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창덕궁]] [include(틀:창덕궁)] ---- ||<-3> [[파일:정부상징.svg|width=22]] '''[[대한민국의 사적#s-2|{{{#f39100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 ||<-3> {{{#ffd700 {{{+1 '''창덕궁 단봉문'''}}}[br]{{{-1 昌德宮 丹鳳門}}}}}}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단봉문, 너비=100%, 높이=100%)]}}} || ||<-2> {{{#ffd700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서울)|율곡로]] 99 ([[와룡동(종로구)|와룡동]] 2-71) || ||<-2> {{{#ffd700 '''건축시기'''}}} || 창건연대 미상 {{{-1 ([[1405년]] 추정)}}}[br]중건연대 미상 {{{-1 ([[1608년]] 추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창덕궁 단봉문.png|width=100%]]}}}|| || {{{#gold '''단봉문[*A [[http://seoulstory.kr/front/kor/story/view.do?searchCondition=&searchKeyword=&sStatus=9&sDivi=0&sTag=%EB%8B%A8%EB%B4%89%EB%AC%B8&pageIndex=1&idx=1032|사진 출처 - 서울스토리.]]]'''}}} || [목차] == 개요 == [[창덕궁]]의 궁문이다. [[창덕궁 돈화문|돈화문]]의 동남쪽에 있다. 창덕궁 남쪽 담의 유일한 [[문]]이다. == 이름 == 이름은 [[당나라]] [[장안성]] [[대명궁]]의 남문인 단봉문에서 따왔다. '단봉(丹鳳)' 뜻은 글자 그대로 풀면 '붉은(丹) 봉황(鳳)'이다. 붉은 색은 전통적으로 남쪽을 나타내는 색이다. '봉(鳳)'는 [[봉황]]으로, 역시 남쪽을 상징하는 [[동물]]이다. 즉, 남쪽 문이라는 뜻이다. '단봉(丹鳳)'의 다른 뜻으로 '조서를 전달하는 사자(使者)'도 있다.[[http://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jsessionid=aj2um4L2SD6rpinOTFdaZrjD1vOzdMPLGXLtaKhpRjI66DYh432qelGUP0z1TKWw.cha-was01_servlet_engine1?newsItemId=155588792§ionId=ocp&pageIndex=12&mn=NS_01_02&strWhere=&strValue=&sdate=&edate=|#]] == 역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궐도 단봉문.png|width=100%]]}}} || || {{{#gold ''' 〈동궐도〉 단봉문 '''}}} || 언제 처음 지었는지 모른다. 다만, [[태종(조선)|태종]] 때 [[창덕궁]]을 창건하면서 건립한 듯 하다. 원래는 단순히 남쪽 담장에 있다해서 '남장문(南墻門)'이라고만 불렀다. 그러다 1475년(성종 6년)에 예문관대제학 [[서거정]]이 '단봉문(丹鳳門)'이란 이름을 지었다.[[http://sillok.history.go.kr/id/kia_10608023_007|#]] 이후 큰 변화 없이 오늘에 이른다. == 용도 == === 조선시대 === 단봉문은 [[정문]]인 [[창덕궁 돈화문|돈화문]]을 사사롭게 드나들 수 없는 [[왕족]] 및 그 친인척, 그리고 궁인들이 주로 출입한 [[문]]이었다. 관원들 중에서는 내시부 소속의 중관들이 이용했다. [[임금]]이 일반 [[선비]]처럼 변장하고 잠행에 나설 때에도 주로 사용했다. 그리고 [[궁궐]]에서 사망한 여성들의 시신도 대부분 이 문을 통해 나갔다.[* [[왕비]]와 [[대비]]는 제외.] 또한, [[정조(조선)|정조]] 때 왕비 [[효의왕후]]가 아이를 못 낳자 [[후궁]]을 간택했는데 그 때 후궁 후보들이 이 문으로 입궐했다. [[임오군란]] 때 [[명성황후]]가 [[궁녀]]으로 변장하고 [[창덕궁]]을 빠져나갈 때도 단봉문으로 나갔다. 그리고 [[창덕궁]]에서 친국이 열릴 때 [[죄인]]이 이 문을 통해 궁 안으로 들어왔다. 이처럼 단봉문은 궁 안에서 여러 사적인 일이나 그닥 좋지 않은 일이 생겼을 때 주로 활용하던 문이었다. 그런 만큼 문단속 또한 굉장히 엄격했다. 1476년([[성종(조선)|성종]] 7년)에 [[병조]] 사령 정연부가 문이 잠긴 후에 제멋대로 단봉문을 열었다가 [[교수형]]을 당할 뻔했고[[http://sillok.history.go.kr/id/kia_10706029_003|#]], [[정조(조선)|정조]] 시절 숙위대장 [[홍국영]]이 한 밤 중에 이 문으로 드나들었다고 해서 구설수에 오르기도 했다. 홍국영은 정조의 최측근으로 나는 새도 떨어뜨릴 정도의 막강한 권력을 가진 사람이었다. 그런 그조차 단봉문 출입으로 구설수에 올랐다는 것은, 그만큼 단봉문을 쉽게 이용할 수 없었음을 보여준다. === 현대 === [[20세기]] 후반까지 이용하는 사람들이 더러 있었다. [[8.15 광복]] 이후에도 [[창덕궁 낙선재]]에서 살았던 [[순정효황후]], [[이방자]], [[덕혜옹주]] 등을 만나러 오는 종친들과 낙선재에서 일하던 사람들이 출입했기 때문이다. [[영친왕|의민태자(영친왕)]]의 아들 [[이구(1931)|이구]]의 빈청과 혼청을 [[창덕궁 낙선재|낙선재]]에 각각 2005년 7월과 2007년 7월에 설치했을 때, 단봉문에 [[현수막]]을 걸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창덕궁 단봉문 현수막.png|width=100%]]}}}|| || {{{#gold '''이구의 장례 때 설치한 현수막[*A] 양쪽 가장자리의 글자는 각각 '애(哀)', '도(悼)'이고[br]가운데에 '대한제국 황세손 이구 저하 빈청(大韓帝國 皇世孫 李玖 邸下 殯廳)'이라 적혀있다.'''}}}[* 좀 더 큰 글씨의 "(애) 대한제국 황세손 이구 저하 혼청(魂廳) (도)" 현수막이 걸린 사진도 있다. [[https://www.doopedia.co.kr/photobox/comm/community.do?_method=view&GAL_IDX=101012000708092|#]]] || 현재는 [[창덕궁]]에 [[자동차]]가 들어갈 일이 있을 때 이 문을 사용한다. 일례로, [[화재]] 진압 훈련을 할 때 [[소방차]]가 여기로 드나든다. == 구조 == * 정면 1칸, 측면 2칸이다. [[지붕]]은 맞배지붕이다. 용마루와 내림마루는 기와를 얹어 마감했고 용마루 위에 용두를 올렸다. [[처마]]는 홑처마이며 [[공포(동음이의어)#s-2|공포]]는 초익공으로 익공의 끝을 둥글게 처리한 몰익공 형식이다. 창방과 도리장여 사이에 소로를 두었다. * 문짝은 붉은색 [[나무]][[판]]으로 중앙 열에 달았다. 양 측면의 칸 마다 중인방을 끼우고 위, 아래 --[[위아래|위위아래]]--를 초록색 [[나무]] [[판]]으로 마감했다. [[천장]]은 서까래와 [[구조]]들이 훤히 보이는 연등천장으로 했고, [[문]] 위에는 홍살을 두었다. [[단청]]은 긋기단청[* 가칠단청 위에 [[선]]만 그어 마무리한 단청이다. 가칠단청은 무늬없이 단색으로만 칠한 단청이다.]으로 입혔다. * [[현판]]은 흰 바탕에 검은 글씨이다. == 여담 == * 1623년(인조 1년) [[인조반정]] 당시 [[창덕궁]]의 모든 문들이 닫혔다. 그 때 제일 먼저 [[김류]]가 단봉문을 열고 들어왔으며, 이후 [[인조|능양군(인조)]]이 심명세, 구굉, 홍진도 등과 함께 단봉문을 통해 창덕궁으로 들어왔다.[[http://sillok.history.go.kr/id/koa_11503012_005|#]][[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단봉문(丹鳳門)|#]] * 1882년(고종 19년) 6월에 갑자기 고삐 풀린 [[말(동물)|말]]이 단봉문으로 들어와 내사복시[* 內司僕寺. 조선시대 왕의 말과 수레를 관리하던 관청.]까지 달렸다고 한다. 다행히 금방 잡아 끌고나가긴 했지만 단봉문을 지키는 군사들은 문을 제대로 못 지켰다는 이유로 처벌받았다.[[http://sillok.history.go.kr/id/kza_11906002_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