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창덕궁)] ---- ||<-3> [[파일:정부상징.svg|width=22]] '''[[대한민국의 사적#s-2|{{{#f39100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 ||<-3> {{{#ffd700 {{{+1 '''창덕궁 숙장문'''}}}[br]{{{-1 昌德宮 肅章門}}}}}}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숙장문, 너비=100%, 높이=100%)]}}} || ||<-2> {{{#ffd700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서울)|율곡로]] 99 ([[와룡동(종로구)|와룡동]] 2-71번지) || ||<-2> {{{#ffd700 '''건축시기'''}}} || [[1405년]] {{{-1 (창건 추정)}}}[br][[1608년]] {{{-1 (중건)}}} [br] [[1999년]] {{{-1 (복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picpen.chosun.com/picimg-5bae6a7a-aa92-4315-9836-cd9cfb2127bd.jpg|width=100%]]}}} || || {{{#gold '''숙장문'''}}} || [목차] [clearfix] == 개요 == [[창덕궁]]의 [[문]]이다. [[정문]]인 [[창덕궁 돈화문|돈화문]]을 지나 [[창덕궁 금천교|금천교]]를 건너 [[중문]]인 [[창덕궁 진선문|진선문]]으로 들어가면 정면에 보인다. 숙장문의 이름은 1475년([[성종(조선)|성종]] 6년) 8월에 당시 예문관대제학이던 [[서거정]]이 지었다.[[http://sillok.history.go.kr/id/kia_10608023_007|#]] '숙(肅)'은 '엄숙하다', '장(章)'은 '아름답게 빛난다'는 뜻이다. == 용도 == 궁궐의 외조 권역에서 내전을 볼 수 없게 만든 문이다. [[창덕궁]]은 [[자연]] [[지형]]에 맞추어 [[건물]]을 지었기 때문에 배치가 [[경복궁]]처럼 질서정연하지 않다. 그래서 [[창덕궁 돈화문|돈화문]]을 지나 [[진선문]]으로 들어서면 [[정전#s-6|정전]] [[창덕궁 인정전|인정전]]에 도착하기도 전에 내전 영역이 바로 보인다. 따라서 이를 가릴 [[담|담장]]과 [[문]]이 필요하여 지은 문이다.[[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숙장문(肅章門)|#]][* [[창경궁]]은 원래 [[대비]]를 모실 별궁이었기에 논외. [[덕수궁]]과 [[경희궁]]도 [[지형]]에 맞게 지었으나 [[구조]] 상 숙장문 역할의 [[문]]이 필요하지 않았다.] 위에 언급했듯 [[서거정]]이 숙장문의 이름을 지었는데, 이 때 숙장문을 가리켜 좌달문(左闥門)이라 했다.[[http://sillok.history.go.kr/id/kia_10608023_007|#]] '좌(左)'는 말 그대로 '좌측'이고 '달(闥)'은 '밖에서 집안을 못보게 만든 가림막'이다. 즉, 좌달문은 '안쪽(내전 영역)을 가린 좌측 문'이다.[* 여기서 좌측은 동쪽이다. 전통적으로 임금의 시선을 기준으로 좌, 우를 따졌다. 왕은 남쪽을 바라보므로 왼쪽(좌측)은 동쪽이다.] 이런 [[기록]] 역시 숙장문의 역할을 말해준다.[[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숙장문(肅章門)|#]] == 역사 == 정확한 창건 연대는 모른다. 다만, [[창덕궁 진선문|진선문]], [[창덕궁 인정문|인정문]] 영역을 [[태종(조선)|태종]] 시기에 건립한 것을 볼 때, 숙장문도 그 때 처음 지은 듯하다. 상술했듯 1475년(성종 6년) 이전에는 이름이 없었다. [[임진왜란]] 때 불탔다가 [[광해군]] 연간에 중건했다. 이후 별다른 [[기록]]이 없는 것으로 보아 이후 일어난 몇 차례의 [[창덕궁]] 화재 때도 무난했던 듯 하다. [[대한제국]] 시기 [[순종(대한제국)|순종황제]]가 이어한 직후인 1908년([[융희]] 2년) [[탁지부|탁지부건축사무소]]에서 시행한 [[창덕궁 인정전|인정전]] 개수 공사 때 [[자동차]] 통행에 방해가 된다며 헐렸다. [[8.15 광복|광복]] 이후인 1996년에 [[문화재청]]에서 [[복원]] 공사를 시작해 1999년 완공하여 오늘에 이른다. 원래 [[현판]] 글씨는 원래 동래군 정난종(東萊君 鄭蘭宗)이 쓴 것이었다. 현재 글씨는 1999년 [[복원]]할 때 [[서예|서예가]] 소헌 정도준 선생(紹軒 鄭道準. 1948 ~ )이[* [[경복궁 흥례문]]과 [[경복궁 유화문|유화문]] 및 [[창덕궁 진선문]]의 [[현판]]과 [[숭례문]] [[복원]] 상량문을 썼다.] 새로 쓰고 각자장 철제 오옥진 선생(鐵齋 吳玉鎭, 1935 ~ 2014)이 새겼다. == 구조 == * 정면 3칸, 측면 2칸의 1층[* 보통 전통 건축에선 단층이라고 표현한다.] [[목조]] [[건물]]이다. [[초석|주춧돌]]과 [[기둥]]은 둥근 형태이다. [[지붕]]은 팔작지붕, [[처마]]는 겹처마에 [[공포(동음이의어)#s-2|공포]]는 화려한 다포식이다. 용마루와 추녀마루, 내림마루는 양상바름을 하고 그 위에 취두와 [[용두]], [[잡상]]을 두었다. [[단청]]은 모루단청[* 부재 끝 부분만 화려하게 칠하는 단청.]으로 칠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인정문 마당.png|width=100%]]}}} || || {{{#gold '''진선문 · 인정문 · 숙장문 마당'''}}} || 위에 언급했듯, [[진선문]] 및 [[인정문]]과 같은 영역을 이룬다. 이 [[문]]들은 서로 행각을 통해 붙어있으며 잇는 행각이 [[사다리꼴]] 모양을 만들어 마당을 이룬다. 이 마당도 [[창덕궁 인정전|인정전]] 마당처럼 [[국가]] [[행사]]나 [[정치]]의 공간으로 많이 사용했는데, 인정전 마당에서 주로 무게 있고 좀 더 근엄한 예제(禮制)를 열었다면 진선문 · 인정문 · 숙장문의 마당에서는 좀 더 [[일상]]에 밀착한 [[국사]]를 펼쳤다. 대표적으로 [[임금]]이 [[죄인]]을 심문하거나 벌주는 장소로 많이 활용한 예가 있다. 물론 엄숙한 행사를 아예 거행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임금의 즉위식을 주로 이 마당에서 열었다. * 행각엔 내병조(內兵曹), 호위청(扈衛廳) 등 [[궁]]을 지키는 관청과 전설사(典設司), 상서원(尙瑞院) 등 [[왕실]]과 [[국가]] [[행사]]와 관련있는 관청 및 부속실이 있었다. 이 역시 순종 이어 후 철거했으며 1999년에 복원했다. 그러나 내부는 [[복원]]못하고 [[복도]]로 남았다. 단, 내병조는 내부도 [[복원]]하여 현재 [[창덕궁]] 관리소에서 사무실로 사용한다. --예나 지금이나 궁을 지키는 건 똑같다.-- == 여담 == * 1712년([[숙종(조선)|숙종]] 38년) 8월에 [[돼지]] 한 마리가 내사복[* 內司僕. [[조선시대]] [[궁궐]]의 [[마구간]]과 [[임금]]이 타는 [[말(동물)|말]], [[수레]]를 관리하던 [[기관]].]의 수구문[* 水口門. [[물]]이 흐르는 통로.]을 통해 여기까지 달려 들어왔다가 잡히는 소동이 있었다.[[http://sillok.history.go.kr/id/ksa_13808028_003|#]] * 2008년 5월 [[서울특별시]]에서 [[하이서울]] [[페스티벌]] 2008 봄축제의 일환으로 마련한 [[고궁]] 음악회 '천년만세(千年萬歲)'를 이곳에서 열었다.[[https://news.v.daum.net/v/20080505192113950?f=o|#]] === 현판 위치의 문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궐도 숙장문.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902년 인정문과 숙장문.png|width=100%]]}}} || || {{{#gold '''〈동궐도〉의 숙장문'''}}} || {{{#gold '''1902년에 촬영한 숙장문 사진'''}}} || [[조선시대]]에 만든 〈[[동궐도]]〉를 보면 숙장문 [[현판]](왼쪽 그림 붉은 원)이 동쪽 면에 걸려있다. 그러나 현재는 반대편 서쪽 면에 걸려있다. 이를 두고 복원할 때 위치를 잘못잡은 게 아니냐는 의견이 있었다. 결론부터 말하면 '''지금 위치가 맞다.''' 1902년([[광무]] 6년) [[일본인]] 세키노 타다시가 촬영한 [[사진]]을 보면 [[현판]]의 위치(오른쪽 사진 보라색 원)가 지금과 같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동궐도]]〉 [[화가|화공]]이 잘못 그렸다는 건데, 그 이유에 대해서도 여러 의견이 있다. [[현판]]이 잘 보이게 일부러 동쪽에 그렸다는 것과 아니면 단순 [[실수]](...)라는 [[주장]]이 공존한다. 오류의 이유에 대해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다. 판단은 알아서. [각주]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창덕궁 진선문, version=23)] [[분류:창덕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