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채기목}}}'''[br]'''蔡基穆'''}}}}}} || || '''창씨명''' ||모바라 키보쿠(茂原基穆) || || '''자 / 호''' ||경문(敬文) / 소산(素山) || || '''본관''' ||[[채(성씨)|인천 채씨]][* 소감공파(少監公派)-인천군 종파(仁川君宗派) 28세 기(基) 항렬.] || ||<|2> '''출생''' ||[[1883년]] [[5월 11일]][* 인천채씨족보 제4권 617쪽에는 1882년 5월 10일에 태어난 것으로 등재되어 있다.] || ||[[경상도]] [[풍기군]] 서부면 고로촌리[br](現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서부리 한림촌마을 5번지) || || '''사망''' ||[[1962년]] [[10월 23일]][* 인천채씨족보 제4권 617쪽에는 1957년 8월 24일에 별세한 것으로 등재되어 있다.] || || '''묘소''' ||[[경상북도]] [[영주시]] [[봉현면]] 두산리 수용골마을 || || '''상훈''' ||대통령표창 추서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2020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 생애 == 1883년 5월 11일 경상도 풍기군 서부면 고로촌리(現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서부리 한림촌마을 5번지)에서 아버지 채장환(蔡章煥, 1809. 1. 5 ~ 1909. 1. 3)과 어머니 [[양천 허씨]](? ~ ?. 11. 29)[* 허문(許汶)의 딸이다.] 사이의 3남 2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1915년 7월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부]] 달성정(現 [[대구광역시]] [[중구(대구)|중구]] 달성동) [[달성공원]]에서 [[박상진]]·[[채기중]] 등이 조직한 비밀결사 대한광복회에 회원으로 가입해 주로 군자금 모집 활동에 참여했다. 이후 1918년 1월 24일 [[충청남도]] [[아산시|아산군]]에서 광복회원 [[김한종]]·[[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8969|장두환]](張斗煥)의 지시하에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8955|임봉주]](林鳳柱)·[[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267|김경태]](金敬泰) 등이 [[도고면]]장을 지낸 박용하(朴容夏)에게 「사형선고문」을 읽게 한 뒤 총살한 사건이 벌어진 직후 관련자라는 이유로 체포되었다. 1918년 4월 23일 소위 보안법 위반 및 [[강도죄|강도]]·[[살인죄|살인]]·[[공갈죄|공갈]] 등의 혐의로 구류되었다가, 4월 30일 공주지방법원 검사국에서 같은 혐의에 대해 [[불기소처분]]을 받고 출옥했다. 출옥 후에는 은거하다가 1962년 10월 23일 별세했다. 2020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대통령표창에 추서되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영주시 출신 인물]][[분류:인천 채씨]][[분류:1883년 출생]][[분류:1962년 사망]][[분류:대통령표창(독립유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