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JRA 중앙경마 중상경주)] ||<-3> '''Japan Autumn International[br]ジャパン・オータムインターナショナル'''[* [[JRA]]에서 매년 가을에 주최하는 국제대회 시리즈로, 챔피언스 컵 이외에도 [[엘리자베스 여왕배]], [[마일 챔피언십]], [[재팬 컵]] 등이 포함된다.] || ||<-3> '''{{{#fff チャンピオンズカップ}}} [br] {{{#fff 챔피언스 컵}}} [br] {{{#fff Champions Cup}}} [br] '''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LemonPopChampionsCup.jpg|width=500%]] [br] '''[[2023년]] 우승마 [[레몬 팝]]'''}}} || ||<-2> 개최국 ||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일본]] || ||<-2> 주최 || [[일본중앙경마회]] || ||<-2> 개최지 || [[주쿄 경마장]] || ||<-2> 창설 || [[2000년]] [[11월 25일]] || ||<-3> '''{{{#fff 2021년 경주 정보}}}''' || ||<-2> 거리 || 더트 1800m 좌회전 ([[https://youtu.be/dP3d9LZm81Q|코스 영상]]) || ||<-2> 등급 || G1 || ||<-2> 상금 || 1착 1억 엔 || ||<-2> 출주조건 || [[서러브레드]]계 3세이상 (국제, 지정) || ||<-2> 부담중량 || 정량 (3세 57kg, 4세이상 58kg, 암말 2kg 감량) || ||<-3><:> [[https://jra.jp/keiba/program/2021/pdf/bangumi/chukyo6.pdf|'''출처 : 레이와 3년 제 6회 주쿄 경마 프로그램 (PDF)''']] || ||<-3> '''레이스 레코드''' || ||<-3> [[크리소베릴(말)|크리소베릴]](2019년) '''1:48.5''' || [목차] [clearfix] == 개요 == [[2000년]]에 창설된 [[일본]]의 국제 [[경마]] 경주 중 하나다. [[페브러리 스테이크스]]와 함께 [[일본중앙경마회]](JRA)에서 개최하는 둘 뿐인 더트 G1 경주이자, [[타카마츠노미야 기념]]과 함께 [[주쿄 경마장]]에서 열리는 둘 뿐인 G1 경주이다. [[2020년]] 부터 본 경주의 우승마에게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열리는 국제 초청 경주인 [[사우디 컵]]의 우선 출주권이 주어지고 있다. == 우선 출주권 == 다음 레이스를 우승한 말에게 우선 출주권이 있다. * [[미야코 스테이크스]] * [[무사시노 스테이크스]] == 역사 == [[1995년]]부터 중앙경마(JRA)와 지방경마(NAR) 간의 교류가 확대되면서 이들이 함께 참여하는 더트 교류 중상 경주가 주목을 받게 되었고, 이 대회에서 활약한 경주마들이 [[아랍에미리트]]나 [[미국]]의 더트 경주에 도전장을 내미는 사례가 늘어나기 시작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일본 국내에서도 __[[재팬 컵]]에 준하는 수준의 국제 초청 경주를 더트에서도 개최하자__는 여론이 형성되었고, 이리하여 [[JRA]]에서는 [[2000년]] '''재팬 컵 더트'''라는 이름으로 대회를 창설하여 [[재팬 컵]] 전날인 [[11월 25일]], 도쿄 경마장 2100m 더트 코스에서 제1회 대회를 개최하였다. 당시 우승마는 [[윙 애로우]]였다. 이후 [[2008년]] 제9회 대회부터 개최 시기를 12월 초순으로, 개최지 및 코스를 한신 경마장 1800m로 변경 조정하였다. [[2014년]] 제15회 대회부터는 다시 개최지를 주쿄 경마장으로 변경하였고, 대회 명칭을 '''챔피언스 컵'''으로 변경, 국제 초청 비용을 지불하지 않기로 변경하면서 초청 제도도 폐지되어 현재와 같은 모습이 되었다. == 역대 우승마 == [include(틀:챔피언스 컵)] == 기록 == * 코스 레코드(주쿄 더트 1800m) - 1:48.5(제20회 우승마 [[크리소베릴(말)|크리소베릴]]) * 최다 우승마 - 2회 * [[카네 히키리]] (2005, 2008) * [[트랜센드(말)|트랜센드]] (2010, 2011) == 기타 == * [[2000년]]부터 [[2013년]]까지 국제 초청 경주[* 해외 경주마가 대회에 출주할 경우, 해당 경주마에 대한 출주 비용을 주최자([[일본중앙경마회|JRA]])가 대신 부담하는 경주를 의미한다.]였지만 이 기간동안 해외 경주마가 우승한 것은 [[2003년]] 단 한 번 뿐이었고, 그나마도 해외 경주마가 단 한 마리도 출주하지 않은 대회가 몇 차례 있었다. 결국 [[2014년]]에 초청 제도가 폐지되고 평범한 국제 G1 경주가 되었다. * [[2005년]](도쿄), [[2008년]](한신) 우승마 [[카네 히키리]][* [[후지 키세키]]의 자마이자 G1/Jpn1 통산 7승을 기록한 경주마로 한국에서는 [[런던타운]]의 아비로 많이 알려져 있다.]는 3년의 긴 기간을 두고 서로 다른 개최지에서 우승한 특이한 이력을 가지고 있다. 동 대회에서 2승을 거둔 것도 카네 히키리가 최초. 한편 2연패의 기록은 이후 [[트랜센드(말)|트랜센드]]가 [[2010년]], [[2011년]] 대회를 연속으로 우승하며 달성하였다. * 2022년 12월에는 경마 관련 게임인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의 공식 트위터에 챔피언즈 컵 개최를 [[https://twitter.com/uma_musu/status/1599237082299305984?cxt=HHwWgMCooefp0LEsAAAA|축하하는 축전 일러스트]]와 함께 이벤트 보상 소식을 알렸는데, 이 일러스트에는 2014년 우승마였던 [[홋코 타루마에(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홋코 타루마에]]의 모습을 본인과 [[스마트 팔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스마트 팔콘]], [[스페셜 위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스페셜 위크]]가 함께 감상하는 모습으로 그려졌는데, 처음엔 "[[홋코 타루마에]]야 우승마였고 [[스마트 팔콘]]도 더트 전문마니까 이해가 가는데 [[스페셜 위크]]는 왜 나온거지?"라는 의아한 시선이 많았으나, 실은 2022년 경기에는 스마트 팔콘의 자마인 오베르뉴와 스페셜 위크의 손자인 [[크라운 프라이드]]가 출전했기 때문에 함께 나온 것이라고. 경기 성적은 크라운 프라이드가 목 차이 2착, 오베르뉴는 9착으로 패배했다. 대신 직계는 아니지만 스페셜 위크를 모부로 둔 [[준 라이트 볼트]]가 우승했다. [[분류:경마 대회/일본]][[분류:일본중앙경마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