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창덕궁)] ---- ||<-3> [[파일:정부상징.svg|width=22]] '''[[대한민국의 사적#s-2|{{{#f39100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 ||<-3> {{{#ffd700 {{{+1 '''창덕궁 취한정'''}}}[br]{{{-1 昌德宮 翠寒亭}}}}}}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창덕궁 취한정, 너비=100%, 높이=100%)]}}} || ||<-2> {{{#ffd700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서울)|율곡로]] 99 ([[와룡동(종로구)|와룡동]] 2-71번지) || ||<-2> {{{#ffd700 '''건축시기'''}}} || 창건시기 미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취한정.png|width=100%]]}}} || || {{{#gold ''' 취한정[[http://www.heritage.go.kr/heritage/heritage_pop/detailImgPop.jsp?gung_number=2&file_name=img_changdeok_qstory_bg_05_00.jpg|#]]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fn10s0YPXo)]}}} || || {{{#gold '''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3D 입체 영상. 소요정, 농산정, 취규정, 청의정, 태극정과 같이 소개한다. '''}}} || [목차] [clearfix] == 개요 == [[창덕궁]] [[후원]]의 [[정자]]이다. [[창덕궁 취규정|취규정]]과 [[창덕궁 옥류천|옥류천]] 사이에 있다. 임금이 옥류천 [[우물]]에서 [[약수]]를 마시고 돌아갈 때 잠시 쉴 수 있도록 만든 정자이다. == 이름 == '취한(翠寒)' 뜻은 --술먹고 취하는 게 아니고-- '푸르고(翠) 춥다(寒)'이다. '취'는 '[[비취]]'란 뜻인데 여기서는 의미가 넓어져 비취색, 즉 [[푸른색]]을 나타낸다. '푸른 나무들(蒼翠)이 추위(寒)를 업신여긴다(凌)'는 뜻의 [[사자성어]] '창취능한(蒼翠凌寒)'에서 이름을 따왔다. 지금은 취한정 주변에 [[느티나무]]가 무성하지만 예전에는 [[소나무]]가 울창했다. 그래서 여름에도 시원했으며 심지어는 서늘하기까지 했다고 한다. 그런 의미로 붙은 이름이다. == 역사 == 지은 때는 정확히 모르나, [[숙종(조선)|숙종]]이 취한정을 주제로 시 《취한정제영(翠寒亭題詠)》를 지은 것을 보아 숙종 때나 그 이전에 건립한 듯 하다. 이후 큰 변화 없이 오늘에 이른다. == 구조 == * 1층[* 보통 [[전통]] [[건축]]에선 단층이라고 표현한다.] [[목조]] [[건물]]이다. 칸 수는 정면 3칸, 측면 1칸으로 총 3칸이다. 가운데 칸 서쪽 부분으로만 실내에 들어갈 수 있으며, 그 칸 하단부에는 장초석을 깔고 그 앞에 2단 짜리 돌계단을 놓았다. * [[지붕]]은 팔작지붕으로 용마루와 추녀마루, 내림마루는 [[기와]]를 얹어 마감했다. [[용두]], 취두, [[잡상]]은 올리지 않았다. [[공포(동음이의어)#s-2|공포]]를 두지 않고 납도리로 엮은 민도리 양식으로 지었다. [[처마]]는 홑처마이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궐도 취한정.png|width=100%]]}}} || || {{{#gold ''' 《동궐도》의 취한정 '''}}} || 사방이 트여있으며 바닥은 전부 [[마루]]이다. 단, 《[[동궐도]]》에는 가운데 칸만 마루이고 양 옆에 [[온돌|온돌방]]이 있는 모습임을 보아 후대에 지금처럼 바뀐 듯하다. [[천장]]은 서까래와 [[구조]]들이 훤히 보이는 연등천장으로 만들었다. * 모든 칸 하단부에 [[난간]]을 설치했다. 실내로 출입할 수 있는 가운데 칸 남쪽 부분에는 가운데에 [[사람]] 한 명이 지나다닐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그 옆에 풍혈을 뚫은 난간을 짧게 만들었다. 나머지 칸의 난간은 전부 머름 형태이다. * [[현판]]은 흰 [[바탕]]에 검은 [[글씨]]이며, 가운데 칸 남쪽 부분의 [[도리]]에 걸려있다. * 바깥 쪽 기둥마다 주련을 걸었다. 총 12개였는데 하나가 사라져 지금은 11개이다.[* 정확한 분실 시기는 알 수 없으나 1957년에 작성한 《각궁주련조서》에도 1개를 잃어버렸다고 나와있다.[[http://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jsessionid=JinGc946Q1nSp01RIikfH3LbQWi1olFSGe75sY1gn1t58jtD4wFoZNTl5cyzcjHy.cha-was02_servlet_engine1?newsItemId=155696065§ionId=ocp&pageIndex=11&mn=NS_01_02&strWhere=&strValue=&sdate=&edate=|#]]] * 주련마다 [[시]]를 적어놓았다. 취한정의 아름답고 한가로운 풍경을 [[노래]]한 내용이다.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一庭花影春留月 (일정화영춘유월) >뜨락에 가득한 꽃 그림자는 봄에 머문 달이요 > >滿院松聲夜聽濤 (만원송성야청도) >정원 가득한 소나무 소리는 밤에 파도소리 듣는 듯 하네 > >九天露湛金盤重 (구천노담금반중) >높은 하늘의 이슬이 짙어 금 쟁반이 무겁고 > >五色雲垂翠盖凝 (오색운수취개응) >오색구름 드리워 푸른 지붕을 감싸네 > >寶扇初開移玉座 (보선초개이옥좌) >보배로운 부채 처음 펼칠 때 임금께서 오시니 > >華燈錯出暎朱塵 (화등착출영주진) >들쑥날쑥한 화려한 등불이 붉은 장막을 비추네 > >鸞輿逈出千門柳 (난여형출천문류) >난여[* 鸞與. 난새방울을 단 임금의 수레이다.]는 멀리 천 개 대문의 버들을 지나고 나와 > >閣道廻看上苑花 (각도회간상원화) >각도[* 閣道. [[복도]]같은 개념이다.]에서 고개 돌려 상원의 꽃을 바라보네 > >種成和露桃千樹 (종성화로도천수) >이슬 머금은 천 그루 복숭아를 심어 두고 > >借與摩霄鶴數群 (차여마소학수군) >높이 하늘을 나는 학 여러 마리에게 내어 주었네 > >拂水柳花千萬點 (불수류화천만점)[* 이 구절의 뒷부분을 잃어버렸다. 자세한 내용은 [[http://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jsessionid=JinGc946Q1nSp01RIikfH3LbQWi1olFSGe75sY1gn1t58jtD4wFoZNTl5cyzcjHy.cha-was02_servlet_engine1?newsItemId=155696065§ionId=ocp&pageIndex=11&mn=NS_01_02&strWhere=&strValue=&sdate=&edate=|이 곳을 참조.]]] >물을 스친 버들 꽃이 천만 송이 피었고 > >隔林鶯舌兩三聲 (격림앵설양삼성) >숲 너머 꾀꼬리들이 두 세 마디 씩 울음 우네 >[[http://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jsessionid=JinGc946Q1nSp01RIikfH3LbQWi1olFSGe75sY1gn1t58jtD4wFoZNTl5cyzcjHy.cha-was02_servlet_engine1?newsItemId=155696065§ionId=ocp&pageIndex=11&mn=NS_01_02&strWhere=&strValue=&sdate=&edate=|해석 출처]] == 여담 == * 위에 언급했듯, [[숙종(조선)|숙종]]은 취한정의 여름 경치를 소재로 한 [[시]] 《취한정제영(翠寒亭題詠)》을 지었다. 《궁궐지》에 실려있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綠陰芳草政堪賞 (녹음방초정감상) >푸른 꽃과 나무는 정말 감상할 만하고 > >檻外長留瀑布聲 (함외장류폭포성) >난간 밖에 폭포 소리가 오래 들린다 > >驟雨O過風暫歇 (취우O과풍잠헐) >소나기 방금 지나고 바람이 잠시 멎었는데 > >園中葉葉聽蟬鳴 (원중엽엽청선명) >정원의 잎들마다 매미우는 소리 들린다 > >森森簇簇總環亭 (삼삼족족총환정) >빽빽이 우거져 모두 정자를 두르니 > >冒雪凌寒色愈淸 (모설능한색유청) >눈보라 추위를 아랑곳 하지 않아 빛이 더욱 맑구나 > >愛爾獨持君子節 (애이독지군자절) >너 홀로 군자의 절개를 지킴을 사랑하니 > >不渝夷險一心貞 (부유이험일심정) >평탄하든 험하든 달라지지 않고 한 마음으로 곧구나. >[[http://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jsessionid=JinGc946Q1nSp01RIikfH3LbQWi1olFSGe75sY1gn1t58jtD4wFoZNTl5cyzcjHy.cha-was02_servlet_engine1?newsItemId=155696065§ionId=ocp&pageIndex=11&mn=NS_01_02&strWhere=&strValue=&sdate=&edate=|해석 출처 1]][[http://blog.daum.net/chohavillage/8990648|해석 출처 2]] * 위의 [[시]]를 읽고 감탄한 [[정조(조선)|정조]]가 [[시]] 《취한정》을 지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澗翠空濛開畵境 (간취공몽개화경) >푸른 계곡에 안개 끼어 아른아른 그림같은 경치 열어 주니 > >庭松偃蹇聞琴聲 (정송언건문금성) >뜨락의 소나무 솟은 채 거문고 소리 듣도다 > >佳山未許遊人到 (가산미허유인도) >아름다운 산은 노는 사람이 오기를 허락하지 않고 > >可愛幽禽隔樹鳴 (가애유금격수명) >숨은 새들이 나무 저편에서 우는 것이 사랑스러워라 >[[http://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jsessionid=JinGc946Q1nSp01RIikfH3LbQWi1olFSGe75sY1gn1t58jtD4wFoZNTl5cyzcjHy.cha-was02_servlet_engine1?newsItemId=155696065§ionId=ocp&pageIndex=11&mn=NS_01_02&strWhere=&strValue=&sdate=&edate=|해석 출처 1]][[http://blog.daum.net/chohavillage/8990648|해석 출처 2]] [각주]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창덕궁, version=559, paragraph=5.4.3)] [[분류:창덕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