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창덕궁)] ---- ||<-3> [[파일:정부상징.svg|width=22]] '''[[대한민국의 사적#s-2|{{{#f39100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 ||<-3> {{{#ffd700 {{{+1 '''창덕궁 경복전'''}}}[br]{{{-1 昌德宮 景福殿}}}}}}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창덕궁, 너비=100%, 높이=100%)]}}} || ||<-2> {{{#ffd700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서울)|율곡로]] 99 ([[와룡동(종로구)|와룡동]] 2-71번지) || ||<-2> {{{#ffd700 '''건축시기'''}}} || [[1722년]] {{{-1 (창건)}}}[br][[1824년]] {{{-1 (소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궐도 경복전 터.png|width=100%]]}}} || || {{{#gold ''' 《동궐도》 경복전 터 '''}}} || [목차] [clearfix] == 개요 == [[창덕궁]]의 대비전(大妃殿) 중 하나이다. [[창덕궁 선원전|선원전]]의 북쪽에 있었다. 원래 이름은 경복당(景福堂)이었다. 현재는 남아있지 않다. 이름 '경복(景福)'은 [[경복궁|경복궁(景福宮)]]의 경복과 같은 글자이다. 그러나 유래가 같은 지는 확실하지 않다.[* 여담으로 [[경복궁]] 이름은 《[[시경]]》 - 주아 편에 나온, [[잔치]]가 끝난 뒤 [[천자]]에게 바치는 노래인 "이미 술에 취하고 이미 덕에 배불렀어라. 임이시여, '''만 년 동안 큰 복을 누리소서.'''"(旣醉以酒 旣飽以德 君子萬年 介爾景福)에서 끝의 '景福(경복)'을 딴 것이다. ] == 역사 == 창건 시기는 알 수 없다. [[숙종(조선)|숙종]] 시기 혼란한 [[환국(조선)|환국정치]]의 소용돌이 속에서, 숙종의 [[왕비|계비]] [[인현왕후]]는 1689년(숙종 15년)에 폐출당했다가 1694년(숙종 20년)에 복위했다. 인현왕후는 복위하기 전날에 미리 궁에 들어왔는데, 이 때 잠시 머문 곳이 [[창덕궁]]의 경복당이었다. 이미 복위 전부터 몸이 안 좋았던 [[인현왕후]]는 이곳에 머물면서 치료를 받았다.[[http://sillok.history.go.kr/id/ksa_12605029_001|#]] 인현왕후는 결국 [[질병]]을 이기지 못하고 1701년([[숙종(조선)|숙종]] 27년) [[죽음|승하]]했다. 숙종은 세 번째 왕비로 [[인원왕후|인원왕후 김씨]]와 [[결혼|혼인]]했다. [[경종(조선)|경종]] 즉위 후 [[태후|왕대비]]가 된 인원왕후는 경종과 대립하는 [[영조|왕세제 이금]]에게 정치적으로 힘을 실어주었다. 이에 위기감을 느낀 경종은 인원왕후를 공경한다는 뜻으로[* 좀 더 직설적으로는 [[인원왕후]]의 [[눈치]]를 보았기 때문에.], 경복당을 옛 [[창덕궁 만수전|만수전]] 자리를 포함해서 큰 규모로 새로 짓고 경복전으로 이름을 바꾼 뒤 인원왕후를 모셨다.[[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경복전(景福殿)|#]] [[정조(조선)|정조]] 시기에는 [[정순왕후(조선 영조)|예순대비]](정순왕후)가 여기서 [[존호]]를 여러 번 받았고,[[http://sillok.history.go.kr/id/kva_10703018_001|#]][[http://sillok.history.go.kr/id/kva_11101008_001|#]] 1805년([[순조]] 5년)에는 이곳에서 [[죽음|승하]]했다. 이후 [[효의왕후|왕대비 김씨]](효의왕후)도 머물렀다.[[http://m.blog.daum.net/cho92044/66?tp_nil_a=1|#]] 1824년(순조 24년) [[화재]]로 불타 사라졌다.[[http://sillok.history.go.kr/id/kwa_12408024_001|#]] 이후 현재까지 복구하지 않았다. 1828년(순조 28년) ~ 1830년(순조 30년)에 제작한 《[[동궐도]]》에는 빈 터로 그려두었다. == 구조 == * [[건물]]에 대해 남아있는 [[기록]]도, [[그림]]도 없기 때문에 《[[동궐도]]》에 나와있는 터의 모습으로 추정할 수 밖에 없다. 정면 9칸, 측면 3칸으로 평면이 ‘┏┓’ 자 형태이며 가운데에 [[월대]][* 대개 월대는 야외 행사용 시설물이므로 격조있는 건물에 딸린다.]를 두었다. 행각은 없었지만 사고석, [[벽돌]]로 쌓은 [[담|담장]]과 여러 채의 일각문들이 [[건물]] 주위를 둘러싸고 있었으며 남쪽 마당에는 [[직사각형]] 모양의 [[연못]]이 있었다.[[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경복전(景福殿)|#]] 남쪽에는 애련재, 북쪽에는 송죽헌, 동쪽에는 습취헌이란 별채도 있었다.[[http://m.blog.daum.net/cho92044/66?tp_nil_a=1|#]] == 매체에서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해치 경복전.jpg|width=100%]]}}} || || {{{#gold ''' 《해치》에서 등장한 경복전 '''}}} || 2019년 [[SBS]] 드라마 《[[해치(드라마)|해치]]》에서 [[인원왕후]]([[남기애]] 분)의 처소로 나왔다. 물론 실제 건물은 아니고 [[용인대장금파크]]에 있는 세트이다. [[분류:창덕궁]][[분류:조선 시대의 없어진 건축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