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창덕궁]] [include(틀:창덕궁)] ---- ||<-3> [[파일:정부상징.svg|width=22]] '''[[대한민국의 사적#s-2|{{{#f39100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 ||<-3> {{{#ffd700 {{{+1 '''창덕궁 소요정'''}}}[br]{{{-1 昌德宮 逍遙亭}}}}}}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창덕궁 취한정, 너비=100%, 높이=100%)]}}} || ||<-2> {{{#ffd700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서울)|율곡로]] 99 ([[와룡동(종로구)|와룡동]] 2-71번지) || ||<-2> {{{#ffd700 '''건축시기'''}}} || [[1636년]] {{{-1 (창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소요정.png|width=100%]]}}} || || {{{#gold ''' 소요정 동측면[[http://www.heritage.go.kr/heritage/heritage_pop/detailImgPop.jsp?gung_number=2&file_name=img_changdeok_qstory_bg_06_00.jpg|#]]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fn10s0YPXo)]}}} || || {{{#gold '''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3D 입체 영상. 농산정, 취한정, 취규정, 청의정, 태극정과 같이 소개한다. '''}}} || [목차] [clearfix] == 개요 == [[창덕궁#s-5.4.3|창덕궁 후원 옥류천 권역]]에 있는 [[정자]]이다. [[창덕궁 청의정|청의정]], [[창덕궁 태극정|태극정]], [[창덕궁 농산정|농산정]], 소요암 등 [[창덕궁 옥류천|옥류천]] 일대 [[풍경]]을 한 눈에 다 볼 수 있는 곳에 있다. == 이름 == '소요(逍遙)' 뜻은 '구속없이 천천히 거닐다'이다. 《[[장자]] - 소요유(逍遙遊)》에서 이름을 따왔다.[[http://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newsItemId=155696066§ionId=ocp|#]] '임금이 힘든 것을 잊고 여유있게 쉰다'는 의미이다. == 역사 == 1636년([[인조]] 14년)에 지었다. 첫 이름은 탄서정(歎逝亭)이었다가 나중에 소요정으로 바뀌었다. 1790년(정조 14년)에는 [[장마]]로 쓰러져 [[수리]]했다.[[https://ncms.nculture.org/pavilion/story/2387|#]] 이후 큰 변화 없이 오늘에 이른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옛날 소요정.png|width=100%]]}}} || || {{{#gold ''' 왼쪽은 《동궐도》의 소요정(붉은 원 안), 오른쪽은 《조선고적도보》의 소요정 '''}}} || == 구조 == * 1층[* 보통 [[전통]] [[건축]]에선 단층이라고 표현한다.] [[목조]] [[건물]]이다. 칸 수는 정면 1칸, 측면 1칸으로 총 1칸이다. * 소요정 북쪽과 동쪽으로 옥류천 물이 흐르며 서북쪽엔 옥류천 폭포가 있다. 그래서 지형문제 때문에 각 면마다 기단의 수가 다르다. 서, 남쪽은 1단, 북쪽은 3단, 동쪽은 5단이다. * 소요정 동쪽 수로 위에 [[교량|돌다리]]를 설치했다. 교각 위에 멍에석과 상판석을 올렸으며 [[난간]]은 없다.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anmun2014&logNo=220247776106&parentCategoryNo=&categoryNo=21&viewDate=&isShowPopularPosts=false&from=postList|#]] * [[기둥]]과 [[주춧돌]]은 원형이다. [[지붕]]은 사모지붕, [[처마]]는 홑처마이다. [[공포(동음이의어)#s-2|공포]]는 초익공이며 도리장여에 운공을 설치했다. 용마루와 추녀마루는 [[기와]]로 쌓았으며, 추녀마루가 만나는 부분에는 절병통을 올렸다. [[단청]]은 모로단청으로 칠했다. * 사방이 트여있다. 각 칸의 하단부에는 [[난간]]을 설치했다. 다만, [[건물]]로 들어가는 디딤돌 부분에는 난간을 두지 않았다. 난간은 풍혈을 뚫은 궁판 위에 난간기둥과 돌란대를 얹은 형태이다. * 천장은 서까래가 드러나보이지만, 가운데에는 중도리를 설치한 후 그 안에 우물반자를 청판 1장으로 설치했다. 실내 서까래는 전체가 부챗살 모양이다.[[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anmun2014&logNo=220247776106&parentCategoryNo=&categoryNo=21&viewDate=&isShowPopularPosts=false&from=postList|#]] * 《조선고적도보》를 보면 주춧돌 사이에 벽돌을 채워놓은 모습이나, 현재는 뚫려있다. 언제 바뀌었는지는 알 수 없다. * 기둥 바깥 쪽에 주련을 걸었다. 주련에는 [[시]]를 적어놓았다. 주련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一院有花春晝永(일원유화춘주영) >꽃이 온 정원에 펴서 긴 봄인데 > >八方無事詔書稀 (팔방무사조서희) >온 세상이 평화로워 왕의 조서도 드물어라. > >露氣曉連靑桂月(노기효련청계월) >이슬 기운은 새벽녘에 청계(靑桂) 달에 이어지고 > >佩聲遙在紫薇天(패성요재자미천) >패옥 소리 아스라히 자미(紫薇) 하늘에서 들린다. >[[http://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newsItemId=155696066§ionId=ocp|#]] == 여담 == * 역대 임금들이 소요정을 많이 찾고 아꼈다. [[숙종(조선)|숙종]]은 창덕궁 후원에서 아름다운 [[정자]] 3채를 '상림삼정(上林三亭)'으로 불렀는데 소요정도 여기에 포함시켰다.[[https://ncms.nculture.org/pavilion/story/2387|#]][* 나머지는 [[창덕궁 청의정|청의정]], [[창덕궁 태극정|태극정]].] 가장 아낀 임금은 숙종의 증손자 [[정조(조선)|정조]]였다. 위에 썼듯, 1790년(정조 14년)에 [[수리]]했는데 그때 《소요정기》를 지었다. 그리고 자신의 [[책|저서]] 《[[홍재전서]]》에 실은 [[시]] 《상립십경(上林十景)》에서도 소요정을 언급했다. 《상립십경》은 창덕궁 후원에서 경치가 가장 빼어난 곳 10곳을 주제로 쓴 시이며, 소요정은 다섯 번째로 나온다.[* 나머지는 '관풍춘경(觀豊春耕: 관풍각에서의 봄갈이)', '망춘문앵(望春聞鶯: 망춘정에서 꾀꼬리 소리듣기)', '천향춘만(天香春晩: 천향각의 늦봄 경치)', '어수범주(魚水泛舟: 어수당)', '희우상련(喜雨賞蓮: [[창덕궁 희우정|희우정]]에서의 연꽃 구경)', '청심제월(淸心霽月: [[창덕궁 청심정|청심정]]에서 보는 개인 날의 맑은 달)', '관덕풍림(觀德楓林: [[창경궁 관덕정|관덕정]]의 단풍)', '영화시사(暎花試士: [[창덕궁 영화당|영화당]]에서 시험보는 선비들)', '능허모설(凌虛暮雪: [[창덕궁 능허정|능허정]]의 저녁 눈)'이다.] 제목은 '소요유상(逍遙流觴)'이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漱玉淸流曲曲長 (수옥청류곡곡장) >옥 씻은 듯한 푸른 물 굽이굽이 길게 흐르고 > >近欄山色納新凉 (근난산색납신량) >난산 곁의 산색은 초가을 서늘함을 보내네 > >濠梁自有觀魚樂 (호량자유관어낙) >다리 위에서 물고기를 보는 낙이 있으니 > >可但蘭亭遞羽觴 (가단난정체우상) >난정[* [[왕희지]]가 놀던 [[정자]].]의 술잔에 대신할 만하다 또한 [[정조(조선)|정조]]는 여기서 [[신하]]들과 같이 유상곡수연(流觴曲水宴)을 하는 등 [[풍류]]를 즐겼다. 유상곡수연은 [[물]]에 [[잔|술잔]]을 띄우고 마시며 술잔이 자기 앞에 오기 전에 [[시]]를 짓는 [[놀이]]이다.[* 이 밖의 관련 유적으로는 [[경주시|경주]]에 [[신라시대]]에 유상곡수연을 즐겼던 유적 [[포석정]]이 있다.][[http://www.heritage.go.kr/heri/gungDetail/gogungDetail.do?serial_number=193&detail_code=107&gung_number=2#|#]] * [[조선]] [[중종(조선)|중종]] 때의 [[문신]] [[심정]]의 [[아호|호]]가 '소요정(逍遙亭)'이었다. 물론 [[글자]]만 같을 뿐, 이곳과는 무관하다.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희동(서울)|연희동]]에 이름이 같은 음식점이 있다. 실제로 여기서 이름을 따왔다. [[https://blog.naver.com/lasplen/221191978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