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wiki style="margin: -0px -5px;" [[싱가포르 MRT|[[파일:싱가포르 MRT 로고.svg|height=50&align=left]]]]}}}[[싱가포르 MRT|{{{#facb29 싱가포르 MRT}}}]][br]{{{#fff '''{{{+2 창이공항}}}'''}}}|| ||<:><-2> [[파일:싱가포르 MRT 1호선.svg|height=15px]][* 본선 투아스링크역까지 직통으로 운행하는 열차는 없으며, 타나메라역에서 환승해야 한다.][br][[타나메라역|{{{-2 {{{#585858,#dddddd 타나메라 방면}}}}}}]][br][[엑스포역(싱가포르)|엑스포]][br]← 4.5 ㎞||<-2><:>[[싱가포르 MRT 동서선|{{{#ffffff 창이공항 지선[br]{{{-2 (CG2)}}}}}}]]||<:><-2>[[파일:싱가포르 MRT 3호선.svg|height=25px]] ---- {{{#585858,#dddddd 시종착}}}|| ||<-6> [include(틀:지도, 장소=Changi Airport MRT Station, 너비=100%, 높이=300px)] || ||<-6> {{{#fff '''다국어 표기'''}}} || ||<-2> 영어 ||<-4> Changi Airport || ||<-2> 중국어(간체) ||<-4> 樟宜机场 || ||<-2> 타밀어 ||<-4> சாங்கி[br]விமானநிலையம் || ||<-6> {{{#fff '''주소'''}}} || ||<-6> 70 Airport Boulevard[br]Singapore 819661 || ||<-6> {{{#fff '''승강장 구조'''}}} || ||<-6> 복선 [[섬식 승강장]] || ||<-6> {{{#fff '''운영 기관'''}}} || ||<-6> [[SMRT#s-2.1|SMRT Trains]] || ||<-6> {{{#fff '''개업일'''}}} || ||<-6> [[2002년]] [[2월 8일]] || [[파일:ewl_cg2_mar16-15.jpg|width=60%]] [목차] [clearfix] == 개요 == [[싱가포르 창이 공항]]과 연결돼있는 역이다. 이 역에서 지하철을 타고 시내로 갈 수 있다.[* 소요시간은 시티홀 및 부기스 일대가 30분, 오차드 로드와 [[차이나타운]] 일대가 35분-40분 정도 소요된다.] 역번호는 CG2이다. [[싱가포르 MRT]] 동서선의 지선이 2001년 [[엑스포]]역이 개업한데 이어 [[2002년]]에는 창이공항으로 연장되었다. 사실 [[1980년대]] 초에 건설 당시 계획에 따르면 이역은 원래 [[1990년대]] 초반에 개통해야 되었다만 수요 저조로 폐기되었고 타나메라 및 탬피니스 역에서 셔틀버스가 다니다가 [[1990년대]] 중반에 창이공항 수요가 늘자 부활해 [[2002년]]에 개통하게 된 것이다. 이 역은 공항지선에서 유일하게 지하역이며 제1/2/3터미널과 바로 이어져 있어서 걸어서 양 터미널을 갈 수 있도록 되있다. 제4터미널은 혼자 뚝떨어져 있어서 셔틀버스를 이용해야 한다. 이러한 구조는 [[싱가포르항공]] 및 [[스쿠트항공]]을 이용할 경우엔 굉장히 유리하지만 [[대한항공]], [[캐세이퍼시픽]]을 이용할 때는 굉장히 불리해지는데 싱가포르 국적사인 싱가포르항공과 자회사 [[저가 항공사]]인 스쿠트항공은 프리미엄이 있어 제1/2/3터미널에 우선권이 주어지지만 대한항공과 캐세이퍼시픽은 외항사로서 한참 밀려서 제4터미널을 이용하기 때문이다. == 연장 == 창이 공항 역 이후로는 아무리 연장해봤자 공항 시설물이나 농장 그리고 [[싱가포르 해군]]이 사용하는 창이 해군기지밖에 없고 더 나아가면 바닷가이기에 연장 계획은 없다고 본다. 애초 더 연장하려고 해도 할만한 곳이 없다. 해변 휴양지 창이비치가 있지만 창이비치는 파시르 리스 역에서 접근성이 더 편리하다. 물론 [[싱가포르 MRT 톰슨-이스트코스트선|톰슨-이스트코스트선]]이 최종 목적지인 [[싱가포르 창이 공항|창이 공항]] 5터미널까지 개통된다면 창이공항 지선은 톰슨-이스트코스트선으로 변경될 예정이다. 이렇게 되면 공항지선의 배차간격도 줄어들어 편리한 이용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현 공항지선은 출발역인 타나메라에서 단선이라서(...) 배차간격을 늘리기 어렵다. [[경의중앙선]]이 용산-성북 간 [[경원선]] 국철이던 시절 [[용산역]]과 같은 상황인데 그때 용산역의 경원선 전철 선로도 단선이라 이 노선의 배차간격이 30분까지 벌어졌다.] == 승강장 == === MRT 동서선 === [[파일:CG2_Changi_Airport_MRT_Platform_B_(new_sigange)_20230601_184828.jpg|width=60%]] ||<-4> ↑ [[엑스포역(싱가포르)|엑스포]] ↑ || || ㅣ || {{{#ffffff B}}} || {{{#ffffff A}}} || ㅣ || ||<-4> 종착역 || || {{{#ffffff A}}} ||<|2> [[싱가포르 MRT 동서선|MRT 동서선]] ||<|2> [[엑스포역(싱가포르)|엑스포]]·[[타나메라역|타나메라]] 방면 || || {{{#ffffff B}}} || || 역을 지나면 바로 종점이기에 도착하기 전에 X자형 급곡선이 존재하며, 열차는 역에서 바로 회차한다. 열차는 엑스포 방면으로 운행하여 타나메라 역에서 합류한다. 2면 3선의 타나메라 역에서 중선에 정차하고 양쪽 문을 열게 되므로 본선 양 방향으로 탑승할 수 있다. == 여담 == [[2019년]] 까지는 하루 평균 1만여 명이 이용했지만 [[코로나바이러스-19]] 판데믹 때문에 [[2020년]] 기준으로 하루에 4799명이 이용하는데 그쳤다. 그러나 [[2021년]] 싱가포르가 아시아 최초 위드 코로나를 선언하며 [[트래블 버블]]을 시작해 승객 수가 급속히 회복되기 시작했으며 [[2022년]]~[[2023년]] 탈코로나 시대로 판데믹이 종식되자 이제는 예전 숫자를 회복하였다. [[분류:싱가포르의 철도역]][[분류:2002년 개업한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