그대는 흐르는 달빛 속 서리를 밟고 홀로 나아가네 || || '''一念花树绕香云 一念随剑影''' || || 한때는 향기로운 꽃나무 심고 다시 검이 이끄는 대로 || || '''轻拈桃花向仙庭 电闪惊雷鸣''' || || 복사꽃 쥐고 선경에 오르니 섬광이 울부짖고 || || '''且使白驹撵过隙 物换星移''' || || 덧없이 흐른 세월에 만물은 변했지만 || || '''济苍生 一花一剑一愿人间幸''' || || 창생을 구하는 꽃과 검으로 비나니 세상에 축복을 || || '''听闻太苍山 难复故国踪迹''' || || 태창산에 고국의 흔적은 사라지고 || || '''断壁连残垣 城池飞沙扬砾''' || || 무너진 담벼락과 흙먼지 날리는 성터 || || '''繁华覆灭人面成疫 战火疮痍''' || || 몰락한 도시에 역병과 전란의 불꽃 몰아치는데 || || '''抽丝剥茧一身谜 无名却耀青荧''' || ||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 속 이름 없는 혼백만 푸르게 빛나네 || || '''一念花树吹墨云 骤雨素花净''' || || 꽃나무에 먹구름 끼고 소나기 쏟아져도 꽃은 청초하기에 || || '''时间琥珀中流幻 赴桃源之境''' || || 보석 같은 세월 끝에 도원의 땅을 밟고 || || '''雾沉云暝渐敛却 浮尘晴霁''' || || 짙은 안개와 구름이 걷히고 티끌마저 맑게 개니 || || '''抵不过 一花一剑一人雨中笠''' || || 꽃과 검을 든 한 사람 삿갓을 쓰고 빗속을 나아가네 || || '''留恋花树亦怜君 伫望候远信''' || || 꽃나무와 그대를 연모하며 먼 소식을 기다리고 || || '''任凡尘俗世笑我 山间祈长明''' || || 세상이 나를 비웃어도 산 위로 장명등 날리고 || || '''去向未言说曾经 繁花似锦''' || || 그대 가는 길이 어디든 비단 같은 꽃길 펼치니 || || '''业火尽 一花一剑一世与君行''' || || 업화가 다하면 꽃과 검을 든 그대와 일생을 함께하리 || || '''穿行于天地间 惟愿逐一双影''' || || 한 쌍의 그림자로 천지를 헤치고 나아가리 || }}} || ||<-2>
'''{{{#FFD700 천관사복 1기 2화 ~ 8화 엔딩곡}}}'''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euBqqA-inck, width=100%)]}}} || ||<-2> '''{{{#FFD700 Full Ver.}}}''' || || '''제목''' || '''불산(不散)''' || || '''노래'''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黃龄 || || '''작사''' || 申名利 || || '''작곡''' || 杨秉音 || ||<-2> {{{#!folding 가사 ▼ ||
'''飞绫绕风 如梦''' || || 꿈처럼 나부끼는 비단 || || '''本无聚散''' || || 이별은 없었구나 || || '''殷红漫天 似真似幻''' || || 검붉게 물든 하늘 진실인지 허상인지 || || '''银蝶 翩然 濯花瓣''' || || 은나비 살며시 꽃잎을 씻어내니 || || '''谁言无缺 日幽月暗''' || || 누가 무결하다 하나 해도 달도 저물어 가는데 || || '''偏爱在绝处参无间的恨与贪''' || || 벼랑 끝 애정은 무간의 원망과 탐욕 속으로 || || '''烈火隐去 野草复燃''' || || 불길 사그라든 곳 다시 자라난 들풀은 || || '''此消 彼长 再循环''' || || 거듭 시들고 싹을 틔우니 || || '''大千世界 卷轴璀璨''' || || 대천세계의 찬란한 두루마리 속 || || '''亦邪亦正处 听谁叹''' || || 경계 없는 선악에 누군가 탄식하네 || || '''何来聚散 又何来忘返''' || || 이 만남과 이별 망각은 어디서 왔는지 || || '''何来魔障 又何来虚幻''' || || 악몽과 허상은 또 어디서 왔는지 || || '''且看拂尘之下 桃源满山''' || || 총채 밑을 바라보니 온 산이 도원이라 || || '''飘然而去 羽化成仙''' || || 아스라이 사라져 우화등선하리 || || '''飞绫绕风 如梦''' || || 꿈처럼 나부끼는 비단 || || '''本无聚散''' || || 이별은 없었구나 || || '''烈火隐去 野草复燃''' || || 불길 사그라든 곳 다시 자라난 들풀은 || || '''此消 彼长 再循环''' || || 거듭 시들고 싹을 틔우니 || || '''大千世界 卷轴璀璨''' || || 대천세계의 찬란한 두루마리 속 || || '''亦邪亦正处 听谁叹''' || || 경계 없는 선악에 누군가 탄식하네 || || '''何来聚散 又何来忘返''' || || 이 만남과 이별 망각은 어디서 왔는지 || || '''何来魔障 又何来虚幻''' || || 악몽과 허상은 또 어디서 왔는지 || || '''且看拂尘之下 桃源满山''' || || 총채 밑을 바라보니 온 산이 도원이라 || || '''飘然而去 羽化成仙''' || || 아스라이 사라져 우화등선하리 || || '''何来离散 又何来悲欢''' || || || || '''何来痴缠 又何来臆断''' || || || || '''纵是天命使然 无欲则善''' || || || || '''道生万物不散''' || || || || '''花树飘曳 云端''' || || || || '''本无消散''' || || 이별은 없었구나 || }}} || ||<-2>
'''{{{#FFD700 천관사복 1기 9화 ~ 11화 및 특별편 엔딩곡}}}'''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0oejXUZ5VDo, width=100%)]}}} || ||<-2> '''{{{#FFD700 Full Ver.}}}''' || || '''제목''' || '''홍절(红绝)'''[* 작중 키워드가 [[세로드립]]으로 가사에 들어갔으며, 라프텔 방영판의 한국어 번역도 이를 반영했다.] || || '''노래'''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후샤]] || || '''작사''' || 申名利, 王晓倩 || || '''작곡''' || 杨秉音 || || '''편곡''' || 杨秉音, 李柏漪 || ||<-2> {{{#!folding 가사 ▼ ||
'''雾缥缈 云上有仙宫''' || || 희미한 안개 구름 위 선궁 || || '''红帘掩 暗中引蝶涌''' || || 붉은 휘장 안 조용히 나비 날아들고 || || '''诡谲藏于迷人的梦''' || || 매혹적인 꿈속 숨겨진 괴담에 || || '''偏为禁忌灼一身红''' || || 금기를 건드리니 온몸 붉게 타오르네 || || '''仙风道骨 原为虚空''' || || 신선의 풍아함은 덧없는 것 || || '''红线缱绻 如沐春风''' || || 수놓은 붉은 실 봄바람에 목욕하듯 || || '''幽暗深处 皎月朦胧''' || || 깊고 어두운 곳 달빛 휘영청하니 || || '''温柔以祈愿灯寄送''' || || 따스한 기원 담아 등불 보내리 || || '''{{{#ff0000 天}}}下之大 为你花满城''' || || '''{{{#ff0000 천}}}'''하의 꽃 그대 위해 만개했는데 || || '''{{{#ff0000 官}}}名抛空 执花仗剑救苍生''' || || '''{{{#ff0000 관}}}'''직 버리고 꽃과 검으로 창생을 구하시니 || || '''{{{#ff0000 赐}}}我替你 万般磨砺更迎刃''' || || '''{{{#ff0000 사}}}'''투 끝에 그대 대신 칼날을 맞아 || || '''{{{#ff0000 福}}}祸不问 忠实信徒有一人''' || || '''{{{#ff0000 복}}}'''과 화를 함께하는 충실한 신도 되게 하소서 || || '''{{{#ff0000 百}}}世流转 愿如长明灯''' || || '''{{{#ff0000 백}}}''' 년을 이어갈 이름 장명등처럼 || || '''{{{#ff0000 无}}}所不能 所向披靡照前尘''' || || '''{{{#ff0000 무}}}'''적으로 나아가 과거를 비추고 || || '''{{{#ff0000 禁}}}住浮沉 浴火投身也敢撑''' || || '''{{{#ff0000 금}}}'''지된 흥망성쇠에 속세도 두렵지 않으니 || || '''{{{#ff0000 忌}}}羡世人 惟愿余生 相赠''' || || '''{{{#ff0000 기}}}'''탄과 부러움 속 여생을 함께하리 || || '''仙风道骨 原为虚空''' || || 신선의 풍아함은 덧없는 것 || || '''红线缱绻 如沐春风''' || || 수놓은 붉은 실 봄바람에 목욕하듯 || || '''幽暗深处 皎月朦胧''' || || 깊고 어두운 곳 달빛 휘영청하니 || || '''温柔以祈愿灯寄送''' || || 따스한 기원 담아 등불 보내리 || || '''{{{#0000ff 身}}}若能被 一刹念所动''' || || '''{{{#0000ff 신}}}'''념대로 움직이는 몸이었다면 || || '''{{{#0000ff 在}}}孽海中 无畏嬉戏亦懵懂''' || || '''{{{#0000ff 재}}}'''앙 속에서도 우습게 노닐었을 것을 || || '''{{{#0000ff 无}}}常聚散 生死难灭情义浓''' || || '''{{{#0000ff 무}}}'''상한 이별 질긴 삶에 정은 깊어 가니 || || '''{{{#0000ff 间}}}入剑影刀光 芳心破鸿蒙''' || || '''{{{#0000ff 간}}}'''절한 마음 검날 되어 혼돈을 찢네 || || '''{{{#0000ff 心}}}有千劫 亦困于镜中''' || || '''{{{#0000ff 심}}}'''중의 천겁은 거울에 갇혀 || || '''{{{#0000ff 在}}}幻觉中 静待朝夕后相认''' || || '''{{{#0000ff 재}}}'''회할 그 날 환각 속에서 기다리니 || || '''{{{#0000ff 桃}}}水渐暖 暖不及红衣胜枫''' || || '''{{{#0000ff 도}}}'''래하는 봄빛보다 따스한 붉은 옷 || || '''{{{#0000ff 源}}}起便信 缘不会终''' || || '''{{{#0000ff 원}}}'''래 끝나지 않을 인연이라 믿었네 || || '''{{{#ff0000 天}}}下之大 为你花满城''' || || '''{{{#ff0000 천}}}'''하의 꽃 그대 위해 피워내며 || || '''{{{#ff0000 官}}}名抛空 办心中一瞥惊鸿''' || || '''{{{#ff0000 관}}}'''직 마다하고 마음속 첫 만남을 그리니 || || '''{{{#ff0000 赐}}}我替你 业火尝尽再重生''' || || '''{{{#ff0000 사}}}'''후의 죄업을 겪고 그대 대신 환생해 || || '''{{{#ff0000 福}}}祸不问 忠实信徒有一人''' || || '''{{{#ff0000 복}}}'''과 화를 함께하는 충실한 신도 되게 하소서 || || '''{{{#ff0000 百}}}世流转 愿如长明灯''' || || '''{{{#ff0000 백}}}''' 년을 이어갈 이름 장명등처럼 || || '''{{{#ff0000 无}}}所不能 悯人间悲欢情恨''' || || '''{{{#ff0000 무}}}'''적으로 나아가 세상의 희로애락 보살피니 || || '''{{{#ff0000 禁}}}住浮沉 轮回里终会重逢''' || || '''{{{#ff0000 금}}}'''지된 흥망성쇠에 거듭된 윤회로 다시 만나 || || '''{{{#ff0000 忌}}}羡世人 惟愿余生 相赠''' || || '''{{{#ff0000 기}}}'''탄과 부러움 속 여생을 함께하리 || }}} || ==== 2기 ==== ||<-2>
'''{{{#FFD700 천관사복 2기 주제가}}}'''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4F9Pmp0U8zQ, width=100%)]}}} || ||<-2> '''{{{#FFD700 Full Ver.}}}''' || || '''제목''' || '''연성사(怜城辞)'''[* 제목을 보면 [[사련]]의 '련'과 [[화성(천관사복)|화성]]의 '성'인 것을 알 수 있다.] || || '''노래'''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루한]] || || '''작사''' || 郑志焕 || || '''작곡''' || Jinwoo Choi || || '''편곡''' || 袁文睿 || ||<-2> {{{#!folding 가사 ▼ ||
'''等一轮风声 熟透了夜深''' || || || || '''等一盏清晨 篆刻一座城''' || || || || '''几翻坠入了凡尘 几度折煞了世人''' || || || || '''固执的眼神 谁在等''' || || || || '''茶凉夜色冷 红伞遮雨痕''' || || || || '''容我再认真 信仰的部分''' || || || || '''怜城一顾非旧人 百年浮沉如前尘''' || || || || '''谁守护一生 不过问''' || || || || '''花与剑无痕 高挂一轮明灯''' || || || || '''银蝶染旧梦 生死莫再问''' || || || || '''而你始终一路跟 人间多少轮回声''' || || || || '''我一如默认 无谓沉沦''' || || || || '''不安的残灯 往回忆延伸''' || || || || '''晚风晃一阵 红衣人易分''' || || || || '''难得你奋不顾身 陪我一世浮沉''' || || || || '''愁绪无分寸 心事如皱纹''' || || || || '''一整座星辰 道不破诚恳''' || || || || '''谁一朝得道飞升 谁辗转未知鬼神''' || || || || '''是非如刀刃 会伤人''' || || || || '''花与剑无痕 高挂一轮明灯''' || || || || '''银蝶染旧梦 生死莫再问''' || || || || '''而你始终一路跟 人间多少轮回声''' || || || || '''我一如默认 无谓沉沦''' || || || || '''花与剑无痕 高挂一轮明灯''' || || || || '''银蝶染旧梦 生死莫再问''' || || || || '''而你始终一路跟 人间多少轮回声''' || || || || '''我一如默认 无谓沉沦''' || || || || '''我一如默认 无谓沉沦''' || || || }}} || ||<-2>
'''{{{#FFD700 천관사복 2기 엔딩곡}}}'''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07PpOz-j9Bs, width=100%)]}}} || ||<-2> '''{{{#FFD700 Full Ver.}}}''' || || '''제목''' || '''귀우진(归于尘)''' || || '''노래'''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谭晶 || || '''작사''' || || || '''작곡''' || || || '''편곡''' || || ||<-2> {{{#!folding 가사 ▼ }}} || ||<-2>
'''{{{#FFD700 천관사복 2기 삽입곡}}}'''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QSYDiX3vOEg, width=100%)]}}} || ||<-2> '''{{{#FFD700 Full Ver.}}}''' || || '''제목''' || '''홍렴전(紅簾前)''' || || '''노래'''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魏晨 || || '''작사''' || || || '''작곡''' || || || '''편곡''' || || ||<-2> {{{#!folding 가사 ▼ }}} || === 일본 === ==== 1기 ==== ||<-2>
'''{{{#FFD700 천관사복 1기 오프닝곡}}}''' || ||<-2>{{{#!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nssLDpGRbBg, width=100%)]}}} || ||<-2> '''{{{#FFD700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hV0Po_nXR7k, width=100%)]}}} || ||<-2> '''{{{#FFD700 M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PHHw3Z7Hz24, width=100%)]}}} || ||<-2> '''{{{#FFD700 MV 천관사복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7xdc8HhvxYc, width=100%)]}}} || ||<-2> '''{{{#FFD700 Full Ver.}}}''' || || '''제목''' || '''자우의 입맞춤[* '단비의 입맞춤'이라고도 한다.](慈雨のくちづけ)''' || || '''노래'''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SID(밴드)|SID]] || || '''작사''' || マオ || || '''작곡''' || 御恵明希 || || '''편곡''' || || ||<-2> {{{#!folding 가사 ▼ }}} || ||<-2>
'''{{{#FFD700 천관사복 1기 엔딩곡}}}'''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sbcp6SN0Dpo, width=100%)]}}} || ||<-2> '''{{{#FFD700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xpZ2ZsoSTQg, width=100%)]}}} || ||<-2> '''{{{#FFD700 Full Ver.}}}''' || || '''제목''' || '''프리지아([[フリイジア]])''' || || '''노래'''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아마미야 소라]] || || '''작사''' || Shiki || || '''작곡''' || 上坂梨紗 || || '''편곡''' || || ||<-2> {{{#!folding 가사 ▼ }}} || == 회차 목록 == ||
'''{{{#FFD700,#FFD700 회차}}}''' || '''{{{#FFD700,#FFD700 제목}}}'''[* 국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Laftel|라프텔]]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 '''{{{#FFD700,#FFD700 각본}}}''' || '''{{{#FFD700,#FFD700 콘티}}}''' || '''{{{#FFD700,#FFD700 연출}}}''' || '''{{{#FFD700,#FFD700 작화감독}}}''' || '''{{{#FFD700,#FFD700 총작화감독}}}''' || '''{{{#FFD700,#FFD700 방영일}}}''' || ||<-8> '''{{{#FFD700 1기}}}''' || || 제1화 || 太子新娘[br]새색시 태자[br]太子の嫁入り ||<|11> 春日幽铃[br]蜜饺[br]桃玖玖 ||<|11><-2> 严有晶 ||<|11> 김미진[br](金美珍)[br]김수연[br](金秀娟)[br]선지수[br](宣智琇)[br]柳民知[br]홍인수[br](洪仁守)[br]李政权[br]洪锡杓[br]申康二[br]梁先延[br]吴炫儿[br]金惠贞[br]李恩荣[br]盛娟[br]王刚[br]桂小萍 ||<|11> 이상미[br](李相美)[br]张欣欣[br]王鹏[br]权恩京[br]张宁 || 中: 2020.10.31.[br]韓: 2020.11.09.[br]韓: 2021.10.29.[br]日: 2021.07.04. || || 제2화[br],,[[https://youtu.be/Mr70aj65kL8|예고]],, || 山锁明光[br]숨겨진 명광전[br]隠された明光廟 || 中: 2020.10.31.[br]韓: 2020.11.09.[br]韓: 2021.10.29.[br]日: 2021.07.11. || || 제3화[br],,[[https://youtu.be/O31dCXKrE8E|예고]],, || 旧恨红颜[br]연정과 원망[br]女将軍の執着 || 中: 2020.11.07.[br]韓: 2020.11.09.[br]韓: 2021.10.29.[br]日: 2021.07.18. || || 제4화[br],,[[https://youtu.be/B41-iDk1hHQ|예고]],, || 诡王花城[br]귀왕 화성[br]鬼王 花城 || 中: 2020.11.14.[br]韓: 2020.11.16.[br]韓: 2021.10.29.[br]日: 2021.07.25. || || 제5화[br],,[[https://youtu.be/i7KYs4DwZxU|예고]],, || 菩荠记事[br]보제관 이야기[br]謎の少年 || 中: 2020.11.21.[br]韓: 2020.11.23.[br]韓: 2021.10.29.[br]日: 2021.08.01. || || 제6화[br],,[[https://youtu.be/eIAVfdLP9OQ|예고]],, || 半月迷踪[br]반월관의 수수께끼[br]あやかしの砂漠へ || 中: 2020.11.28.[br]韓: 2020.11.30.[br]韓: 2021.10.29.[br]日: 2021.08.08. || || 제7화[br],,[[https://youtu.be/pVySdIgr-OQ|예고]],, || 蝎尾蛇影[br]갈미사의 배후[br]忍び寄る影 || 中: 2020.12.05.[br]韓: 2020.12.07.[br]韓: 2021.10.29.[br]日: 2021.08.15. || || 제8화[br],,[[https://youtu.be/B3fIePGETjo|예고]],, || 风起古国[br]폭풍 속 옛터[br]暗雲漂う故国 || 中: 2020.12.12.[br]韓: 2020.12.14.[br]韓: 2021.10.29.[br]日: 2021.08.22. || || 제9화[br],,[[https://youtu.be/U00gddjSMQ4|예고]],, || 妖道之祸[br]반월요도가 부른 재앙[br]妖道の災い || 中: 2020.12.19.[br]韓: 2020.12.21.[br]韓: 2021.10.29.[br]日: 2021.08.29. || || 제10화[br],,[[https://youtu.be/fhNmV7aPDdE|예고]],, || 半月往事[br]반월의 과거[br]将軍と少女 || 中: 2020.12.26.[br]韓: 2020.12.28.[br]韓: 2021.10.29.[br]日: 2021.09.05. || || 제11화[br],,[[https://youtu.be/iL4i4QVp9fU|예고]],, || 沙埋功过[br]공적과 과실[br]砂に埋もれた功罪 || 中: 2021.01.02.[br]韓: 2021.01.04.[br]韓: 2021.10.29.[br]日: 2021.09.12. || ||<-8> '''{{{#FFD700 특별편}}}''' || || 특별편[br],,[[https://youtu.be/oMcTKzvsZkk|예고]],, || 拈花夜话[br]심야환담[br]花香る夜語り || 春日幽铃[br]蜜饺[br]桃玖玖 ||<-2> 严有晶 || 李恩荣[br]洪锡杓[br]孙辉[br]任志江[br]张宁 || 权恩京 || 中: 2021.02.16.[br]韓: 2021.02.18.[br]韓: 2021.10.29.[br]日: 2021.09.19. || ||<-8> '''{{{#FFD700 2기}}}''' || || 제1화 || || ||<-2> || || || 中: 2023.10.18.[br]韓: 2023.10.18.[br]日: 2023.10.18. || || 제2화 || || ||<-2> || || || 中: 2023.10.25.[br]韓: 2023.10.25.[br]日: 2023.10.25. || || 제3화 || || ||<-2> || || || 中: 2023.11.01.[br]韓: 2023.11.01.[br]日: 2023.11.01. || || 제4화 || || ||<-2> || || || 中: 2023.11.08.[br]韓: 2023.11.08.[br]日: 2023.11.08. || || 제5화 || || ||<-2> || || || 中: 2023.11.15.[br]韓: 2023.11.15.[br]日: 2023.11.15. || || 제6화 || || ||<-2> || || || 中: 2023.12.06.[br]韓: 2023.12.06.[br]日: 2023.12.06. || || 제7화 || || ||<-2> || || || 中: 2023.12.13.[br]韓: 2023.12.13.[br]日: 2023.12.13. || || 제8화 || || ||<-2> || || || 中: 2023.12.20.[br]韓: 2023.12.20.[br]日: 2023.12.20. || || 제9화 || || ||<-2> || || || 中: 2023.12.27.[br]韓: 2023.12.27.[br]日: 2023.12.27. || == 평가 == [include(틀:평가/MyAnimeList, code=40730, user=8.3)] [include(틀:평가/IMDb, code=tt13375866, user=8.2)]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34908091, user=8.1)] [include(틀:평가/라프텔, code=40110, user=4.9)] [include(틀:평가/왓챠, code=tRMxXgn, user=4.5)] == 국내 방영 == 2020년 11월 10일, 1기 자막판이 [[Laftel|라프텔]]에서 먼저 오픈되었으며, 매주 월요일 밤 11시에 업데이트 되었다.[[https://twitter.com/Laftel_net/status/1325800317905117184|#]] 라프텔에서 판권을 가져온 중국 애니메이션 [[마도조사/애니메이션|마도조사]]는 현지 첫 방영 1년 4개월 후에, [[전직고수/애니메이션|전직고수]]는 현지 첫 방영 3년 3개월 후에 국내에서 방영한 반면, 천관사복은 현지 첫 방영 열흘 만에 국내 방영을 시작한 점이 특징.[* 정황상 [[레드독컬처하우스]]가 참여했기 때문에 국내 방영을 빨리하게 할 수 있게 된 듯 하다.] 이후 [[왓챠]], [[wavve|웨이브]], [[TVING|티빙]], [[Seezn|시즌]], [[네이버 시리즈온]] 등에도 자막판이 업데이트 되었다. 2021년 6월 10일, [[레드독컬처하우스]]에서 천관사복 우리말 더빙 한정판 DVD 패키지 크라우드 펀딩 소식을 알렸다. 펀딩 사이트는 [[텀블벅]]이다. [[https://tumblbug.com/gongduck|#]] 2021년 10월 29일, [[Laftel|라프텔]]에 천관사복 더빙판도 업데이트 되었다. 2022년, [[왓챠]], [[wavve|웨이브]], [[TVING|티빙]]. [[Seezn|시즌]], [[네이버 시리즈온]] 등에도 더빙판이 업데이트 되었다. 2023년 10월 14일, 최대 800명까지 참석할 수 있는 천관사복 2기 방영 기념 글로벌 팬 시사회가 [[롯데시네마 월드타워]] 8관에서 3회차에 걸쳐 개최된다. 다양한 굿즈도 증정한다. 펀딩 사이트는 [[팬딩]]이다. [[https://fanding.kr/user/reddogch/funding/246|#]] 2023년 10월 18일 21시부터 라프텔에서 천관사복 2기 자막판이 방영 중이다. == 기타 == * 유튜브에 천관사복 공식 채널이 있다. 채널명은 '[[https://www.youtube.com/channel/UCHU9N6IoYqwHkloIyExtGvQ|천관사복 한국 공덕 채널]]'. 예고편, 뮤직비디오 등을 볼 수 있다. * [[대한민국]]의 애니메이션 제작사 [[레드독컬처하우스]]와 [[씨엠씨미디어]], [[중국]]의 애니메이션 제작사 [[Studio LAN]]이 애니메이션 제작에 참여하였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천관사복, version=273)] [[분류:천관사복]][[분류:중국 애니메이션/목록]][[분류:소설 원작 애니메이션]][[분류:중국 웹 애니메이션]][[분류:BL 애니메이션]][[분류:2020년 애니메이션]][[분류:2021년 애니메이션]][[분류:2023년 애니메이션]][[분류:일본어 더빙 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