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창덕궁)] ---- ||<-3> [[파일:정부상징.svg|width=22]] '''[[대한민국의 사적#s-2|{{{#f39100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 ||<-3> {{{#ffd700 {{{+1 '''창덕궁 검서청'''}}}[br]{{{-1 昌德宮 檢書廳}}}}}}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검서청, 너비=100%, 높이=100%)]}}} || ||<-2> {{{#ffd700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서울)|율곡로]] 99 ([[와룡동(종로구)|와룡동]] 2-71번지) || ||<-2> {{{#ffd700 '''건축시기'''}}} || [[1781년]] {{{-1 (창건 추정)}}}[br][[2004년]] {{{-1 (복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heritagechannel.tv/se2013112917542.jpg|width=100%]]}}} || || {{{#gold ''' 검서청[* [[http://www.k-heritage.tv/brd/board/256/L/CATEGORY/615/menu/254?brdCodeField=CATEGORY&brdCodeValue=615&bbIdx=4879&brdType=R&tab=|사진 출처 - 문화유산채널: 문화유산 여행, 〈역사의 길 창덕궁 (사적 제122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Ysls9SWEC8)] }}} || || {{{#gold '''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3D 영상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창덕궁#s-5.2.2|창덕궁 궐내각사 구역]]에 있는 [[건물]]이다. [[창덕궁 규장각|규장각]]의 부속 건물이다. 원래 이름은 대유재(大猷齋)였다. --[[꿀잼|대유잼]]이 아니다-- [[규장각]] 검서관들의 [[사무실]], [[당직]]실이었다. 검서관은 규장각에서 사관을 도와 책을 교정하거나 책 원본을 똑같이 베끼는 일을 하던 [[관리]]였다. == 역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궐도 검서청.png|width=100%]]}}} || || {{{#gold ''' 《동궐도》의 검서청 일대. 붉은색 원 안이 검서청이다.[br]원래 이름인 대유재(大猷齋)로 적어두었다. '''}}} || [[정조(조선)|정조]]는 즉위 직후인 1777년(정조 1년)에 [[창덕궁#s-5.4.1|창덕궁 후원]]에다 [[창덕궁 주합루|주합루]]를 짓고 그곳에 [[창덕궁 규장각|규장각]]을 두었다. 그러나 [[규장각]]의 규모가 커져서 주합루에 많은 [[책]]과 [[문서]]를 보관하기 힘들자, 1781년(정조 5년)에 옛 오위도총부 자리에 규장각 청사를 새로 지어 이전시켰다. 자연스럽게 규장각 검서관들 또한 새 규장각으로 옮겨 근무했다. 이들이 [[사무]]보고 [[당직]]설 곳이 필요해서 만든 게 대유재이다. 다만, 건물 자체는 [[정조(조선)|정조]] 시기 이전부터 있었으며[[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EB%8C%80%EC%9C%A0%EC%9E%AC(%E5%A4%A7%E7%8C%B7%E9%BD%8B)|#]], 기존의 건물을 보수, 개조한 것이다.[[https://books.google.co.kr/books?id=JxQTCwAAQBAJ&pg=PT372&lpg=PT372&dq=%EB%8C%80%EC%9C%A0%EC%9E%AC+1783%EB%85%84&source=bl&ots=PMZXc60UV0&sig=ACfU3U3VuLb0pGUDr_o7W4TkLVGL9onfNA&hl=ko&sa=X&ved=2ahUKEwji4frI—ntAhXLPXAKHds5AwoQ6AEwEXoECBIQAg#v=onepage&q=%EB%8C%80%EC%9C%A0%EC%9E%AC%201783%EB%85%84&f=false|#]] 이름은 검서관 [[유득공]]이 짓고 [[현판]]의 글씨는 정지검이 썼다. 이후 [[정조(조선)|정조]]가 [[창덕궁 선원전|선원전]]과 [[창덕궁 대보단|대보단]]을 참배하기 전날에 여기서 묵었고, [[철종(조선)|철종]] 때 [[창덕궁 연경당|연경당]]에서 보관하던 역대 임금들이 쓴 글들을 이곳으로 옮겨오기도 했다. [[순종(대한제국)|순종]] 시기에 이름을 검서청으로 바꾸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고궁0565.jpg|width=100%]]}}} || || {{{#gold '''일제강점기 철거 및 개조 후 모습을 담은 엽서[* [[http://www.gogung.go.kr/imgView.do?title=%25EC%25B0%25BD%25EB%258D%2595%25EA%25B6%2581%2520%25EC%2582%25AC%25EC%25A7%2584%25EC%2597%25BD%25EC%2584%259C&cultureSeq=00019409LC&imgSeq=1|사진 출처 - 국립고궁박물관.]]] '''}}} || [[일제강점기]]에 [[일본 제국|일제]]가 헐었다가 [[문화재청]]에서 2000년 ~ 2004년에 [[복원]]했고 2005년부터 일반에 개방하여 오늘에 이른다. == 구조 == * [[창덕궁]] 금천 바로 옆에 있다. 그래서 금천의 아름다운 [[풍경]]을 바로 볼 수 있는 곳이다. 아마 [[일]]과 [[연구]]에 지친 [[관리]]들을 위해 그렇게 지은 듯 하다. 기존의 [[규장각]]이었던 [[창덕궁 주합루|주합루]]도 창덕궁 후원에 있어 그곳에서도 멋진 경치를 감상할 수 있었다. 비록 주합루 경관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그래도 관원들에게 좋은 풍광을 보여주려는 배려를 살펴볼 수 있다. --근데 너무 차이난다-- * 1층[* 보통 [[전통]] [[건축]]에선 단층으로 표현한다.] [[목조]] [[건물]]로 남향(南向)이다. 장대석 2단으로 [[기단]]을 쌓고 그 위에 [[건물]]을 올렸다. 기단 상부에는 [[벽돌|전돌]]을 깔았다. * [[지붕]]은 팔작지붕, [[처마]]는 겹처마, [[공포]]는 이익공[* 창방과 직접 만나 보를 받치는, 쇠서(소 혀 모양의 자재)를 두 겹으로 낸 공포.]이다. 창방과 장여 사이에 소로를 두었다. 용마루와 내림마루, 추녀마루는 [[기와]]로 마감했다. [[용두]]와 취두, 잡상은 없다. 지붕 측면의 합각은 나무판으로 마감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검서청 내부구조.png|width=100%]]}}} || || {{{#gold ''' 검서청 내부 구조 '''}}} || 정면 5칸, 측면 2칸으로 원래는 10칸이나, 내부를 다시 나누었기에 실질적으로는 총 12칸이다. 각 칸의 구성은 아랫 그림을 참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검서청 난간.png|width=100%]]}}} || || {{{#gold ''' 검서청 난간[* [[https://www.culture.go.kr/tradition/useOrigin.do?did=60074&reffer=use&xdimension=all&dpid=362&xsubject=%EA%B1%B4%EC%B6%95&gubun=all&cPage=560|사진 출처 - 문화포털: 디자인 문양 〈창덕궁 검서청 난간〉.]]] '''}}} || 중앙의 3칸 짜리 툇마루가 건물로 출입하는 [[현관]] 역할을 한다. 툇마루 기둥 가장자리에는 [[난간]]을 설치했다. 난간의 모양은 아랫 사진을 참조. * 출입칸을 제외한 나머지 칸의 하단부에는 전부 머름을 설치했다. 온돌방 외벽은 중방을 두고 위에는 [[벽]], 아래엔 [[창문]]을 설치한 모습이다. 온돌방 뒷면은 문선을 두고 문선 안에 창을, 나머지는 벽을 둔 형태이다. 나머지 마루방의 겉면은 전부 띠살창이다. 교창은 없다. * 서쪽과 동쪽 끝 칸은 누마루이다. 서쪽 누마루의 주초석은 짧지만, 동쪽 누마루는 [[창덕궁]] 금천과 바로 맞닿아있기 때문에 주초석이 굉장히 길다. 동쪽 누마루의 이름은 동이루(東二樓)이다. 동이루 바깥으로 쪽마루를 깐 뒤 그 가장자리에 [[난간]]을 설치했다. 모양은 툇마루 난간과 같다. * [[대청]]에서 [[온돌|온돌방]]과 동이루로 가는 문은 분합문이다. 위, 아래 [[한지]]를 바르고 중간에 팔각형의 빗살창이 있는 모습이다. 단, 동이루 쪽 분합문의 하단에는 머름이 있는데 온돌방 쪽에는 없다. == 대중매체에서 == * [[넷플릭스]] [[드라마]] 《[[킹덤(한국 드라마)|킹덤 2]]》에서 나왔다. 정확히는 검서청 건물이 아니고, 검서청 뒤편 석축 하단부에 있는 [[수로#s-1]]가 등장했다. 의녀 서비([[배두나]] 분)가 지하 감옥에서 탈출할 때, 이 수로를 통해 밖으로 나갔다.[[https://www.youtube.com/watch?v=5s7QkioNGUE&t=04m18s|#]] [각주]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창덕궁 이문원, version=8, title2=창덕궁 주합루, version2=45)] [[분류:창덕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