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창덕궁)] ---- ||<-3> [[파일:정부상징.svg|width=22]] '''[[대한민국의 사적#s-2|{{{#f39100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 ||<-3> {{{#ffd700 {{{+1 '''창덕궁 내의원'''}}}[br]{{{-1 昌德宮 內醫院}}}}}}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창덕궁 규장각, 너비=100%, 높이=100%)]}}} || ||<-2> {{{#ffd700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서울)|율곡로]] 99 ([[와룡동(종로구)|와룡동]] 2-71번지) || ||<-2> {{{#ffd700 '''건축시기'''}}} || 창건시기 미상[br][[2004년]] {{{-1 (복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창덕궁 내의원 전경.png|width=100%]]}}} || || {{{#gold ''' 내의원 전경[* [[https://twitter.com/changdeokpalace/status/1136127657001619456/photo/2|사진 출처 - 창덕궁 트위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창덕궁 내의원.png|width=100%]]}}} || || {{{#gold ''' 내의원 청사[* [[https://twitter.com/changdeokpalace/status/1045198103974793216/photo/2|사진 출처 - 창덕궁 트위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L3ZTZr49M4)] }}} || || {{{#gold '''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3D 영상 '''}}} || [목차] [clearfix] == 개요 == [[창덕궁#s-5.2.2|창덕궁 궐내각사 구역]]에 있는 내의원 [[청사]]이다. [[창덕궁 홍문관|홍문관]]의 서북쪽, [[창덕궁 예문관|예문관]]의 동남쪽, [[창덕궁 선원전#s-4.4|영의사]]의 남쪽에 있다. 내의원은 궁중 의료기관, 쉽게 말해 [[왕실]] [[병원]]이다. 자세한 내용은 [[내의원]] 문서 참조. == 현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약방 현판.png|width=100%]]}}} || || {{{#gold ''' 내의원 현판[* [[http://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jsessionid=aj2um4L2SD6rpinOTFdaZrjD1vOzdMPLGXLtaKhpRjI66DYh432qelGUP0z1TKWw.cha-was02_servlet_engine1?newsItemId=155629255§ionId=ocp&pageIndex=12&pageUnit=10&strWhere=&strValue=&sdate=&edate=&category=&mn=NS_01_02|사진 출처 - 문화재청 《궁궐의 현판과 주련 - 창덕궁 궐내각사 권역 1》.]]] '''}}} || ‘약방(藥房)’으로 써두었다. 약방은 내의원의 다른 이름이다. 이것만 봐도 조선시대의 한의학은 치료행위보다는 처방에 더 중점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현판]]은 2000년대에 [[복원]]하면서 새로 만든 것이다. [[서예|서예가]] 소헌 정도준(紹軒 鄭道準. 1948 ~ )이[* [[경복궁 흥례문]]과 [[경복궁 유화문|유화문]] 및 [[창덕궁 진선문]]의 [[현판]]과 [[숭례문]] [[복원]] 상량문을 썼다.] 새로 쓰고 각자장 철제 오옥진 선생(鐵齋 吳玉鎭. 1935 ~ 2014)이 새겼다. == 역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궐도 약방.png|width=100%]]}}} || || {{{#gold ''' 《동궐도》의 약방 '''}}} || 궁 안에 꼭 필요한 기관이니만큼, [[창덕궁]] 창건 당시부터 있었던 것으로 보이나, 처음부터 현재 자리에 있었는지는 확실히 모른다. [[태종(조선)|태종]] 대에는 내약방(內藥房)이었으며, 전의감에 속해 있었다가 1443년(세종 25년)에 [[세종(조선)|세종]]이 이름을 [[내의원]]으로 바꾸고 독립시켰다. 1592년([[선조(조선)|선조]] 25년)에 [[임진왜란]]으로 불탄 후, [[광해군]] 때 재건했다. [[일제강점기]]에 [[왕실]] [[의원]] 기능은 [[순종(대한제국)|순종]]의 침전 [[창덕궁 대조전|대조전]] 근처에 있는 [[창덕궁 성정각|성정각]][* 원래는 [[왕세자]]의 공부방이었고 [[영친왕|의민태자(영친왕)]]이 [[일본]]에 [[볼모]]로 끌려가기 직전에 머물던 곳이었다.]으로 옮겨갔고, 기존 내의원 건물은 헐렸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zRhAgtHovM)]}}} || || {{{#gold ''' 2002년 부산MBC에서 제작한 약방 복원 영상 '''}}} || [[문화재청]]에서 2000년 ~ 2004년에 [[복원]]했고 2005년에 일반에 개방하여 오늘에 이른다. == 구조 == * 1층[* 보통 [[전통]] [[건축]]에선 단층으로 표현한다.] [[목조]] [[건물]]로 남향(南向)이다. * 장대석 3단으로 [[기단]]을 쌓고 그 위에 [[건물]]을 올렸다. 기단 상부에는 [[벽돌|전돌]]을 깔고 기단 앞에는 3단 짜리 계단을 하나 두었다. [[기둥]]과 [[주춧돌]]은 사각이다. * 본채는 정면 8칸, 측면 5칸, 총 40칸이며 동남쪽에 ‘」’ 모양을 한 [[방]] 3칸짜리 별채가 붙어있다. [[지붕]] 모양은 동쪽 4칸과 서쪽 4칸이 다르다. 동쪽 칸 지붕은 팔작지붕이고 서쪽 칸 지붕은 맞배지붕이다. 용마루와 내림마루, 추녀마루는 [[기와]]로 마감했다. [[용두]]는 동쪽 칸 지붕에만 있으며 용마루 위에 2개, 추녀마루 위에 4개 올렸다. 지붕 측면의 합각은 나무판으로 마감했다. * [[처마]]는 겹처마이며 [[공포(동음이의어)#s-2|공포]]는 초익공이다. 창방과 장여 사이에 소로를 두었는데 서쪽 칸이 동쪽 칸보다 낮아서 그런지, 서쪽 칸의 창방과 장여는 동쪽 칸의 문상방 윗벽과 높이가 같다. [[단청]]은 모루단청으로 칠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약방 구조.png|width=100%]]}}} || || {{{#gold ''' 내의원 내부 구조 '''}}} || 실내 구조는 아래 이미지를 참조. 《동궐도형》의 내의원 영역 부분으로, 초록색 원 안이 내의원 청사 본채 평면도이다. ‘房’은 [[방]], ‘廳’은 [[대청|대청마루]], ‘退’는 툇간이다. == 여담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PZs4cbygLU)]}}} || || {{{#gold '''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2018년 〈궁중일상전시 – 궁궐 속 치유〉 영상 '''}}} || 2010년대 초부터 [[봄]]마다 [[궁궐]] 내 전통문화행사의 일환으로 〈창덕궁 내의원 체험〉 [[행사]] 및 [[내의원]] 관련 전시행사를 연다. 그중에는 실제 [[한의사]]들이 전통 [[관복]]을 입고 관람객들을 무료로 [[진료]]해주는 프로그램도 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staB29qReM)]}}}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G3U6jGTpsU)]}}}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gQQ9Rrb9QM)]}}}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sup8aKrb4)]}}} || ||<-2> {{{#gold ''' 유명인들이 참여한 2020년 〈궁중문화축전〉 약방 콘텐츠 영상. '''}}} || 2020년에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 19]] 사태로 개방을 못했고, 대신 〈궁중문화축전〉 유튜브 채널에서 온라인 약방 콘텐츠를 제작해 올렸다. 유명인들이 내의원을 방문해 최주리 [[한의사]]에게 [[한의학]] 관련 지식을 듣는 내용이다. [각주]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창덕궁 성정각, version=61, paragraph=5, title2=창덕궁 홍문관, version2=19)] [[분류:창덕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