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창덕궁)] ---- ||<-3> [[파일:정부상징.svg|width=22]] '''[[대한민국의 사적#s-2|{{{#f39100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 ||<-3> {{{#ffd700 {{{+1 '''창덕궁 청의정'''}}}[br]{{{-1 昌德宮 淸漪亭}}}}}}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창덕궁 취한정, 너비=100%, 높이=100%)]}}} || ||<-2> {{{#ffd700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서울)|율곡로]] 99 ([[와룡동(종로구)|와룡동]] 2-71번지) || ||<-2> {{{#ffd700 '''건축시기'''}}} || [[1636년]] {{{-1 (창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blog.kcomwel.or.kr/1810396915.jpg|width=100%]]}}} || || {{{#gold ''' 청의정 동측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fn10s0YPXo)]}}} || || {{{#gold '''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3D 입체 영상. 소요정, 취한정, 취규정, 농산정, 태극정과 같이 소개한다. '''}}} || [목차] [clearfix] == 개요 == [[창덕궁#s-5.4.3|창덕궁 후원 옥류천 권역]]에 있는 [[정자]]이다. [[창덕궁]]에서 유일하게 남아있는 [[초가]][[지붕]] 건물이다.[* [[19세기]] 초에 제작한 《[[동궐도]]》를 보면 창덕궁과 창경궁에 초가지붕이 몇 채 있었다. 그러나 청의정을 제외한 나머지는 전부 현재 없다.] [[한국]]의 초가 정자 중 가장 오래되었다.[[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5&cp_code=cp0507&index_id=cp05070115&content_id=cp050701150001&search_left_menu=6|#]] 정자 앞에 [[논]]이 있다. 여기서 [[벼]]를 심고, 수확 후에는 볏짚으로 [[정자]]의 지붕 이엉을 잇게 했는데 이는 백성들의 고단함을 몸소 느끼고, 또한 농사의 소중함을 백성들에게 일깨워주기 위함이었다. == 이름 == '청의(淸漪)' 뜻은 '맑은(淸) 물결(漪)'이다. 옥류천 일대의 맑은 물을 따서 이름으로 지은 듯 하다. '청의' 단어 자체는 《[[시경]] - 위풍(魏風) · 벌단(伐檀)》에서 유래했다. [[http://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newsItemId=155696066§ionId=ocp|#]] == 역사 == [[헌종(조선)|헌종]] 때 지은 《궁궐지》에 따르면, 1636년([[인조]] 14년)에 지었다. 그 책에는 [[정조(조선)|정조]]의 [[시]]와 [[선조(조선)|선조]]의 어필을 걸었다는 내용도 있다. 그런데 그 어필을 건 게 선조 때부터 남아있던 정자에 건 것인지, 아니면 나중에 새 건물을 짓고 선조의 어필을 가져다 건 것인지는 모른다. 아무튼 1636년에 고쳐 짓든 새로 짓든, 청의정 [[공사]]가 있었던 것은 확실한 듯 하다.[[https://ncms.nculture.org/pavilion/story/2377|#]] 이후 [[일제강점기]]와 [[6.25 전쟁]]을 거치면서도 살아남아 오늘에 이른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옛날 청의정.png|width=100%]]}}} || || {{{#gold ''' 왼쪽은 《동궐도》의 청의정(붉은 원 안), 오른쪽은 《조선고적도보》의 청의정 '''}}} || == 구조 == * 1층[* 보통 [[전통]] [[건축]]에선 단층이라고 표현한다.] [[목조]] [[건물]]로 북향(北向)이다. 칸 수는 정면 1칸, 측면 1칸으로 총 1칸이다. [[창덕궁 옥류천|옥류천]]의 물을 모아 만든 [[논]] 위에 [[암석|돌]]로 [[섬]]을 만들고 그 위에 다시 장대석으로 [[기단]]을 2단 쌓은 뒤 [[건물]]을 올렸다. 논과 섬은 둘 다 네모나다. * 건물 북쪽으로 출입할 수 있다. [[정자]]가 [[섬]]에 있어서 드나들 수 있게 [[교량|돌다리]]를 놓았다. 교각은 없고 작은 돌판 위에 올려놓은 돌 상판만 있다. 상판 북면의 가운데에는 구멍이 뚫려있다. * [[처마]]는 겹처마이며 [[공포(동음이의어)#s-2|공포]]는 초익공이다. [[단청]]은 모로단청으로 칠했다. * [[기둥]]과 주춧돌은 원형이다. 주춧돌에는 파련을 화려하게 조각해놓았다. * 보통 1칸 짜리 [[정자]]들의 [[지붕]]은 사모지붕인데, 청의정 지붕은 다르다. [[기둥]] 위에 도리를 8각으로 짜서 지붕을 8각으로 만든 뒤 짚을 올려 원형처럼 보이게 했다.[[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anmun2014&logNo=220247921631&categoryNo=21&parentCategoryNo=0&viewDate=¤tPage=12&postListTopCurrentPage=1&from=postList&userTopListOpen=true&userTopListCount=5&userTopListManageOpen=false&userTopListCurrentPage=12|#]][[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5&cp_code=cp0507&index_id=cp05070115&content_id=cp050701150001&search_left_menu=6|#]] 지붕 한가운데는 솟아있다. * 일반 [[궁궐]] [[건물]]들과 다른 점이 많다. 위에 썼듯 [[초가]][[지붕]]인 점도 그렇고, 건물의 부재들도 굉장히 얇다. [[현판]] 역시 특이하다. 다른 전각처럼 걸지 않고 목판으로 만든 뒤 도리에 끼워 고정시켰다. 목판은 가운데에 글씨 틀이 있고 그 주변을 화려한 단청으로 칠한 형태이다. 글씨는 검은 [[바탕]]에 흰 [[글씨]]로, 글씨 틀은 주황색이다. * 상술했듯 [[섬]]과 [[논]]은 [[천원지방]]에 따라 사각형이고 [[지붕]]은 원형이다. * 각 칸 하단부에 [[난간]]을 설치했다. 다만, [[건물]]로 들어가는 부분에는 난간을 두지 않았다. 난간은 풍혈을 뚫은 평난간으로 그 위에 하엽동자 모양의 난간기둥과 돌란대를 얹은 형태이다. * [[천장]]은 서까래가 다 드러난 형태이다. 서까래가 중앙으로 모이는데 그 지점에는 원형반자를 설치했다. 실내 바닥은 [[마루]]이다. * 기둥 바깥 쪽에 주련을 걸었다. 주련에는 [[시]]를 적어놓았는데, 1957년에 작성한 《각궁주련조서》에 따르면 [[대한제국]]기 관료였던 [[김가진|동농 김가진]]이 썼다고 한다. 주련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僊露長凝瑤艸碧 (선로장응요초벽) >신선의 이슬은 길이 요초(瑤艸)에 푸르게 맺혔고 > >彩雲深護玉芝鮮 (채운심호옥지선) >채색 구름은 깊이 옥지(玉芝)를 곱게 감쌌네. > >魚躍文波時撥剌 (어약문파시발랄) >물고기는 물결 위에 뛰어 때로 첨벙거리고 > >鶯留深樹久俳徊(앵류심수구배회) >꾀꼬리는 짙은 나무에 들어 오래 서성거리네. > >[[http://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newsItemId=155696066§ionId=ocp|#]] == 여담 == * [[숙종(조선)|숙종]]은 창덕궁 후원에서 아름다운 [[정자]] 3채를 '상림삼정(上林三亭)'으로 불렀는데 청의정도 여기에 포함시켰다.[* 나머지는 [[창덕궁 태극정|태극정]]과 [[창덕궁 소요정|소요정]].] * 청의정 [[논]]은 현재 [[서울특별시|서울]] [[사대문안]]에 있는 유일한 논이다.[[https://news.v.daum.net/v/20060530130312709?f=o|#]]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청의정 모내기 행사.png|width=100%]]}}} || || {{{#gold ''' 2018년 6월에 진행한 청의정 모내기 행사[* [[https://twitter.com/changdeokpalace/status/1004597827735965697/photo/2|사진 출처 - 문화재청 창덕궁 트위터.]]] '''}}} || 2006년부터 매년 [[봄]]과 [[가을]]에 [[문화재청]]과 [[농촌진흥청]] 관계자들, 일반인 지원자들이 이곳에서 모내기, 벼베기 행사를 한다. [[https://newsis.com/view/?id=NISI20200525_0016348355|#]][[https://go.seoul.co.kr/news/newsView.php?id=20201013012015&wlog_tag3=daum|#]] [[https://news.v.daum.net/v/20070601141113843?f=o|#]] 2020년에는 [[코로나 19]] 사태로 관련 부서 관계자들만 참여했다. [각주]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창덕궁, version=567, paragraph=5.4.3)] [[분류:창덕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