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05년부터 2012년까지 운행했던 노선, rd1=창원 버스 114(폐선))] [include(틀:창원시의 간선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운_1350_114.jpg|width=100%]]}}}||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창원시 CI_White.svg|width=25]] {{{#ffffff 창원시 간선버스 114번}}} || ||<-2> 기점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삼계리(안계초등학교) ||<-2> 종점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성주동(불모산종점) || ||<|2> 종점행 || 첫차 || 05:15 ||<|2> 기점행 || 첫차 || 05:00 || || 막차 || 22:31 || 막차 || 22:52 || ||<-2> 배차간격 ||<-4> 12~14분 || ||<-2> 운수사명 || [[대운교통]], [[대중교통(창원)|대중교통]] ||<-2> 인가대수 || 17대 || ||<-2> 노선 ||<-4> 안계초등학교 - 삼계대동아파트 - 한우리아파트 - 삼계롯데마트 - 장미아파트 - [[내서중학교(창원)|내서중학교]] - 청아병원 - [[중리역]] - 중리삼거리 - 마재고개 - 내서초등학교 - 회성동행정복지센터 - 서마산시장 - 석전사거리 - 회산교 - 북마산가구거리 - 부림시장 - [[마산 어시장|어시장]] - 자유무역지역정문 - [[신세계백화점]] - 자유무역지역후문 - 봉암공단입구 - 정다운요양병원 - 자유무역지역2공구 - 봉암교 - 유신상가 - 신촌동성아파트 - 양곡중학교 - 웅남소방파출소 - [[한국철강]] - 창곡삼거리 - [[충혼탑#s-6]] - [[창원문성대학교]] - [[창원종합운동장]].노블파크아파트 - [[창원중앙고등학교]] - 정우상가 - 중앙동 - [[KB국민은행|국민은행]] - 경창상가 - 상남대우아파트 - 상남꿈에그린아파트 - [[창원남중학교|창원남중]] - 가음정사거리 - 남산버스정류소(남산공원환승센터) - 성산구청 - [[창원경상국립대학교병원|창원경상대학교병원]] - [[한국전기연구원]] - [[성주공영차고지|불모산종점]] || == 개요 == 창원시 간선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74.5km다. == 역사 == * 2023년 6월 10일에 [[창원 버스 112|112번]]과 [[창원 버스 116|116번]]을 통합하여 신설되었다. * 2023년 8월 26일부로 충혼탑, 정우상가, 중앙동, 상남꿈에그린 경유에서 창원대로 경유로 바뀌고, 종점이 청솔아파트로 바뀔 예정이다. 그리고 10대가 감차될 예정이다. 변경 구간은 다시 신설되는 116번이 맡게 될 예정이다. == 특징 == * [[서마산IC]]와 [[마산고속버스터미널]] 사이의 구간을 [[굴곡 노선/버스|V자로 크게 우회하여 돌아가는 것]]이 특징이다. 때문에 다른 110번대 노선과 달리 [[내서읍]]과 [[성산구]]를 오가는 수요는 거의 없고, 내서읍에서 어시장 및 부림시장을, 옛 창원에서 어시장 및 부림시장을 오가는 구간수요로 운영되고 있는 노선이다. * 이런 V자 우회 선형은 통합 전 [[창원 버스 112|112번]]의 노선 특징을 그대로 가져온 것인데, 본래 [[2005년]] 6월 전면 개편 당시 내서읍과 수출후문, 봉암교 일대를 운행하던 유일한 일반 노선인 112번을 보완 개편 과정에서 어시장과 부림시장을 찍고 돌아오는 V자 선형으로 바꿔버리는 바람에 내서읍 주민들로부터 민원이 빗발쳐 급히 신설한 것이 [[창원 버스 116|116번]]이었다. 그러나 이 두 노선이 114번으로 통합되고 선형 또한 기존 112번의 V자 선형으로 확정되어 내서읍과 자유무역지역후문 및 봉암교를 바로 잇는 일반 노선이 도로 사라지게 되어 18년 전과 마찬가지로 반발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결국 창원시에서 2023년 8월 26일부로 [[창원 버스 116|116번]]을 부활시키면서 내서읍과 자유무역지역후문 및 봉암교를 바로 잇는 특성을 유지하되 구 창원 지역 노선 부분을 2023년 8월 25일까지의 114번과 비슷하게 상당히 변형시킨 형태로 적용했다. * 내서읍과 웅남동 일대를 잇는 유일한 일반 노선이다. 좌석버스까지 포함하면 [[창원 버스 3002|3002번]]이 있지만 급행좌석 노선으로 유신상가, 양곡상가 정류장에만 정차한다. * 선형이 [[창원시 시내버스/2005년 개편 전 목록/10번대#s-22|구 18-1번]]과 상당히 유사하다.[* 차이점은 윗·아랫구슬골(18-1번)/중리삼거리(114번), 육호광장(18-1번)/회산교(114번), 대동백화점 및 장미공원(18-1번)/중앙동 및 창원남중(114번) 경유 차이와 양곡동 내부 경유 유무(18-1번은 미경유, 114번은 경유) 차이 등이 있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60]] 일반 철도역: [[중리역]](무궁화호) == 둘러보기 == [include(틀:남산버스정류소 경유 시내버스)] [[분류:창원시의 간선버스]][[분류:2023년 개업한 버스 노선]]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창원 버스 114(폐선), version=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