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창덕궁)] ---- ||<-3> [[파일:정부상징.svg|width=22]] '''[[대한민국의 사적#s-2|{{{#f39100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 ||<-3> {{{#ffd700 {{{+1 '''창덕궁 광지문'''}}}[br]{{{-1 昌德宮 廣智門}}}}}}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성균관길5길, 너비=100%, 높이=100%)]}}} || ||<-2> {{{#ffd700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서울)|율곡로]] 99 ([[와룡동(종로구)|와룡동]] 2-71번지) || ||<-2> {{{#ffd700 '''건축시기'''}}} || 창건연대 미상 {{{-1 ([[1405년]] 추정)}}}[br]철훼연대 미상 {{{-1 ([[1659년]] 이후 추정)}}} || [목차] [clearfix] == 개요 == [[창덕궁]]의 궁문이었다. 창덕궁의 북쪽 궁장에 있었다. == 역사 == 언제 처음 지었는지 모른다. 다만, [[태종(조선)|태종]] 때 [[창덕궁]]을 창건하면서 건립한 것으로 보인다. 원래는 이름이 없었다. 그러다 1475년(성종 6년)에 예문관대제학 [[서거정]]이 광지문이란 이름을 지었다.[[http://sillok.history.go.kr/id/kia_10608023_007|#]][[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광지문(창덕궁)|#]] 광지문 근처에는 [[궁궐]]을 지키는 초소인 광지영(廣智營)이 있었다. 그런데 광지문과 광지영의 위치는 산(응봉) 자락이어서 지대가 높았다. 따라서 군사들이 언제든 궁궐의 [[창덕궁#s-4.4|후원]]을 내려다볼 수 있는 문제가 생겼다. 그래서 연산군은 광지영을 좀 더 낮은 곳으로 옮기고[[http://sillok.history.go.kr/id/kja_10305023_002|#]], 광지문의 출입을 막았다.[[http://sillok.history.go.kr/id/kja_10502026_002|#]][[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광지문(창덕궁)|#]] 1629년(인조 7년) 3월에는 광지문 인근의 [[소나무]]를 벌채했다고 한다.[[http://sjw.history.go.kr/id/SJW-A07030210-01100|#]] 이를 끝으로 [[공식]] [[기록]]에서 광지문에 대한 내용은 찾아볼 수 없다.[* [[순조]] 시기 《[[승정원일기]]》에 광지문에 대한 [[기사]]가 있지만, 그건 [[경희궁]]에 있던 문이다.] 이후 [[창덕궁]] 북쪽 궁장의 문으로 [[창덕궁 건무문|건무문]]이 생겼다. 그런데 광지문이 건무문으로 이름만 바뀐 건지, 아니면 광지문을 헐고 건무문을 새로 지은 건지는 확실하지 않다. [[분류:창덕궁]][[분류:조선 시대의 없어진 건축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