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창덕궁)] ---- ||<-3> [[파일:정부상징.svg|width=22]] '''[[대한민국의 사적#s-2|{{{#f39100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 ||<-3> {{{#ffd700 {{{+1 '''창덕궁 억석루'''}}}[br]{{{-1 昌德宮 億昔樓}}}}}}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억석루, 너비=100%, 높이=100%)]}}} || ||<-2> {{{#ffd700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서울)|율곡로]] 99 ([[와룡동(종로구)|와룡동]] 2-71번지) || ||<-2> {{{#ffd700 '''건축시기'''}}} || 창건시기 미상[br][[2004년]] {{{-1 (복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억석루.png|width=100%]]}}} || || {{{#gold ''' 억석루 '''}}} || [목차] [clearfix] == 개요 == [[창덕궁#s-5.2.2|창덕궁 궐내각사 구역]]에 있는 [[창덕궁 내의원|내의원]]의 부속 건물. [[한약|약]]을 다루던 곳이다. 그러나 위치는 내의원보다 선원전 구역과 더 가깝다. [[창덕궁 선원전|선원전 본채]]와 [[창덕궁 선원전#s-4.4|영의사]] 사이의 행각 서편에 있다. == 이름 == '억석(憶昔)' 뜻은 '옛날(昔)을 생각한다(億)'이다. 《한경지략》에 따르면, 영조가 내의원에다 [[신농|신농(神農)]]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라고 하면서 '입심억석(入審憶昔)'이란 글자를 써서 하사했다고 한다. 신농은 [[중국 신화]]에 나오는 [[삼황오제]] 중 한 명으로, 다양한 풀들을 일일이 먹어가면서 [[한약|약]]의 효능을 알아내고 이를 바탕으로 [[질병]]을 치료했다는 전설이 있다. 그래서 의약의 창시자로 추앙받았다.[* 의약 뿐 아니라 농업의 창시자로도 잘 알려져있다. 애초에 이름이 '농사(農)의 신(神)'이란 뜻이다.] 즉, 신농을 생각하여 정성껏 약을 만들라는 의미이다. == 현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억석루 현판.png|width=100%]]}}} || || {{{#gold ''' 억석루 현판[* [[http://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jsessionid=aj2um4L2SD6rpinOTFdaZrjD1vOzdMPLGXLtaKhpRjI66DYh432qelGUP0z1TKWw.cha-was02_servlet_engine1?newsItemId=155629255§ionId=ocp&pageIndex=12&pageUnit=10&strWhere=&strValue=&sdate=&edate=&category=&mn=NS_01_02|사진 출처 - 문화재청.]]] '''}}} || 현재 [[현판]]은 2000년대에 [[복원]]하면서 새로 만든 것이다. [[서예|서예가]] 이동익 선생(攸川 李東益. 1940 ~ )이 쓰고 각자장 철제 오옥진 선생(鐵齋 吳玉鎭. 1935 ~ 2014)이 새겼다. 다만 위치는 고증오류인데 전통건축에서 1층은 각(閣), 2층은 루(樓)로 불렀기 때문에 2층에 걸어야하기 때문이다. == 역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궐도 억석루.png|width=100%]]}}} || || {{{#gold ''' 〈동궐도〉 억석루 '''}}} || 언제 지었는지 모르나, 상술했듯 [[영조]] 시대에는 존재했던 듯 하다. [[일제강점기]]에 [[왕실]] [[의원]] 기능은 [[순종(대한제국)|순종]]의 침전 [[창덕궁 대조전|대조전]] 근처에 있는 [[창덕궁 성정각|성정각]][* 원래는 [[왕세자]]의 공부방이었고 [[영친왕|의민태자(영친왕)]]이 [[일본]]에 [[볼모]]로 끌려가기 직전에 머물던 곳이었다.]으로 옮겨갔고, 기존 억석루 건물은 헐렸다. [[문화재청]]에서 2000년 ~ 2004년에 [[복원]]했고 2005년에 일반에 개방하여 오늘에 이른다. == 구조 == * 궐내각사 건물 중에서는 유일하게 2층[* 보통 [[전통]] [[건축]]에선 단층으로 표현한다.]에다 북향(北向)이다. [[창덕궁]] 전체로 봐도 (후원을 제외한) 2층 건물은 [[창덕궁 인정전|인정전]]과 억석루 2채 밖에 없다.[* [[경술국치]] 이전에는 [[창덕궁 경훈각|경훈각 – 징광루]]를 포함하여 2층 전각들이 꽤 있었다.] * 장대석 1단으로 [[기단]]을 쌓고 그 위에 [[건물]]을 올렸다. 기단 상부에는 [[벽돌|전돌]]을 깔았다. [[기둥]]과 [[주춧돌]]은 사각이다. * 1층은 정면 5칸, 측면 1칸이며 2층은 정면 4칸, 측면 1칸이다. * [[지붕]]은 맞배지붕이며 용마루와 내림마루, 추녀마루는 [[기와]]로 마감했다. [[처마]]는 겹처마이며 [[공포(동음이의어)#s-2|공포]]가 없는 민도리집이다. [[단청]]은 모루단청으로 칠했다. * 서쪽 측면은, 1층은 전체가 [[벽]], 2층은 북쪽 방향에 작은 [[창문]]을 두고 나머지는 전부 벽으로 마감한 형태이다. 동쪽 측면은, 2층은 서쪽과 동일하며 1층은 [[창덕궁 선원전|선원전]] 남행각과 연결된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억석루 1층.png|width=100%]]}}} || || {{{#gold ''' 억석루 1층[*A 사진 출처 - 카카오맵.] '''}}} || 1층 모습이 특이하다. 서쪽 2칸에 중인방을 두었는데, 서쪽 제일 끝 칸 중인방 위에는 창만, 두 번째 칸에는 벽과 창을 같이 두었다. 중인방 아래는 외부와 통하는 통로이며 2층으로 올라갈 수 있는 계단이 놓여있다. 천장은 우물천장이며 두 번째 칸에 [[현판]]이 걸려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승안문.png|width=100%]]}}} || || {{{#gold ''' 승안문[*A] '''}}} || 서쪽에서 3번째 칸은 문이다. 〈동궐도형〉에 따르면, 이름은 승안문(承安門)이다. 초록색 문짝 위에 홍살 28개를 올렸다. 천장은 우물천장이다. * 2층 내부는 전부 뚫려있으며 [[마루]]이다. 천장은 연등천장이다. [각주]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창덕궁 내의원, version=10)] [[분류:창덕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