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 애니메이션 전문 채널)] [include(틀:폐국)] ||<-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챔프TV 로고.svg|height=40]]||'''{{{+1 챔프(CHAMP)}}}'''[br]{{{-1 대원방송㈜}}} ||}}} || ||<-2> {{{#fff '''개국'''}}} ||[[2005년]] [[5월 2일]] (18주년)[* 개국 18주년을 맞은 지 13일 후 폐국하였다.]|| ||<-2> {{{#!wiki style="word-break: keep-all; color: white" '''폐국'''}}} ||[[2023년]] [[5월 15일]][* 15일 24시 자정 기준으로 폐국했고 채널 변경 안내 영상이 나오고 이후 애니원으로 바뀌었다.] || ||<-2> {{{#!wiki style="word-break: keep-all; color: white" '''전신/후신'''}}} ||[[애니원]]|| ||<#5c70b6><|2> {{{#!wiki style="margin: 0 -15px" '''{{{#ffffff 방송[br]품질}}}'''}}} ||<#5c70b6> {{{#!wiki style="margin: 0 -20px" '''{{{#ffffff 화질}}}'''}}}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font-size: 0.8em;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to right, #ee6f23, #d14192, #f6ab1a, #5c70b6, #7ec042)" '''[[HD(해상도)|{{{#000000,#e5e5e5 HD 720p, FHD 1080i}}}]]'''}}} || ||<#5c70b6> {{{#!wiki style="margin: 0 -20px" '''{{{#ffffff 음향}}}'''}}} ||2채널 스테레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font-size: 0.8em;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to right, #ee6f23, #d14192, #f6ab1a, #5c70b6, #7ec042)" '''[[돌비|{{{#000000,#e5e5e5 AC-3}}}]]/[[AAC|{{{#000000,#e5e5e5 MP4 AAC}}}]]'''}}} || ||<-2> {{{#fff '''모기업'''}}} ||'''챔프비전''' {{{-2 [[CJ미디어]]([[CJ ENM|CJ E&M]]) → [[대원방송]] → [[t.cast]][br]→ [[대원방송]]}}} || ||<-3>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linear-gradient(Transparent 52.5%,#888 0%,#888 67.5%,Transparent 0%)" [[http://www.champtv.com/|[[파일:챔프TV 로고 흑백.svg|width=70]]]]{{{#!html  }}}}}}(폐쇄)[* 원래 18일 폐쇄 예정이였으나 무슨 이유에선지 하루 이틀정도 사이트가 접속되었지만 20일 밤부터 애니원 홈페이지로 [[리다이렉트]]되었다. 하지만 [[https://web.archive.org/web/20230531102809fw_/http://www.champtv.com/wagle/chat/list.asp|자유게시판(@)]]이라든지 [[https://web.archive.org/web/20230531095848fw_/http://www.champtv.com/schedule/daily/daily.asp|편성표(@)]]와 같이 '''[[딥 링크]]'''로 접속하면 여전히 접속이 가능했다. 편성표 사이트는 DB가 사라졌는지 강제로 옛날의 편성표를 보려 해도 더 이상 작동하지 않았다. 그러나 2023년 8월 3일 오후 10시 31분 기준 VoDA!라는 사이트로 연결된다.][* 과거에는 편성표를 제외한 사이트 내의 모든 미디어가 살아있었다. 회원가입도 정상적으로 되었고 한 번 로그인 시 애니원 홈페이지로 리다이렉트되는데 이때 뒤로 가기를 누르거나 다시 딥 링크로 접속하면 로그인도 정상적으로 작동되었으나 2023년 7월 28일 밤부터 오류가 났다며 홈페이지를 볼 수 없게 되었다. 2023년 8월 24일 22시 37분에 확인하니 사이트가 검색이 안 되고 VoDA!로 접속이 되지 않게 되어서 완전히 없어져버렸다.][*아카이브 [[https://web.archive.org/web/20230519175159fw_/https://champtv.com/|#]] ([[https://web.archive.org/web/20230519175159/https://champtv.com/|[[파일:Wayback Machine 로고.svg|width=50]]]], [[https://archive.li/I83mE|'''archive.today''']])] [[https://www.facebook.com/champtv0502|[[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원방송]] 계열 [[애니메이션]] 채널. 본사는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56길 19 ([[상암동(서울)|상암동]]) 소재.[* [[2005년]] [[5월 2일]]부터 [[2023년]] [[3월 19일]]까지는 챔프비전이 운영하였고, 본사도 CJ미디어 산하 시절에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 445 (구 엠넷빌딩)와 E&M 센터 완공 이후에는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산로 66, 9층, 티캐스트 산하 시절에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68, 8층 ([[신문로1가]], 흥국생명빌딩) 소재였다. 반대로 잠시 홀로서기에 들어갔던 시절에는 대원씨아이와 같이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한강대로15길]] 9-12, (한강로3가)에 소재해 있었다.] 당시 대원방송에서 두 번째로 개국했다.[* 애니원(21주년), 애니박스(16주년)] 2005년 5월 2일 0시에 개국, 런칭작은 [[강철의 연금술사(애니메이션)|강철의 연금술사 2003년판 TVA]] 1화였다.[* 애니원과 동시 방영. 캐이블에서는 런칭과 동시에 우상단 로고가 애니원(ANIONE)에서 챔프(CHAMP)로 변경되었다.] 개국 초기에 사용하던 캐치프레이즈는 '''애니메이션의 챔피언'''이었으며, 2006년 5월 채널 리뉴얼과 함께 채널 로고 디자인이 완전히 변경되며 '''ㅋㄷㅋㄷ'''[* 웃는 소리인 '''키득키득'''의 초성이다.]이 캐치프레이즈로 사용되었으며 이는 방송 중 화면 오른쪽 상단에 송출되는 채널 로고에도 그대로 붙어있었다. 하지만 2010년 4월 이후 그냥 "CHAMP" 라고만 표기되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개국 때부터 [[2014년]] [[10월]]까지는 4:3 SD로 방송하다가 2014년 11월부터 2023년 5월 14일까지는 16:9 HD로 전환해 방송 송출 로고 옆에 HD표시가 붙었다. 예) CHAMP'''[HD]'''[* 참고로 애니원도 2013년 10월 14일부터 2018년 초중반까지 HD표시가 붙혔다. 애니박스는 2012년까지 표시되었지만 로고 바뀐후엔 붙혀지지 않았다.] 폐국 전, [[대원방송]] 3개의 채널 중에서 유일하게 실시간 스트리밍과 유튜브 채널도 제공하지 않았으며[* 애니원과 애니박스는 전용 유튜브 채널이 있다.], 모바일 [[OTT]]에서의 시청 또한 불가능했다. 후술하듯 채널의 태생부터가 플랫폼 간 분쟁에서 비롯되었던 만큼 [[케이블TV|지역 케이블TV]]를 통해서만 송출되었기 때문에 당연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로 인해서 송출 기간 내내 m3u8 주소가 부재했던 채널이었다.] 다만 챔프TV에서만 방송되는 작품은 없었거니와 [[애니원]]이나 [[애니박스]] 중 하나 이상의 채널이 국내 실시간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OTT]]에서 서비스중에 있기에 큰 문제로 비화된 적은 없었다.[* [[애니원]]과 [[애니박스]]는 [[TVING]]이나 [[wavve]]를 통해 스트리밍이 제공되어 스마트폰이나 PC로도 볼 수 있다.][* 애니원과의 통합 발표 및 편성표의 동일화한 시점부터는 애니원의 스트리밍은 로고 차이만 있는 정도에서 동일하게 실시간 방송도 볼 수 있게 되었다. 후술한대로 이미 편성표도 5월 들어 통합을 앞두고 동일해지는 바람에 방송로고 차이만 존재할 뿐 애니원을 보면 챔프를 보는 것과 동일해진 상황.] 2023년 5월 15일, 애니원과 통합되면서 18년 2주만에 폐국했다.[*관련공지 [[파일:Champ폐국.jpg]]] 최후로 방영된 프로그램은 [[캐치! 티니핑]] 4화이며, 편성표에 포함되지 않은 프로그램으로 주로 지역광고 시간 등에 편성되는 시간 채우기용 짧은 애니메이션인 된다! 뭐든!이 1~8화까지 약 3~40분간 방송되었다. 폐국 후 통합 순간에는 챔프가 5월 15일 애니원으로 새롭게 시작한다는 안내문구가 나왔다. [[https://youtu.be/HZTnOUqzz38?t=42|폐국 당시 영상(챔프)]] [[https://youtu.be/oBu1CNMj3GU|폐국 당시 애니원 녹화 영상]][*주의 현재 챔프 폐국 영상으로 많이 알려져 있는 영상은 후자의 영상이나, 실제로 챔프의 폐국 당시를 녹화한 영상은 전자의 영상이다. 후자의 영상은 처음부터 끝까지 애니원으로 녹화되었다.] || [[파일:champ큐톤.jpg|width=100%]] || || 2023년 5월 14일, 폐국 직전의 큐톤표[* 큐톤표는 정확한 지역광고 송출 시간을 안내한 표이기에 지역광고가 나온 뒤에 편성된 프로그램만 나와있으므로, 정확한 당일날 편성표는 편성이 같아진 애니원 웹사이트에 들어가 확인해야 한다.][* 공교롭게도 편성표상으로 챔프의 마지막 송출 프로그램은, [[KiZmom]]의 마지막과 동일한 프로그램인 티니핑이다. 그러나 티니핑이 끝나고도 된다! 뭐든!이 1~8화까지 송출된 뒤 변경되었으므로 사실상의 마지막 송출 프로그램은 된다! 뭐든!이다.] || == 역사 == === CJ미디어 산하 === 2003년 [[CJ ENM]]의 전신인 [[CJ미디어]]가 대원방송의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3&oid=009&aid=0000331598|2대 주주]]가 되면서, 기존 [[스카이라이프]] 전용 채널이었던 [[애니원]]이 2004년부터 케이블에도 송출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후 [[케이블 방송(유선방송)|케이블 플랫폼 사업자]]와 스카이라이프 간의 갈등으로 채널 확장에 어려움이 발생하자 2005년에 케이블용 채널을 분리하기에 이르렀다.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0009570|개국 기자 간담회]]에서의 대외적 입장은 '애니원은 매니아 채널로 남기고 아동용 채널 하나 따로 만들자'였지만, 당시 치열했던 케이블 방송 진영과 위성방송 진영간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5&oid=029&aid=0000101215|경쟁을 고려하면]] 실질적으로는 플랫폼 갈등으로 인한 채널 분리로 보는 것이 타당할 듯. 2005년에 대원C&A홀딩스와 CJ미디어가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15&aid=0000796790|5:5 비율로 합작한]] '챔프비전'이 설립되었고, 5월 2일자로 케이블TV 시청자에 한해 [[애니원]]TV 채널 번호를 챔프TV가 그대로 이어받으면서 채널이 출범되었다. 실질적인 편성과 판권은 [[대원방송]]에서 관리하고 CJ는 오직 송출만을 담당하고 있었다. 그 덕분에 개국 초창기는 애니원과 비교해서 편성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두 채널에서 동시 편성된 [[강철의 연금술사(애니메이션)|강철의 연금술사,,(2003년작),,]]이 그 예. 오히려 애니박스 개국 전까지는 애니원보다 챔프쪽에 신작이 분기 단위로 먼저 편성되었는데, 주주였던 CJ미디어가 위성방송과 경쟁하는 케이블TV 진영의 선봉장이었던 영향으로 추측된다. 하지만 2006년 [[애니박스]]가 개국하며 채널들의 편성전략이 달라지게 되었다. 기존 애니원이 가지고 있었던 매니아 채널의 특성은 애니박스로 넘어갔고, 챔프는 저연령층에 조금 더 특화된 편성을 하게 된 것. [* 이 과정에서 애니원의 존재감이 많이 옅어졌다.] 특히 [[투니버스]]와의 경쟁을 위해 도배성 편성을 하게 되어 애니메이션 채널 전반에 편성 질 저하를 일으킨 주범으로 유명하다. 2008년까지만 해도 [[투니버스]]나 챔프나 비교적 균형잡힌 편성이 이뤄지고 있었는데, 2007년부터 [[일본 애니메이션]]의 시장 변화로 인해 [[아동용 애니메이션]]이 감소하고 수입이 어려워진데다 챔프가 2006년 5월부터 방영한 [[도라에몽(애니메이션)|도라에몽]]의 시청률이 높게 나오자 '''"도라에몽 편성을 높이면 그만큼 전체 [[시청률]]이 더 높아지겠다"'''라는 생각으로 2009년부터 도라에몽의 편성을 대폭 늘려버렸다. 라이벌 채널인 투니버스도 당연히 이에 맞대응하는 차원에서 같은 시기에 [[짱구는 못말려]]와 [[명탐정 코난]]의 편성을 대폭 늘려버렸다.[* 2010년 10월 10일에는 도라에몽 런칭 기념이라며 10기를 하루종일 방영하자, 투니버스도 그날 원래 예정된 편성표를 날려버리고 짱구는 못말려 10기를 전면 방송했다.(...)][* 공휴일에는 한 술 더 떠서 아예 워터마크 밑에 '''도라에몽 DAY'''라는 타이틀을 내걸고 하루 편성의 90% 이상을 도라에몽으로 돌려막았다. 몰론 [[투니버스|경쟁 채널]]도 [[크레용 신짱/애니메이션|짱구는 못말려]]로 편성표를 도배하고 '''짱구 DAY''' 타이틀을 내걸었다(...). 심지어 이 시기에 [[재능TV]]에서도 [[포켓몬스터 DP]]로 편성표를 도배했었다.][* 게다가 짱구는 못말려(TV판)가 투니버스에서 시청률이 잘 나오자 [[대원방송]]도 2008년부터 [[짱구는 못말려/극장판|극장판]]을 수입해 2009년부터 [[어린이날]], 명절 같은 [[공휴일]]은 물론 평일 저녁과 일요일 아침까지도 돌려막았다. 이때는 투니버스를 틀면 TV판 짱구가 나오고, 챔프를 틀면 극장판 짱구가 나오는 아스트랄한 상황이 펼쳐졌다...] 이때부터 두 채널의 막장 편성이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아직도 서로 경쟁 의식을 부추겨서 엎치락뒤치락하고 있다. 어쨌든 이 [[도라에몽(애니메이션)|도라에몽]] 편성 도배로 생긴 별명이 '''챔프에몽'''. 심지어 신 도라에몽 9기 방영 기념으로 신 도라에몽 시즌을 주말마다 하루종일 하나 씩 방송했다. 이러한 막장 편성으로 인해 2009년 봄 이후부터 케이블 전체 시청률 10위에도 못 드는 날이 비일비재한데다 심지어 그 해 8월 15일 도라에몽 종일 편성은 투니버스의 [[명탐정 코난]] 종일 편성에 밀려버렸다. 반면 투니버스 측은 똑같이 편성으로 욕을 먹는데도 항상 애니 채널 중에서 시청률 1위(...), [[http://gall.dcinside.com/list.php?id=radio_actor&no=64062|전체 시청률 7위]](2011년 12월 기준)를 기록했다. 그 외에도 [[투니버스]] 못지 않게 편성 관련 논란이 꽤 있는데 가장 압권인 게 2009년 4월에 일어난 '[[스튜디오 지브리]] 극장판 방영' 건이다. 이미 일정까지 다 광고해 놓았지만 첫째주 동 시간대에 나오던 [[투니버스]]의 [[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극장판|코난 극장판]]에 시청률이 몰려버리자 '''일주일만에 편성을 취소해버렸다.''' === 홀로서기 === 그러다가 [[CJ]]가 [[온미디어]]를 인수하면서 [[투니버스]]가 CJ 산하 채널이 됨에 따라 상호간 의견 충돌끝에 2011년 1월 일시적으로 대원방송이 챔프비전을 인수하게 되었다. 이 때 챔프비전도 잠시 합병, 청산됐던 것으로 추정.[* 그리고 대원방송이 챔프TV를 회수해 간 이 달 CJ미디어는 통합 출범한 CJ E&M으로 합병되었다.] === 티캐스트 산하 === 하지만 홀로서기는 생각보다 쉽지 않았고 결국 6개월도 채 안된 2011년 6월, '''[[티캐스트]]'''의 손을 잡고 챔프비전을 5:5 비율로 재설립하면서 챔프 경영/송출권을 다시 외부PP에 넘겼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92/0001982058?sid=105|#]] 물론 티캐스트는 CJ가 그랬던 것처럼 송출만 담당하며 콘텐츠 공급은 [[대원방송]]이 전담하는 형태이다. 티캐스트가 챔프를 인수한 뒤로는 편성이 조금 묘하게 변경되었다. 먼저 가장 큰 문제점이었던 [[도라에몽(애니메이션)|도라에몽]]의 빈도가 예전에 비하면 그나마 줄어들었고[* 대신에 [[짱구는 못말려]] [[극장판]]의 편성 빈도가 높아졌다(...).] 밤 10~12시 사이를 'BLUE NITE'라는 청소년 타겟 블록으로 만들어 대원의 각종 청소년향 작품들을 방영하고 있다.[* 대부분 [[애니박스]]에서 선방영된 애니들을 가져온 것.] 같은 시간대에도 저연령층 애니들 방영하는 [[투니버스]]와 비교하면 이 점은 꽤 좋게 볼 부분. 하지만 2012년 들어서 쟁여놓은 청소년용 애니가 다 떨어졌는지 블록 시간이 1시간 정도로 줄었다. 사실상 한때 애니메이션 전문 채널로 투니버스와 경쟁했었음에도 지금은 [[애니맥스 코리아|애니맥스]], [[애니플러스]]가 나타난 이후로 투니버스와 함께 몰락했다. 편성은 CJ 때와 큰 차이가 없었는데, [[강철의 연금술사 BROTHERHOOD]] [[재방송]]을 30분 앞뒤로 왔다갔다 하다가 예고도 없이 토요일로 재방일을 변경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문제는 '''이런 일이 비일비재했다는 것이다.''' 2012년 초 이후에는[* [[화질구지]]와 [[작붕]]을 자랑하는 1980년대 초반 제작분을 수입하기 시작했다.] [[도라에몽/애니메이션/해외 공개|도라에몽]]의 편성이 눈에 띄게 줄었다. 도배는 고사하고 본방 시간이 '''평일 오전'''일 정도. 애니원이나 애니박스보다 본방 시간이 시청에 불편한 시간대에 편성되는데다, 사실상 재방송 편성은 없다시피 하다. 이는 비단 매니아작뿐 아니라 [[쾌걸 조로리#s-3.1.2]]와 같은 아동용 작품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한편 도라에몽이나 [[소년탐정 김전일/애니메이션|소년탐정 김전일]] 등 일부 프로그램의 편성비율은 상당히 높다. 지상파 3사나 종편 4사의 방영작을 수입해서 송출하는 [[유료방송채널|군소 PP]] 같은 편성 전략인 셈이다. SO에 따라 챔프와 애니박스가 동시에 송출되는 지역이라면 본방 사수의 기회가 한 차례 더 주어지는 셈. 물론 100% 다 그런 건 아니고 [[블랙 잭(만화)|블랙 잭]] 등의 일부 작품은 챔프에서 미방영되거나 한참 뒤에 방영했다. [[파일:챔프태광.jpg ]][* 프로그램은 구 도라에몽 4기 43화 A파트이다.] 참고로 합병 초기엔 태광그룹 신입모집을 알리는 자막을 보냈다. === 대원방송의 챔프비전 흡수합병 === 이후 2023년 3월 대원방송이 [[티캐스트]]로부터 챔프비전의 지분 50% 및 경영/송출권을 회수하면서 챔프비전은 대원방송에 흡수합병되었다. 공식적으로 알려진 건 3월 20일.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445732?sid=101|#]] 사실 [[방송 동호인|방송 동호회]]쪽에서 관련 루머가 나흘 전인 2023년 3월 16일부터 조금씩 돌기 시작했다. 2월 27일에 [[대원방송]]이 티캐스트의 챔프비전 지분을 인수하여 3월 2일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승인이 되었고, 2023년 5월 중으로 IPTV/위성방송에만 송출되던 '''[[애니원]]과 통합'''될 예정이라는 것이다.[* 2022년 7월 경 [[니켈로디언 코리아]]가 [[KiZmom]]으로 변경되었으나 얼마 안 가 폐국이 되었고, 쉽게 말하자면 챔프채널은 [[애니원]]과 합치기 때문에 통합 및 폐국이 되는 셈이다.] 이게 딱히 말도 안 되는 이야기도 아닌 게, 챔프가 송출되지 않는 [[IPTV]]의 가입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케이블 TV와 지위가 대등해지면서 PP/SO간 우열이나 유착이 감소, 2010년대 후반 접어들어 오히려 IPTV 사업자가 케이블 TV를 인수하는 상황에서 자연스레 애니원이 챔프보다 우세를 잡기 시작했고, 홈페이지 공지사항이나 자유게시판 공식 답변들도 2월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페이스북도 3월 1일 [[도라에몽]] 생일 축하 이벤트 영상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갱신이 없는데다, 사이트 내 편성표 정보도 떴다가 안 떴다가 하면서 상태가 오락가락하기 때문. 결국, 2023년 5월 15일 월요일부터 챔프 홈페이지가 [[애니원]] 홈페이지로 통합 운영되면서 폐국 및 통합된다는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417/0000921048|관련기사]]가 2023년 4월 21일에 게시되었다. 이렇게 되면 챔프TV는 2005년 5월 2일 0시 [[강철의 연금술사(애니메이션)|강철의 연금술사]] 1화 방영과 함께 런칭된 이후 18년(+2주)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이는 폐국하는 아동, 애니메이션 채널 중에서는 최장수로 이미 이전에 가장 오랜 기록을 했던 [[니켈로디언 코리아]]의 기록을 넘는 상황이다. 니켈로디언이 [[키즈맘]]의 9개월의 역사까지 통합해도 기록을 깬 것은 분명하다.][* 니켈로디언만은 16년 8개월 통합은 17년 4개월(+ 4주) 또는 17년 5개월. 최소 7개월 이상 최대 1년 4개월(+ 2주)] 통합 준비 영향이었는지, 2023년 5월에는 [[애니원]]과 챔프TV가 채널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편성표가 동일하게 운영되는 등, 본격적인 통합 준비에 나서는 행보를 보였다.[* 전술한대로 이 때문에 스트리밍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편성표 통합시점부터는 [[애니원]]의 스트리밍을 보면 로고차이만 존재할 뿐 챔프TV와 동일한 방송을 볼 수 있었다.] || [youtube(HZTnOUqzz38, start=42)] || [youtube(oBu1CNMj3GU)] || ||<-2> 폐국 당시 영상(좌측 챔프, 우측 애니원) || == 역대 로고 == || [[파일:챔프TV 로고(2005-2006).svg|width=90%&theme=light]][[파일:챔프TV 로고(2005-2006) 화이트.svg|width=90%&theme=dark]][* [[https://www.youtube.com/watch?v=rCSIjWeaJBc&pp=ygUQ7LGU7ZSEdHYgMjAwNSBpZA%3D%3D|해당 로고가 적용된 ID 영상]]] || [[파일:ㅋㄷㅋㄷ CHAMP 로고.png|width=90%]][* 2006년 5월 2일 개국 1주년을 맞아 새롭게 선보인 로고. [[https://www.etnews.com/200604240229?m=1|#]] 챔프TV의 그나마 전성기였던 시절이었다. 참고로 채널 ID 리뉴얼을 하게 되면서 채널 마스코트를 적절히 활용하여 자체 아이덴티티 영상을 만들었는데, 배경이 파주 영어마을이다(...)] || [[파일:챔프TV 로고.svg|width=90%]] || || '''개국 초기 로고 (2005~2006)'''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to right, #ee6f23, #d14192, #f6ab1a, #5c70b6, #7ec042)" '''ㅋㄷㅋㄷ 캐치프레이즈 당시 로고[br](2006~2010)'''}}}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to right, #ee6f23, #d14192, #f6ab1a, #5c70b6, #7ec042)" '''중후반기 로고[br](2010~2023)'''}}} || == 특징 == 특성상 판권 문제가 없다면 [[애니원]]과 [[애니박스]]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을 모두 볼 수 있다. [[슈퍼전대 시리즈]]와 [[가면라이더 시리즈]] 같은 [[특촬물]]이 대원으로 판권이 넘어간 이후 꾸준히 수입하며, [[프리큐어 시리즈]] 역시 매년 방영해주고 있다.[* 대개 초/중반기는 [[가면라이더 시리즈|가면라이더]]와 [[프리큐어 시리즈|프리큐어]], 중/후반기는 [[슈퍼전대 시리즈|슈퍼전대]]를 방영한다.] SO에 따라 챔프와 애니박스가 동시에 송출되는 지역이라면 본방 사수의 기회가 한 차례 더 주어지는 셈. 물론 100% 다 그런 건 아니고 [[블랙 잭(만화)|블랙 잭]] 등의 일부 작품은 챔프에서 미방영되거나 한참 뒤에 방영했다. 그 예로 상술한 것처럼 블랙 잭이 애니원과 애니박스에서 방영된지 한참 뒤인 2022년 11월에 방영했다.[* 그런데 원래 자정이었다가 김전일에 밀려서 [[암흑 시간대|새벽 2시에 방영하고]], 전체 62회차임에도 16회차까지만 방영한 후 더 방영하지도 않았다. 이는 아래에서 언급한 문제점도 있고, 챔프에서 방영할 즈음엔 한국 타채널 막방을 기준으로 해도 거진 13년 된 옛날 애니다 보니 꽤 박한 취급을 받았을 것이다. --이럴거면 방영을 하질 말던가--] 다만 이런 애매한 채널 입지와 애니원만 나오는 [[IPTV]]의 점유율이 챔프만 나오는 케이블TV의 점유율을 따라잡은 탓에 2010년대 후반부터 [[대원방송]] 신작 편성 푸쉬가 없다시피하고 있다. 애니원이나 애니박스보다 본방 시간이 시청에 불편한 시간대에 편성되는데다, 사실상 재방송 편성은 없다시피 하다. 이는 비단 매니아작뿐 아니라 아동용 작품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반면, [[도라에몽(애니메이션)|도라에몽]]이나 [[소년탐정 김전일/애니메이션|소년탐정 김전일]] 등 일부 프로그램의 편성비율은 상당히 높다. 지상파 3사나 종편 4사의 방영작을 수입해서 송출하는 [[유료방송채널|군소 PP]] 같은 편성 전략인 셈. 이것의 연장선으로 ID나 NEXT, 연령고지 영상 등의 채널 디자인도 2015년에 10주년을 기념해 바꾼 뒤로 2023년 애니원과 채널을 통폐합할 때까지 무려 '''8년'''간 지독하게 사골 우려먹듯이 우려먹었다.[* 무려 8년이나 같은 채널 디자인을 고수하다보니 챔프도 채널 디자인을 리뉴얼 및 개선을 진행했으면 좋겠다는 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이미 통폐합으로 물건너간 이야기--] 애니박스나 애니원은 챔프에서 채널 디자인 8년 우려먹을 때 최소 3~4번 채널 디자인 변경을 했던 것을 보면 챔프가 IPTV 점유율 상승 이후 채널 규모가 꽤 줄었음을 체감할 수 있다. 과거 2005~2008년, 2021년 기준으로 챔프 뮤직이라고 뮤직 방송들도 했다. 대표적으로는 [[한나 몬타나]]의 RookStar, [[방탄소년단]]의 다이너마이트, [[폴 아웃 보이]]의 곡 등을 방영했던 애니들로 뮤직송으로 만들었다. 여담으로, 2007~2009년까지의 연령고지를 보면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EE6F23 C}}}{{{#D14192 H}}}{{{#F6AB1A A}}}{{{#5C70B6 M}}}{{{#7EC042 P}}} 철자가 무서워하는 모습이 있다. [[전체 이용가|전체 시청가]]는 무서워하지 않고, [[7세 시청가]]는 엎드려 자고, [[12세 시청가]]는 그냥 도망치거나 {{{#F6AB1A A}}}만 바들바들 떨고, [[15세 시청가]]는 {{{#F6AB1A A}}}{{{#5C70B6 M}}}{{{#7EC042 P}}}만 바들바들 떨고, [[청소년 이용불가|19세 시청가]]는 모든 철자가 바들바들 떤다. 2023년까지는 연령고지와 내레이션이 나왔는데 "이 프로그램은 ~세이상만 시청이 관람이 가능하며 보호자의 시청 지도가 필요한 프로그램입니다."[* 19세 시청가는 "19세 미만 청소년이 시청이 불가능하며 부적절한 내용이 있습니다."라고 내레이션이 나온다.], 전체 시청가는 빨간색과 노랑 물감 방울들이 움직이고 7세와 12세 시청가는 큰 물방울들이 비치고, 15세 시청가는 15 부분에 물방울이 위에 있다. 19세 시청가는 보라색으로 19세 마크가 써져있고 배경이 붉은 세포들같은 배경과 계란이 깨지고 노른자가 두 개로 분열이 된다...[* 2023년까지 19세 시청가들은 [[기생수/애니메이션|기생수]], [[이토 준지 컬렉션]], 마지막으로 19세는 2022년 기준의 새벽 2시 [[베르세르크: 황금시대 편]] 작품으로 과거보다 훨씬 많이 줄어들었다.] [[https://m.youtube.com/watch?v=57_Wcq-rqAs|챔프TV의 2005~2023년 연령고지 변천사]] 특이하게도 등기 사항을 조회해 보면 합성수지, 의류, 문구류, 금속공예품 등의 판매업 허가를 받았었다. 아마 챔프비전의 경영권을 갖고 있던 [[티캐스트]]의 모기업인 [[태광산업]] 때문일 가능성이 높아보인다.--CJ 산하 시절에는 설탕 판매업 허가를 받았을까?-- == 관련 문서 == * [[대원미디어]] * [[대원방송]] * [[애니원]] * [[애니원 슈퍼스타 대회]] * [[애니박스]] * [[대원방송 성우극회]] * ~~[[전속 시리즈]]~~ == 관련 인물 == * [[곽영재]] * [[김정규]] * [[김정령]] * [[서정은(PD)|서정은]] * [[심상백]] * [[심상보]] * [[최옥주]] * [[황태훈]] * [[오경석(PD)|오경석]] == 둘러보기 == [include(틀:대원방송의 채널 목록)] [[분류:대원방송]][[분류:애니채널]][[분류:2005년 설립]][[분류:2023년 해체]][[분류:대한민국의 없어진 채널 및 방송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