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창덕궁)] ---- ||<-3> [[파일:정부상징.svg|width=22]] '''[[대한민국의 사적#s-2|{{{#f39100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 ||<-3> {{{#ffd700 {{{+1 '''창덕궁 평원루'''}}}[br]{{{-1 昌德宮 平遠樓}}}}}}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상량정, 너비=100%, 높이=100%)]}}} || ||<-2> {{{#ffd700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서울)|율곡로]] 99 ([[와룡동(종로구)|와룡동]] 2-71번지) || ||<-2> {{{#ffd700 '''건축시기'''}}} || [[1830년]] ~ [[1849년]] 사이 {{{-1 (창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상량정.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상량정.jpg|width=100%]]}}} || || {{{#gold ''' 평원루[* 첫번째 사진 출처 - [[카카오맵]].[br][[http://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6411459&ccbaKdcd=12&ccbaAsno=17640000&ccbaCtcd=11|두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창덕궁 낙선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aAVweHfYQs)]}}} || || {{{#gold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3D 영상'''}}} || [목차] [clearfix] == 개요 == [[창덕궁 낙선재|창덕궁 낙선재 구역]]에 있는 [[정자(건축물)|정자]]이다. 낙선재의 서북쪽, 승화루의 동쪽에 있다. [[창덕궁 한정당|한정당]], [[창덕궁 취운정|취운정]]과 더불어 낙선재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있다. == 이름과 현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평원루 현판1.pn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상량정 현판.png|width=100%]]}}} || || {{{#gold '''평원루 현판[* [[https://www.gogung.go.kr/mob/issueCultureView.do?pageIndex=1&bbsSeq=5608&searchGubun=ALL&searchText=%ED%8F%89%EC%9B%90%EB%A3%A8|사진 출처 - 국립고궁박물관.]]]'''}}} |||| {{{#gold '''상량정 현판[* [[http://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jsessionid=HbY4KVUrHXCxQXawdmkzsbHfFBD1PoTOitE2nQlPqABlBeuc49VwMVWlhYIoARaL.cha-was02_servlet_engine1?newsItemId=155687391§ionId=ocp&pageIndex=11&mn=NS_01_02&strWhere=&strValue=&sdate=&edate=|사진 출처 - 문화재청 《궁궐의 현판과 주련-창덕궁_낙선재 권역 2》. ]]]'''}}} || 현재 이름은 '상량정(上凉亭)'이다. '상량(上凉)' 뜻은 '시원한 곳(凉)에 오르다(上)'이다. 높은 지대에 있어 붙은 이름인 듯 하다. [[순종(대한제국)|순종]] 시기에 만든 《동궐도형》에 평원루로 나온 것을 보아 [[일제강점기]]에 지금 이름으로 바꾼 듯하다. 일단 이 문서에서는 원래 이름인 '평원루'로 표기했다. 평원루 [[현판]]은 [[청나라]]의 서예가, 문인이었던 옹방강의 아들 옹수곤(翁樹崑, 1786 ~ 1815)의 글씨를 모아 만들었으며,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보관 중이다. 지금 평원루에 걸어 둔 상량정 현판 [[글씨]]는 [[전통]] 방식과 다르게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여있다. == 역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조선고적도보 상량정.png|width=100%]]}}} || || {{{#gold '''일제강점기에 만든 《조선고적도보》에 실린 평원루'''}}} || 언제 지었는지 모른다. 1828년 ~ 1830년 사이에 그린 《[[동궐도]]》에는 보이지 않으나, 1849년([[헌종(조선)|헌종]] 15년)에 [[창덕궁 낙선재|낙선재]]를 방문한 [[화가]] 소치 허련이 남긴 [[기록]]에는 나오므로, 그 사이에 지은 듯 하다. 이후 큰 변화 없이 몇 번의 [[수리]]를 거쳐 오늘에 이른다. == 구조 == * 자세한 내용은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rbh54&logNo=90195075700&parentCategoryNo=171&categoryNo=&viewDate=&isShowPopularPosts=true&from=search|이 포스팅]]을 참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상량정 서고.png|width=100%]]}}} || || {{{#gold ''' 평원루 서고[* 사진 출처 - [[카카오맵]].] '''}}} || 건물 북쪽에는 [[단청]]을 칠하지 않은 11칸 짜리 [[창고]][* 《동궐도형》에 따르면, 원래는 동남쪽에 3칸이 더있어 14칸이었다.]가 있고 동, 서, 남쪽에 [[담]]이 있다. [[문]]은 동남쪽과 서쪽에 각각 하나씩 있다.[br]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만월문과 꽃담.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창덕궁_낙선재_꽃담.jpg|width=100%]]}}} || || {{{#gold ''' 만월문과 꽃담[* [[http://www.cdg.go.kr/cms_for_cdg/process/photo/view.jsp?nowPage=1&show_no=28&check_no=5&c_relation=55&c_relation2=117&c_no=134#none|첫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창덕궁관리소: 사진 자료실 〈창덕궁의 가을〉.]][br][[http://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6411452&ccbaKdcd=12&ccbaAsno=17640000&ccbaCtcd=11|두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창덕궁 낙선재.]]] '''}}} || 그 중 [[벽돌]]로 만든 서쪽의 만월문(滿月門)이 유명하다. 다른 궁궐 문과 다른 점이 많기 때문이다. 출입구가 [[보름달]]처럼 둥글며 문짝은 미닫이 형식이다. 이런 모습은 현재 궁궐 문 중에서는 유일하다. 또한 [[문]] 양 옆 [[담]]에 벽돌 문양을 넣어 아름답게 만들어놓았다. 특히 만월문에서 바라본 상량정 풍광은 마치 한 폭의 그림같은 모습이다. 만월문을 지나면 [[창덕궁 중희당#s-5.3|승화루]] 뒤뜰이 바로 나온다. == 여담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통일정.png|width=100%]]}}} || || {{{#gold ''' 통일정[* [[https://newsis.com/view/?id=NISX20201115_0001234158&cID=10701&pID=10700|사진 출처 - 〈뉴시스〉]]] '''}}} || 2015년 11월에 [[독일]] [[베를린]] 포츠담광장에 세웠던 [[정자(건축물)|정자]] 통일정은 평원루를 본따 만든 것이다. [[분단]]되었던 [[독일 재통일|독일이 통일한 것]]처럼 [[한국]]도 [[남북통일|통일하길]] 바라는 뜻에서 지은 것이라고 한다.[[http://m.kmib.co.kr/view.asp?arcid=0923333661&code=13110000&sid1=sp|#]] 《[[꽃보다 할배 리턴즈]] - 감독판》에서도 나왔다.[[http://www.topstar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470525|#]] 2020년 11월에 설치 기한 만료로 [[주독일 대한민국 대사관]] 경내로 옮겼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장락문에서 본 평원루.png|width=100%]]}}} || || {{{#gold '''장락문에서 본 평원루'''}}} || [[창덕궁 낙선재|낙선재]] 정문 장락문에서 바로 보인다. 장락문 틀을 [[액자]] 틀로 생각하고 보면 그야말로 한 폭의 그림이 따로 없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oZxoTyr61k)]}}} || || {{{#gold '''〈창덕궁 달빛기행〉 영상'''}}} || 〈창덕궁 달빛기행〉 코스 중 한 곳이다. 상량정에서 [[대금]] 연주를 들으며 밤하늘의 달빛을 감상하는 낭만을 즐길 수 있다. == 매체에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만월문 세트.png|width=100%]]}}} || || {{{#gold '''용인대장금파크에 있는 만월문 세트'''}}} || 평원루가 나온 적은 없지만, 위에 언급한 만월문은 [[세트]]로 재현한 모습으로 여러 [[사극]]에 등장했다. MBC에서 만든 사극 촬영장 [[용인대장금파크]]에 있다. [[창작물의 반영 오류|그런데 벽돌 색이 경복궁 교태전 꽃담 색인 황토색이며 무늬도 다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창덕궁 낙선재, version=116)] [[분류:창덕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