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처칠 전차)] [목차] == 개요 == [[처칠 전차]]의 운용국을 정리한 문서. == [[유럽]] == === [[서유럽]] === ==== [[영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rrickfergus Marine Gardens Churchill VII.jpg|width=100%]]}}} || || '''캐릭퍼거스 해양공원 소장 영국 육군 소속 처칠 VII "캐릭퍼거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hurchill_IV_(7527962368).jpg|width=100%]]}}} || || '''보빙턴 전차 박물관 소장 영국 육군 소속 처칠 IV "아마"''' || 원조 사용국. ==== [[아일랜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umblr_pomkjwNOCx1rkk4wr_1280.jpg|width=100%]]}}} || || '''Curragh 기병 박물관 소장 아일랜드 육군 소속 처칠 VI''' || 1949년부터 1969년까지 영국에서 수입해서 운용했다. 일부 아일랜드군 소속 처칠은 [[롤스로이스 미티어]] 엔진을 탑재하는 개수를 받았다. 1969년에 모든 처칠 전차를 퇴역했으며, 전투공병전차 및 교량전차를 제외하면 처칠 전차를 운용했던 국가들 중에서 가장 늦게까지 운용했다. === [[중부유럽]] === ==== [[나치 독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ermanchurchill-03.jpg|width=100%]]}}} || || '''디에프 상륙작전 당시 독일 국방군 제81기갑중대가 노획한 처칠 III "블론디", 1942년 8월 22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oviet_Churchill_captured_by_Das_Reich, 1943 July Kursk.jpg|width=100%]]}}} || || '''2 SS 기갑사단 "다스 라이히" 산하 기갑척탄병 연대 "Der Führer" 3대대 소속 SS 원사와 처칠, 1943년 7월 소련 쿠르스크''' || [[디에프 상륙작전]] 당시 캐나다 자치령군의 처칠을 최초로 노획했으며, 이후 [[동부전선]]에서도 소련군의 처칠을 노획해 '''Infanterie Kampfpanzer Mk IV (e) "churchill"'''라는 제식명으로 운용했다. === [[북유럽]] === ==== [[스웨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rsenalen_Tank_Museum_Churchill_Mk_III.jpg|width=100%]]}}} || || '''아르세날렌 전차 박물관 소장 처칠 III''' || 1946년 영국으로부터 1대의 처칠 III를 구매했다. 현재는 [[아르세날렌 전차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으며, 박물관 측은 해당 처칠 III는 영국군이 독일군으로부터 노획한 차량으로 추측한다. === [[동유럽]] === ==== [[소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hurchillkubinka.jpg|width=100%]]}}} || || '''애국 공원 소장 소련군 소속 처칠 VII 크로커다일''' || 250여대 정도가 [[무기대여법|렌드리스]]로 공여되었다. 처칠 전차는 소련측에게 꽤 좋은 평가를 받았는데, 소련군 보고서에 따르면 "장갑 방어력은 독일 전차와의 전투에서 높은 평가를 발휘할 것이다. 40t의 덩치에 걸맞는 맷집을 가지고 있으나 무게로 인해 야전 회수와 정비에는 어려움이 예상된다. 탑재주포의 위력은 [[KV-1]]에 맞먹는 수준이다. 속도와 항속거리는 동등한 수준이다."[* 속도는 KV-1이 카탈로그상 처칠보다 좋았으나, 실제로 야지에서 운용했을 경우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항속거리는 KV-1도 마찬가지긴 하지만, 이는 외부연료탱크를 장착한 뒤의 수치다.] 등의 적절한 평가를 받았다. 이 전차들은 다름아닌 "근위 독립 돌파 중전차연대"에 포함되어 쿠르스크 전투에까지 참여했고, 이중 47, 48 근위 독립 전차연대는 [[스탈린그라드]] 탈환작전에도 참가한 부대다.[* 소련군에서 근위는 전공 높은 부대의 명예칭호이다.] 다만 처칠 전차는 전쟁이 끝난 뒤 "반공주의자 처칠의 이름이 붙은 전차다"라며 전량 폐기당했고. 냉전이 끝날 때까지 47, 48연대의 전차종은 비밀에 붙여졌다.[* 비밀 해제 이전까지 공식 선전자료는 KV-1 전차였다고 전해졌다.] === [[남유럽]] === ==== [[이탈리아 왕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SeuHx5.jpg|width=100%]]}}} || || '''베르살리에리가 노획한 처칠 III, 1943년 튀니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talian Co-belligerent Army A22 Churchill.jpg|width=100%]]}}} || || '''이탈리아 왕립 육군 소속 처칠 VII, 1945년 5월 2일 이탈리아 카스텔 보세티''' || 연합군에 합류하기 이전에는 노획해 사용했으며, 1943년 9월 항복 및 연합군에 합류한 후에는 영국군으로부터 공여받아 사용했다. == [[아메리카]] == === [[캐나다 자치령]]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useum of the Regiments Churcill VII Crocodile.jpg|width=100%]]}}} || || '''연대 박물관 소장 캐나다 자치령 육군 소속 처칠 VII 크로커다일'''[* 드물게 6파운더가 달려있는 처칠 VII형이다.] || || [[파일:Major-General Worthington Memorial Park Churchill Mk I.jpg|width=100%]] || || '''워딩턴 소장 기념 공원 소장 캐나다 자치령 육군 소속 처칠 I''' || === [[미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hurchill_Mk_III_3.jpg|width=100%]]}}} || || '''미 육군 군사 역사 센터 소장 처칠 III''' || 1944년 워싱턴 소재 영국 보급부로부터 1대의 처칠 III를 기증받아 테스트 용도로 사용했다. 테스트 종료 이후 애버딘 박물관에 전시되었으나, 박물관이 폐관하였고, 그 이후 현재는 미 육군 군사 역사 센터 창고시설에 소장되어있다. == [[오세아니아]] == === [[호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ustralian Armour and Artillery Museum Churchill Mk VII.jpg|width=100%]]}}} || || '''호주 기갑 화포 박물관 소장 호주 육군 소속 처칠 Mk VII''' || == [[아시아]] == === [[서아시아]] === ==== [[이라크 왕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ikrit_Churchill_VII.jpg|width=100%]]}}} || || '''티크리트 인근 군사 기지에 전시된 왕립 이라크 육군 소속 처칠 VII 잔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oyal_Iraqi_Army_Churchill_VII_during_military_parade_1957.jpg|width=100%]]}}} || || '''왕립 이라크 육군 소속 처칠 VII, 1957년 이라크 왕국 군사 퍼레이드''' || === [[남아시아]] === ==== [[인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hibit-churchill.jpg|width=100%]]}}} || || '''기병전차박물관 소장 인도 제국 육군 처칠 VII''' || [[인도 제국]] 시절 영국이 공여한 처칠을 운용하였다. ==== [[파키스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akistan Armoured Corps Depot Museum Churchill VI.jpg|width=100%]]}}} || || '''파키스탄 기갑 박물관 소장 처칠 VI''' || == [[아프리카]] == === [[남아프리카 연방]]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outh_African_National Museum of Military History Churchill AVRE.jpg|width=100%]]}}} || || '''국립 군사 역사 박물관 소장 남아프리카 연방군 소속 처칠 AVRE''' ||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처칠 전차, version=857)] [[분류:처칠 전차]][[분류:전차/운용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