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창덕궁)] ---- ||<-3> [[파일:정부상징.svg|width=22]] '''[[대한민국의 사적#s-2|{{{#f39100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 ||<-3> {{{#ffd700 {{{+1 '''창덕궁 승재정'''}}}[br]{{{-1 昌德宮 勝在亭}}}}}}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승재정, 너비=100%, 높이=100%)]}}} || ||<-2> {{{#ffd700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서울)|율곡로]] 99 ([[와룡동(종로구)|와룡동]] 2-71번지) || ||<-2> {{{#ffd700 '''건축시기'''}}} || [[1830년]] ~ [[1908년]] 사이 {{{-1 (창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g.tnote.kr/1445576718562.jpg|width=100%]]}}} || || {{{#gold ''' 승재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J3hp72gHa4)]}}} || || {{{#gold '''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3D 영상. 존덕정, 관람정, 폄우사와 같이 소개한다. '''}}} || [목차] [clearfix] == 개요 == [[창덕궁#s-5.4.5|창덕궁 후원 관람지 권역]]의 [[정자]]이다. [[창덕궁 폄우사|폄우사]]의 남쪽에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창덕궁_후원권역_관람지.jpg|width=100%]]}}} || || {{{#gold ''' 관람지 권역. 왼쪽부터 폄우사, 존덕정, 관람정, 승재정이다.[*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6413888&ccbaKdcd=13&ccbaAsno=01220000&ccbaCtcd=11|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 이름 == ‘승재(勝在)’ 뜻은 ‘빼어난 경치(勝)가 있다(在)’는 뜻이다. ‘승(勝)’은 원래 ‘이긴다’는 뜻으로, ‘(이겼으니) 뛰어나다’, ‘빼어나다’는 의미도 있다. 그 뜻을 확장하여 ‘아름답고 빼어난 경치나 고적’을 나타낼 때도 쓴다. [[http://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jsessionid=JinGc946Q1nSp01RIikfH3LbQWi1olFSGe75sY1gn1t58jtD4wFoZNTl5cyzcjHy.cha-was02_servlet_engine1?newsItemId=155696064§ionId=ocp&pageIndex=11&mn=NS_01_02&strWhere=&strValue=&sdate=&edate=|#]] 실제로 높은 지대에 있어 여기서 바라보는 경치가 최고라고 한다. == 역사 == 언제 지었는지 모른다. 1828년([[순조]] 28년) ~ 1830년(순조 30년) 사이에 그린 《[[동궐도]]》에는 보이지 않고, 1908년([[융희]] 2년)에 그린 《동궐도형》에는 나타나므로, 그 사이에 지은 듯하다. 건립 후 큰 변화 없이 오늘에 이른다. == 구조 == * [[기단]]은 2단을 쌓았으며 그 위에 다시 장대석 2단을 깔고 건물을 올렸다. [[기둥]]은 원형이나 [[주춧돌]]은 사각이다. 출입은 남쪽 칸과 북쪽 칸으로 할 수 있으며, 기단에서 건물로 오르내리는 디딤돌은 5단이다. * [[현판]]은 남면 도리장여 가운데에 걸려있으며 흰 바탕에 검은 글씨이다. * [[지붕]]은 사모지붕, [[처마]]는 겹처마이다. [[공포(동음이의어)#s-2|공포]]는 물익공 양식으로, 창방과 장여 사이에 소로를 얹었고 그 위에 도리와 맞물리게 운공을 짜두었다. 용마루와 추녀마루는 [[기와]]로 쌓았으며 내림마루 끝에는 막새기와를 얹었다. 추녀마루가 만나는 부분에는 절병통을 올렸다. [[단청]]은 모로단청으로 칠했다. * 각 칸마다 화려한 ‘아(亞)’자 살 분합문을 설치했다. 칸의 하단부에는 머름을 두었고, 건물 바깥에는 쪽마루를 깐 뒤 그 가장자리에 [[난간]]을 설치했다. 다만, [[건물]]로 들어가는 부분에는 머름과 난간을 두지 않았다. [[난간]]은 풍혈궁판 위에 ‘아(亞)’자 형 살대를 대고, 그 위에 하엽동자 모양의 난간기둥과 돌란대를 얹은 형태이다. * [[천장]]에는 우물반자를 설치했다. 실내 바닥은 [[마루]]이다. * 승재정 동북쪽과 동남쪽에 [[수석]]을 두었다. * 모든 [[기둥]]에 주련을 걸었다. 주련에는 [[시]]를 적어놓았다. 주련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龍蛇亂亂千章木 (용사난획천장목) >용과 뱀은 천 그루 거목(巨木)을 어지러이 휘감았고 > >環珮爭鳴百道泉 (환패쟁명백도천) >패옥(珮玉)들은 백 갈래 샘물을 울게 하는구나 > >披香殿上留朱輦 (피향전상류주련) >피향전(披香殿) 위에서 임금 수레 머무니 > >太液池邊送玉杯 (태액지변송옥배) >태액지(太液池) 연못가에 옥 술잔을 보내오네 > >[[http://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jsessionid=JinGc946Q1nSp01RIikfH3LbQWi1olFSGe75sY1gn1t58jtD4wFoZNTl5cyzcjHy.cha-was02_servlet_engine1?newsItemId=155696064§ionId=ocp&pageIndex=11&mn=NS_01_02&strWhere=&strValue=&sdate=&edat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승재정과 연결된 다리.png|width=100%]]}}} || || {{{#gold ''' 관람지 다리. 왼쪽에 승재정과 승재정 남면에서 다리와 연결된 길이 보인다.[* [[http://artsdecoratifs.e-sezhame.fr/id_2219429010580886274.html|사진 출처 - 프랑스 장식미술관 〈Corée〉.]]] '''}}} || 관람지에 다리가 있었던 시절에는 승재정 남쪽으로 다리와 연결된 길이 있었다. == 여담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oZxoTyr61k)]}}} || || {{{#gold ''' 〈창덕궁 달빛기행〉 영상 '''}}} || 〈창덕궁 달빛기행〉 코스 중 한 곳이다. ---- [[분류:창덕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