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창덕궁)] ---- ||<-3> [[파일:정부상징.svg|width=22]] '''[[대한민국의 사적#s-2|{{{#f39100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 ||<-3> {{{#ffd700 {{{+1 '''창덕궁 관람정'''}}}[br]{{{-1 昌德宮 觀纜亭}}}}}}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창덕궁 관람정, 너비=100%, 높이=100%)]}}} || ||<-2> {{{#ffd700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서울)|율곡로]] 99 ([[와룡동(종로구)|와룡동]] 2-71번지) || ||<-2> {{{#ffd700 '''건축시기'''}}} || [[1830년]] ~ [[1901년]] 사이 {{{-1 (창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창덕궁 관람정.jpg|width=100%]]}}} || || {{{#gold ''' 관람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J3hp72gHa4)]}}} || || {{{#gold '''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3D 영상. 존덕정, 폄우사, 승재정과 같이 소개한다. '''}}} || [목차] [clearfix] == 개요 == [[창덕궁#s-5.4.5|창덕궁 후원 관람지 권역]]에 있는 [[정자]]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창덕궁_후원권역_관람지.jpg|width=100%]]}}} || || {{{#gold ''' 관람지 권역. 왼쪽부터 폄우사, 존덕정, 관람정, 승재정이다.[*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6413888&ccbaKdcd=13&ccbaAsno=01220000&ccbaCtcd=11|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 이름 == '관람(觀纜)' 뜻은 --관람하는 게 아니라-- '뱃놀이(纜)을 바라본다(觀)'는 이다. 원래 '람(纜)'은 닻줄이란 뜻인데, 여기서는 뱃놀이란 의미로 썼다.[[http://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jsessionid=JinGc946Q1nSp01RIikfH3LbQWi1olFSGe75sY1gn1t58jtD4wFoZNTl5cyzcjHy.cha-was02_servlet_engine1?newsItemId=155696064§ionId=ocp&pageIndex=11&mn=NS_01_02&strWhere=&strValue=&sdate=&edate=|#]] == 역사 == 언제 지었는지 모른다. 1828년 ~ 1830년 사이에 그린 《[[동궐도]]》에는 안보이고 [[헌종(조선)|헌종]] 때 제작한 《궁궐지》에도 관련 [[기록]]이 없는데, 1907년([[융희]] 원년) ~ 1908년([[융희]] 2년)에 만든 《동궐도형》에는 보인다. 그래서 [[고종(대한제국)|고종]] 때 후원을 정비할 때인 1903년([[광무]] 7년) 경 아니면 [[순종(대한제국)|순종]]이 [[창덕궁]]으로 거처를 옮긴 1907년(융희 원년) 무렵에 지었을 것으로 추측한 의견이 많았다. 하지만 [[민족문제연구소]] 이순우 연구원이 밝힌 자료에 따르면, 적어도 1901년([[광무]] 5년)에는 존재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http://cafe.daum.net/distorted/2zYb/116|#]] [[미국인]] 버턴 홈스(Burton Holmes)가 1901년에 발간한 《The Burton Holmes Lectures》에 관람정 사진이 실려있기 때문이다. 현재로서는 1901년 '''이전'''에 지었다는 것만 확인할 수 있을 뿐, 아직까지는 정확한 건립 시기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알 수 없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버턴홈즈 관람정.png|width=100%]]}}} || || {{{#gold ''' 1901년 《The Burton Holmes Lectures》에 실린 관람정 '''}}} || == 관람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창덕궁 관람지.png|width=100%]]}}} || || {{{#gold ''' 관람지 '''}}} || 관람정의 [[연못]]은 관람지(觀纜池)이다. 한반도 모양이라 반도지(半島池)로도 부른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궐도형 관람정.png|width=100%]]}}} || || {{{#gold ''' 왼쪽은 〈동궐도〉에 나온 현재 관람정 일대이다. 현재와 전혀 다르다.[br]오른쪽은 〈동궐도형〉에 나온 관람정(초록색 원 안)과 호리병 모양의 연못이다. '''}}} || 그런데 [[조선시대]]에는 저런 모습이 아니었다. 〈[[동궐도]]〉를 보면, 사각형 [[연못]] 2개와 원형 연못 1개가 나누어져 있었다. [[순종(대한제국)|순종]] 때 제작한 〈동궐도형〉을 보면 저 연못을 합쳐 호리병 모양으로 만들고 그 위에 [[교량|다리]]를 놓은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아마 [[일제강점기]]에 지금의 모습으로 바꾼 듯 하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고궁-00804-0001_1.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옛날 관람정.png|width=100%]]}}} || ||<-2> {{{#gold ''' 관람정과 관람지에 놓은 다리[* [[http://www.gogung.go.kr/imgView.do?title=%25EC%25B0%25BD%25EB%258D%2595%25EA%25B6%2581%2520%25ED%259B%2584%25EC%259B%2590%2520%25EC%2582%25AC%25EC%25A7%2584%25EC%2597%25BD%25EC%2584%259C&cultureSeq=00019438PT&imgSeq=2|왼쪽 사진 출처 - 국립고궁박물관.]]] '''}}} || 다리도 형태가 두 가지였다. 현재 남아있는 사진을 보면, 경복궁 향원정의 취향교와 같이 'X'자 난간을 한 다리였는데 어느 순간 'I' 자형 난간 형태로 바뀌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승재정과 연결된 다리.png|width=100%]]}}} || || {{{#gold ''' 관람지 다리. 왼쪽에 승재정과 승재정 남면에서 다리와 연결된 길이 보인다.[* [[http://artsdecoratifs.e-sezhame.fr/id_2219429010580886274.html|사진 출처 - 프랑스 장식미술관 〈Corée〉.]]] '''}}} || 이 다리 서쪽에 [[창덕궁 승재정|승재정]]으로 가는 길이 있었다. == 구조 == * 1층[* 보통 [[전통]] [[건축]]에선 단층이라고 표현한다.] [[목조]] [[건물]]로 동향(東向)이다. * 평면이 부챗꼴이다. 즉, [[지붕]], [[마루]], [[기단]]이 전부 [[부채]] 모양이다. 그래서 건물 부재들이 곡선 형태이다. * 한 단짜리 [[기단]] 위에 [[주춧돌]]을 올리고 그 위에 [[건물]]을 올렸다. [[기둥]]과 주춧돌은 원형이다. 연못과 맞닿는 부분에는 세로로 긴 돌기둥을 [[연못]] 바닥에 맞닿게 만들었다. 그래서 마치 연못에 발 담그고 있는 것 같은 모습이다. * [[지붕]]은 우진각 지붕이다. 처음 지붕 재질은 동판 비슷한 것이었는데, [[순종(대한제국)|순종]] 즉위 전후로 [[기와]]로 바꾼 듯 하다. [[처마]]는 홑처마로, 용마루와 추녀마루는 [[기와]]로 마감했으며 용마루 양 끄트머리에 용두를 올렸다. * [[공포(동음이의어)#s-2|공포]]없는 민도리 양식이다. 주두는 원형이고 [[단청]]은 모로단청으로 칠했다. 기둥 사이 틀에 낙양각을 설치했다. * [[현판]]은 동면에 걸려있다. 모양이 특이하다. 나뭇잎 모양을 한 초록색 판으로, 진짜 [[잎]]에 글씨를 써놓은 것 같은 느낌을 준다. 글씨는 흰색이다. * 각 기둥 하단부마다 [[난간]]을 설치했다. 다만, [[건물]]로 들어가는 부분에는 [[기둥]] 양 옆에 짧게 난간을 두었다. 난간의 모양은 풍혈을 뚫은 궁판을 두고 그 위에 난간기둥과 돌란대를 둔 형태이다. * 실내 [[천장]]은 구조가 다 보이는 연등천장이다. 바닥은 [[마루]]이다. * 기둥의 바깥쪽에 주련을 걸었다. 주련에는 [[시]]를 적어놓았다. 주련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珠簾繡柱圍黃鵠 (주렴수주위황곡) >구슬 발, 채색 기둥을 고니 떼 둘러싸고 > >錦纜牙檣起白鷗 (금람아장기백구) >비단 닻줄, 상아 돛대에 갈매기떼 날아오르네 > >彩鴛靜點銀塘水 (채원정점은당수) >알록달록한 원앙이 은빛 연못물에 고요히 떠다니고 > >乳燕凉飛玉宇風 (유연량비옥우풍) >어린 제비는 바람을 타고 시원하게 하늘을 나네 > >橋轉彩虹當綺殿 (교전채홍당기전) >찬란한 무지개다리 돌아드니 전각과 마주했고 > >艦浮花鷁近蓬萊 (함부화익근봉래) >화려한 익수(鷁首)의 배 떠가니 봉래산이 가까워지네 >[[https://ncms.nculture.org/pavilion/story/2390|#]] == 여담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oZxoTyr61k)]}}} || || {{{#gold ''' 〈창덕궁 달빛기행〉 영상 '''}}} || 〈창덕궁 달빛기행〉 코스 중 한 곳이다. [[판소리]] 공연을 관람할 수 있다. == 매체에서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제1공화국 관람정.png|width=100%]]}}} || || {{{#gold ''' 〈제1공화국〉의 관람정 '''}}} || [[MBC]] [[드라마]] 〈[[제1공화국(드라마)|제1공화국]]〉 22회에서 [[이승만|이승만 대통령]]([[최불암]] 분)이 [[낚시]]하다가 [[김장흥]] 경무대경찰서장([[임채무]] 분)에게서 [[6.25 전쟁]] 발발 소식을 듣고 놀라는 장소로 등장한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킹덤 관람정.png|width=100%]]}}} || || {{{#gold ''' 〈킹덤 1〉의 관람정 '''}}} || [[넷플릭스]] [[드라마]] 〈[[킹덤(한국 드라마)|킹덤 1]]〉에서 [[조학주]]([[류승룡]] 분)와 딸 [[계비 조씨]]([[김혜준]] 분)가 대화하는 장소로 등장한다. 관람지는 [[시신]]을 넣은 [[연못]]으로 나온다. 단, 시신넣는 장면 촬영은 다른 연못에서 한 듯 하다.[[https://www.youtube.com/watch?v=0qKSxbyr7vE&t=08m14s|#]] [[분류:창덕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