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창덕궁)] ---- ||<-3> [[파일:정부상징.svg|width=22]] '''[[대한민국의 사적#s-2|{{{#f39100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 ||<-3> {{{#ffd700 {{{+1 '''창덕궁 건양문'''}}}[br]{{{-1 昌德宮 建陽門}}}}}}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승화루, 너비=100%, 높이=100%)]}}} || ||<-2> {{{#ffd700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서울)|율곡로]] 99 ([[와룡동(종로구)|와룡동]] 2-71) || ||<-2> {{{#ffd700 '''건축시기'''}}} || 창건연대 미상 {{{-1 ([[1405년]] 추정)}}}[br]철훼연대 미상 {{{-1 ([[1908년]] 이후 추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건양문 터.png|width=100%]]}}}|| || {{{#gold '''건양문 터 추정지[* 사진 출처 - 카카오맵.]'''}}} || [목차] [clearfix] == 개요 == [[창덕궁]]의 궁문이었다. 창덕궁의 동쪽 담장에 있었다. 현재는 없다. [[창덕궁]] 창건 당시에는 [[창덕궁 돈화문|돈화문]], [[창덕궁 금호문|금호문]]처럼 궁궐과 외부를 연결하는 문이었다. 그러나 1483년(성종 14년)에 창덕궁 동쪽에 [[창경궁]]을 지으면서 두 궁궐을 잇는 문으로 변했다. 지금 건양문 터는 [[창덕궁]]과 [[창경궁]]의 경계에 있지 않고, 오롯이 창덕궁 경내에 있다. 정확히 말하면, 창덕궁 주요부에서 [[창덕궁 낙선재|낙선재]] 구역으로 가는 길목에 있다. 낙선재가 원래 창경궁 권역인데 [[근대]]에 들어 창덕궁으로 편입시켰기 때문이다. == 이름 == '건양(建陽)' 뜻은 직역하면 '양(陽)을 세운다(建)'이다. '양(陽)'은 볕, [[해]]를 의미하며 방위로는 동쪽을 가리킨다. 즉, 건양문은 '동쪽 문'이란 뜻이다. == 역사 == 언제 처음 지었는지 모른다. 다만, [[태종(조선)|태종]] 때 [[창덕궁]]을 창건하면서 건립한 듯 하다. 원래는 이름이 없었다. 그러다 1475년([[성종(조선)|성종]] 6년)에 왕명으로 예문관대제학 [[서거정]]이 건양문이란 이름을 지었다.[[http://sillok.history.go.kr/id/kia_10608023_007|#]] [[조선시대]]에 궁궐 안 사람들은 지금과 달리 [[창덕궁]]과 [[창경궁]]을 하나의 공간으로 인식해서 사용했다. 그래도 공식적으로는 엄연히 다른 [[궁]]이었기 때문에, 지금처럼은 아니더라도 나름 구분을 엄격하게 했다. 그래서 창덕궁과 창경궁을 공적으로 오갈 때는 반드시 건양문을 거쳐야 했으며, 일종의 통행 허가패인 부신(符信)이 있어야만 드나들 수 있었다.[[http://sillok.history.go.kr/id/kja_11005010_006|#]] [[임진왜란]] 때 불탔다가 [[광해군]] 때 재건했다. [[영조]]와 [[정조(조선)|정조]]는 건양문에서 보초서는 [[군사]]를 늘리고 문 옆에 숙위소를 두었다.[[http://sillok.history.go.kr/id/kua_10509011_002|#]][[http://sillok.history.go.kr/id/kva_10111015_002|#]][[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건양문(建陽門)|#]][* 참고로 [[정조(조선)|정조]] 때 숙위소의 대장이 된 사람이 바로 [[홍국영]]이다.] 지금은 없다. 언제 철거했는지는 모르나, 1907년([[융희]] 원년) ~ 1908년(융희 2년)에 만든 《동궐도형》에서도 확인이 가능한 걸 보아 그 때까지는 있었던 것 같다. 아마 [[일본 제국|일제]] 때 헌 듯 하다. == 구조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궐도 건양문.pn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궐도형 건양문.png|width=100%]]}}} || || {{{#gold '''〈동궐도〉의 건양문. 붉은색 원 안이다.'''}}} || {{{#gold '''〈동궐도형〉의 건양문. 붉은색 원 안이다.'''}}} || 《[[동궐도]]》와 《동궐도형》을 보면 정면 1칸, 측면 1칸, 총 1칸짜리 [[문]]이었다. [[지붕]]은 맞배지붕이었고 용마루 위에는 용두를 올렸다. 측면은 [[흙]]과 [[벽돌]]로 만든 [[벽]]으로 마감했다. 문 양 옆으로 [[담]]이 있었으며 담 주위에는 행각들이 모여있었다. ---- [[분류:창덕궁]][[분류:조선 시대의 없어진 건축물]]